• 제목/요약/키워드: Imaging studies

검색결과 1,610건 처리시간 0.025초

단안카메라 기반 삼차원 입체영상 증강현실 (3D 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with a Monocular Camera)

  • 노승민;이진우;황재인;김준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20
    • /
    • 2016
  • 본 논문은 모바일 기반 양안식 HMD 기기를 사용하는 마커기반의 증강현실 시나리오에서 단안영상으로부터 삼차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효과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기기의 단안카메라로는 좌안과 우안에 대해 정확한 양안시차를 제공하는 양안영상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양안식 증강현실 시스템에서는 좌안과 우안에 동일한 실세계 영상을 제공하여 입체감과 몰입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커기반의 증강현실 시나리오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마커를 주시한다는 가정 하에, 기존 방법에 비해 높은 입체감과 시각적 편안함을 제공하는 단안카메라 기반 3차원 입체영상 생성기법을 제안한다. 마커와 카메라의 3차원 자세정보를 통해 단안영상을 3차원 공간상에 나타내고,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가상의 두 카메라를 통해 단안영상의 마커영역과 마커 위에 증강될 가상물체에 대해서 시차를 계산한다. 마커 이외의 영역은 블러 효과를 적용하여 선명도를 낮추고 양안식 HMD를 통해 입체 콘텐츠를 감상할 때 발생하는 시각적인 피로를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생성된 3차원 입체영상이 기존 방법에 비해 높은 입체감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세 가지의 사용자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방법에 비해 높은 입체감을 제공하고 시각적인 피로가 크지 않는다는 것, 사람의 시차와 동일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과 유사한 현실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 그리고 영상블러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인 피로도가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 생균과 사균체의 세포부착력, 자가응집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LPS 결합력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cell adhesion, cell surface hydrophobicity, autoaggregation, and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perties of live and heat-killed Lactobacillus acidophilus CBT LA1)

  • 신주현;이중수;서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1-24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생균의 효과가 많이 알려져 있지만 가열 처리된 유산균인 사균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의 사균체의 장관장벽 기능에 대하여 in vitro, in vivo에서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표면 소수성 상호작용력(cell surface hydrophobicity),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cell adhesion)과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LPS와의 결합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HT-29 장상피세포에서 LPS로 유도되는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CBT LA1을 80도에서 121도까지 10분 동안 열을 처리하였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가 가장 높은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을 보여 주었다. CBT LA1 생균과 비교했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는 높은 LPS와의 결합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자가응집력, HT-29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과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In vivo 실험에서 FITC로 label된 LPS를 투여하였을 때 16시간 후, CBT LA1 사균체를 섭취한 동물의 장관 내 LPS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CBT LA1 생균처럼 CBT LA1 사균체도 장관장벽 기능을 가지며 이는, 파마바이오틱스로서 그 가능성을 시사한다.

흉부 CT 영상을 이용한 폐 혈관 추출 및 폐 결절 재분류 기법 (Pulmonary Vessel Extraction and Nodule Reclassification Method Using Chest CT Images)

  • 김현수;팽소호;뮤잠멜;김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6호
    • /
    • pp.35-43
    • /
    • 2009
  • 환자의 흉부 CT 영상을 입력으로 하여 폐 영역의 결절(nodule)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목적인 컴퓨터 조력 진단(Computer Aided Diagnosis, CAD) 시스템에서는 대부분 폐 영역의 혈관 추출 단계가 우선적으로 진행된다. 혈관 조영제를 투여한 환자 영상에서 폐 혈관과 폐 결절은 흉부 CT 영상에서 비슷한 감쇄를 보이므로 혈관 추출 단계에서 혈관과 결절이 함께 추출될 수 있다. 때문에 폐 혈관이 제거된 나머지 영역에서 폐 결절을 탐지 및 분류하는 방식의 폐 결절 분류기는 혈관 추출 기법의 성능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폐 결절이 혈관으로 오인식 되어 혈관과 함께 추출될 수 있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혈관의 두께 패턴을 분석하여 폐 결절을 재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폐 영역 결정 단계, 폐 혈관 영역 추출 및 골격 형성 단계, 혈관 토폴로지 구성 및 보정 단계, 그리고 혈관 후보 내 결절 재분류 단계 등의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폐 결절이 혈관을 침투하여 분포하는 환자들의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판독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분류기의 정확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한 혈관 추출 및 결절 재분류 기법을 사용한 CAD 시스템의 폐 결절 분류기 성능과 재분류 절차를 진행하지 않은 분류기 성능에 대해 비교하고 제안한 방법이 혈관 영역으로 잘못 포함된 결절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재분류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APM Phantom을 이용한 CT 팬텀 영상 평가 시 정량적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When Evaluated Using CT Imaging Phantoms AAPM Phantom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 김영수;예수영;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92-600
    • /
    • 2016
  • AAPM CT 성능 평가용 표준 팬텀을 이용한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 검사 시, 평가자의 주관적인 평가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 하고자 전산화된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팬텀으로 AAPM CT Performance Phantom을 사용하였고, 기본 촬영 조건은 품질관리검사와 동일하며, 평가프로그램으로 IMAGE J를 사용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로 CT 감약계수와 노이즈측정, 균일도측정, 슬라이스 두께 측정, 대조도 분해능 측정, 공간 분해능 측정의 팬텀 영상을 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를 한 후 자동추출 된 결과로 평가 하였으며, CT 감약계수, 노이즈, 균일도 측정은 영상처리를 한 영상의 표준편차가 작아 더 균일하다고 평가하였고, 슬라이스 두께 측정은 팬텀영상의 측정값과의 비율 차로 인해 평가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조도 분해능은 원통형의 지름을 6회 측정하여 지름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해 원의 형태를 평가하였으며, 공간 분해능은 합격기준을 포함하는 원의 그룹을 자동 추출한 결과 원의 개수를 모두 추출한 결과로 나타났다. 정성적인 평가로 원본영상과 영상 처리한 영상을 육안적으로 비교 평가 하였는데 영상처리 된 영상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 등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평가와 정성적인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전산화된 평가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보다 더 효율적인 평가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갑상선 수술시 발견된 비회귀성 후두신경; 유형, 동반 혈관 이상, 신경 손상 예방에 대한 고찰 (Identification of the Nonrecurrent Laryngeal Nerve during Thyroid Surgery: Variations, Associated Vascular Malformation, Adequate Surgical Technique)

