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of dental hygienis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8초

치과위생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중도탈락의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of dental hygienist image, major satisfaction, and dropout intention)

  • 김창희;김정희;김형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3-15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dropout inten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ntal hygienist role and satisfaction with the study major perceived by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69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rvey items covered general characteristics, department choice motivation, the desirability of dental hygienist career, practice clinical experience,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 role,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and dropout inten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ann-Whitney U 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dropout intention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was 2.4 out of 5.0.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partially mediates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 role and dropout intention (direct effect=0.182, p=0.024, indirect effect=-0.437, p=0.010).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 role (β=-0.255, p=0.010) and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β=-0.661, p=0.010)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ropout intention. The factor most affecting dropout intention was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Dropout intention was high when selecting a major based on external motivations (β=-0.448, p<0.001). Conclusions: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 role and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dropout intention. Therefore, improving satisfaction with study major and improving the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will help reduce dropout intention.

치과의사의 치과 코디네이터 업무 및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Outlook of Dentists on Dental Coordinators and Their Job)

  • 류정숙;장미화;정재연;조명숙;최부근;황윤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1-2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entists perceived dental coordinators including their education, hiring criteria, working condition and job. It's basically attempted to help define the job and role of 5 and to suggest how they should be nurtur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entists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where dental coordinators were employed among approximately 200 dental institutions in Seoul, C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05, answer sheets from 99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ing education for dental coordinators, 99.9% of the dentists investigated felt the need for separate education programs for dental coordinators, 42.4% knew what would-be dental coordinators learned about, and 81.8%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m to take intermediate or higher courses.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the Korea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was viewed as the best institute to educate dental coordinators, and educational institutes that included a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as looked upon as the second best one. 68.7% believed that dental coordinators should take an official examination to test their qualifications, and concerning educational subsidy, the largest group of the dentists thought that a certain amount of subsidy should be provided. 2. As for coordinator hiring, the top priority was the impression(look) of applicants(55%), followed by adjustability to existing employees(24.5%) and professional competency(17.3%). As to the route of hiring, 41.4 percent, the largest group, reeducated some of existing employees, and dental hygienists were regarded as the best personnels to serve as a coordinator. Concerning job performance, they put the most emphasi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was followed by executive ability, impression and career, 58.6% the largest group, believed that dental coordinators should have a three-year or higher career to work at a dental institute. 3. As to working conditions, 75.7%, the largest group, paid dental coordinators based on their job performance, and 23.2%, the second largest group, had their pay equal to that of dental hygienists, 88.9% allowed them to determine their own retirement age. 4. In regard to their perception of dental coordinators, the largest number of the dentists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m to keep receiving education(4.29),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felt that they served to enhance the image of dental institutes(4.18). The third largest group thought that they contributed to letting patients mo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of dental services. But they tended not to agree that their turnover rate was low(3.04), and they didn't find them to receive appropriate education, either(3.10). 5. The current major job of coordinators associated with customer services was handling appointments with customers(91.9%), treating unsatisfied customers(85.9%), and controling waiting time(84.8%). Regarding self-management, coordinators directed their energy into having good manners(89.9%), acquiring fundamental dental knowledge(84.8%), and learning how to treat customers(83.8%). Concerning hospital affairs handling, they were most responsible for information desk(87.9%), which was followed by receiving(86.9%).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at type of job the dentists hoped dental coordinators to fulfill in consideration of their career, their age and type of investment, the dentists wanted them the most to speak a foreign language, which belonged to the field of self-management.

  • PDF

치과환자의 치과위생사 복장에 대한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Patient's Preference of Dental Hygienists' Attire)

  • 유미선;이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9-53
    • /
    • 2004
  • 환자들의 치과 치료시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고 편안하게 보일 수 있는 복장을 제시하고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향상을 위해 치과에 내원한 성인환자 486명을 대상으로 2003년 1월 20일부터 2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호하는 의복형태에 대해 39.1%의 환자들이 투피스치마를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복형태 분석결과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2. 의복색상에 대해 36.2%의 환자들이 분홍색 계열을 선호하였다. 3. 선호하는 신발은 44.2%의 환자들이 샌들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1), 성별(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머리스타일은 환자들의 43.6%가 뒤로 묶은 머리를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5), 성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선호하는 화장정도는 45.9%의 환자들이 전체화장을 가장 선호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성별(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치과위생사 표시방법으로 환자들의 60.7%가 명찰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연령(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자신이 선호하는 복장에 대해 75.9%의 환자들이 자신에게 안정을 준다고 하였다.

  • PDF

한국 신문에 게재된 치과위생사 관련 기사 분석: 2005~2008년 기사를 중심으로 (Newspaper analysis of research on dental hygienists in Korea from 2005 to 2008)

  • 오상환;남용옥;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9-71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way of the dental hygienist to explore the articles of dental hygienist that were presented in the newspaper during the recent 3 years of Korea. Methods : This study is to examine dental hygienist articles with content analysis in the KINDS(Korean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of the Korean Press Found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the printed newspaper of Korea over a period of 3 years - 1 March, 2005 to 30 March 2008. News reports, comments and letters to the editor were analysed, which revealed an image of dental hygienist that we would like to explore and debate. The obtained data from the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d test between categories after inter-coder reliability test (reliability 0.96). Results : The articles of dental hygienist according to type of newspaper, 'local newspaper'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metropolitan newspaper'. It mix '치과위생사'(42.3%), '치위생사'(49.4%), and '위생사'(3.9%) in use of name. The article pattern, 'news' 40.0%, 'information commentary' 18.3%, 'interview man' 15.8%, 'special news' 14.2% in metropolitan newspaper, then, 'news' 72.6%, 'information commentary' 23.2% in local newspaper (p<0.05). Most plenty of subject is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n 'celebration', 'publicity'. It showed 'seoul' was 'information commentary', 'country' was 'administration system', 'whole' was 'legal duty', 'unrelated area' was 'social living' in the topic of article according to newsbeat(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ublicity name, duty of dental hygienist in metropolitan newspaper officially.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유니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form Recognition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손은교;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88-395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3월 15일부터 3월 19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연구의 목적은 일부 지역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유니폼의 선택 및 발전, 이미지추구를 위하여 유니폼에 대한 인식과 유니폼이 주는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ANOVA, chi-squared test, 회귀 분석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사용했다. 연구결과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유니폼은 자신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으며, 자신은 병원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또한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은 유니폼의 종류에서 바지 형태를 선호했고, 색상은 무채색을 선호했다. 디자인은 수술복의 형태를 선호했으며, 신발은 크록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유니폼을 통한 이미지 전달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외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유니폼보다는 실용적인 유니폼과 신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실습복과 실습화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만드는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기관의 이미지를 표현하면서도 실용적인 유니폼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차후 치과 유니폼 선택에 반영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방사선사진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사선촬영법 숙련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and integration study related to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radiography training using dental radiograph and augmented reality)

  • 구자영;이재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41-44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하여 치과 방사선 촬영술의 반복 연습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다. 성인 모델의 외형을 사진 촬영하고, 실습용 마네킹 팬텀을 컴퓨터 단층 촬영한 후, 이를 중첩하여 삼차원 객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결과로 출력되는 106