  • 이잔디;윤지섭;임치영;남기현;장항석;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7
    • /
    • 2006
  • Purpose: The nonrecurrent laryngeal nerve(NRLN) is a rare anomaly that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ally aberrant subclavian artery. Although rare on the right side and exceptional on the left, an aberrant nonrecurrent pathway for RLN represents a major surgical risk. Three course variations of right NRLN can be distinguished: descending(type I) , horizontal(type II), ascending(type III). This study i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variations of NRLN, associated vascular anomaly, and proper surgical methods for preventing nerve damag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March 2006 3,381 thyroidectomy were performed at our institution, and during these operations a nonrecurrent laryngeal nerve was observed in 13 cases (0.38%). There were 1 men and 12 women with a median age of 48 years(range 28-57). All of them are identified on the right side. Results: In all cases, there were no clinical symptoms observed preoperatively. The nerve anomaly was diagnosed preoperatively in only one case. There were type I variations of right RLN in 2 cases and type II variations in 11 cases. The retroesophageal aberrant right subcalvian artery; no innominate(brachiocephalic) artery was found and the right common carotic artery was arising directly from the aortic arch, was seen in 12 cases. A vocal cord palaysis caused by NRLN damage during operation was observed in one patient(7.6%) , where the nerve was close to the superior thyroid artery. No other complications were noted. Conclusion: It can be possible to predict NRLN from signs associated with the vascular anomaly; clinical symptoms or imaging studies. When an vascular anomaly is not detected preoperatively, overlooking possibility of NRLN may lead to severe operative morbidity. Hence, It is most important to identify all the thyroid structures carefully during thyroid surgery and to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natomic variations of RLN.

구강 악안면 영역의 생체 흡수성 고정판 사용에 관한 임상 연구 (A CLINICAL STUDY OF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김일규;박승훈;장금수;양정은;장재원;사시카라 바라라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6호
    • /
    • pp.451-458
    • /
    • 2009
  • Metallic bone plates and screws have been commonly used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or internal fixation. However, there are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atrophy of cortical bone inherent to excessive rigid fixation systems, growth disturbance in growing individual, allergy reaction, interference with radiographic imaging, palpability, thermal sensitibity and the need for subsequent removal.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nd avoid additional surgery of removal of plates and screw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But, It also has complication such as foreign body reactions. We have undertaken a clinical and retrospective study on 140 patients in Dep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2006 to March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with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And we concluded following results. 1. 6 cases(3.4%) of the 177 operation sites(140 patients) experienced complications. 1 case(0.6%) was a failure of initial fixation, 1 case(0.6%) was a postoperative infection, 4 cases(2.3%) were inflammations or foreign body reaction. 2. Postoperative infections, inflammations and foreign body reactions were completely recovered with incision and drainage, supporative care with antibiotic coverage and removal of biodegradable plates. 3.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provide acceptable rigidity and stability clinically. But, long-term observation is required for the tissue reactions around the biodegradable plates and screws because of long resorption periods of the biodegradable material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횡적인 골격과 악궁 형태에 관한 연구 (Study of horizontal skeletal pattern and dental arc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희찬;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8-370
    • /
    • 200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교정치료와 악교정 수술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아 골격형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와 정상교합자 간의 골격 형태의 차이를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실험군으로는 단국대학교 교정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 전 교정치료를 받기로 예정된 총 20명을 선정하였고, 대조군으로는 골격성 I급 정상교합군으로 I급 교합관계를 보이며, 교정치료와 보철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 교합자 10명을 선정하여 CT촬영을 시행한 후 3차원 입체영상을 제작, 분석하여 상, 하악 기저골을 횡적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악 기저골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더 작았고, A point에서 ANS로 갈수록 제1소구치 부위에서 유의하게 폭이 감소하였으며, 제2소구치 부위에서 폭의 증가량이 유의하게 작았다. 하악 기저골은 B point, Antegonion 기준 횡단면에서 견치, 제1소구치 부위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 상하악의 비교 시, 실험군의 견치부, 제1소구치부, 제2소구치부에서 하악에 비해 상악의 폭경이 유의성 있게 작음을 보였다.

변형 Mallampati 지수 및 편도 지수와 무호흡-저호흡지수의 지수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Mallampati Grade, Tonsillar Grade and Apnea-Hypopnea Index)

  • 안병훈;최종원;박연호;송인혁;남영진;송달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84-88
    • /
    • 2004
  • 목 적: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수면다원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데 이를 임상적으로 검사할 때에는 편도의 비대와 좁아진 구인두의 관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변형 Mallampati 지수(MMG)와 편도지수(TG)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MMG와 TG는 심한정도에 따라 각각 4군 및 5군으로 나뉜다. 2002년 3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수면다원검사와 이비인후과적 검진을 받은 94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무호흡-저호흡지수(AHI)에 따라 비교군(n=24)과 수면무호흡군(n=70)으로 나누었다. 결 과:변형 Mallampati 지수(MMG)와 편도지수(TG)가 높을수록 높은 AHI 값을 가지며 TG와 MMG 모두 AHI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MMG와 TG는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데 신뢰할만한 예측인자이며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다.

  • PDF

다발성 폐결절로 발견된 카플란증후군 1예 (Caplan's Syndrome Presenting as Multiple Pulmonary Nodules)

  • 이상국;이상훈;김송이;이우경;신동호;방우대;노송미;심효섭;박병훈;이경종;박무석;김영삼;장준;김세규;강영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2호
    • /
    • pp.150-154
    • /
    • 2011
  • We report a case of Caplan's Syndrome, which presented as multiple pulmonary nodules. A 58-year-old male was admitted to hospital due to multiple pulmonary nodules. In addition, the patient presented with multiple arthritis, and dyspnea on exertion. Rheumatoid arthritis had been diagnosed 35 years ago. The patient had worked as a stonemason for 20 years.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numerous well-defined tiny nodules scattered in both lungs, which was suspicious of miliary tuberculosis or malignancy. The patient was started on antituberculous medications and referred to our hospital. First, a transbronchial lung biopsy was performed, which showed no evidence of granuloma. It was our opinion that the biopsy was insufficient, and a follow-up video-associated thoracoscopy was performed. The pathological report determined necrotizing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silicosis on background. According to imaging studies, pathologic reports, and clinical symptoms, we concluded that the patient had Caplan's syndrome. We controlled his rheumatic medications, and instructed him to avoid exposure to hazardous dust.

An engineered PD-1-based and MMP-2/9-oriented fusion protein exerts potent antitumor effects against melanoma

  • Wei, Mulan;Liu, Xujie;Cao, Chunyu;Yang, Jianlin;Lv, Yafeng;Huang, Jiaojiao;Wang, Yanlin;Qin, Ye
    • BMB Reports
    • /
    • 제51권11호
    • /
    • pp.572-577
    • /
    • 2018
  •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PD-1/PD-L1 checkpoint blockade is a dramatic therapy for melanoma by enhancing antitumor immune activity. Currently, major strategies for the PD-1/PD-L1 blockade have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antibodies and compounds. Seeking an alternative approach, others employ endogenous proteins as blocking agents. The extracellular domain of PD-1 (ePD1) includes the binding site with PD-L1. Accordingly, we constructed a PD-1-based recombinantly tailored fusion protein (dFv-ePD1) that consists of bivalent variable fragments (dFv) of an MMP-2/9-targeted antibody and ePD1. The melanoma-binding intensity and antitumor activity were also investigated. We found the intense and selective binding capability of the protein dFv-ePD1 to human melanoma specimens was confirmed by a tissue microarray. In addition, dFv-ePD1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mouse melanoma B16-F1 cells, and displayed cytotoxicity to cancer cells in vitro. Notably, dFv-ePD1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mouse melanoma B16-F1 tumor cells in mice and in vivo fluorescence imaging showed that dFv-ePD was gradually accumulated into the B16-F1 tumor. Also the B16-F1 tumor fluorescence intensity at the tumor site was stronger than that of dFv.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combinant protein dFv-ePD1 has an intensive melanoma-binding capability and exerts potent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melanoma. The novel format of the PD-L1-blocked agent may play an active role in antitumor immun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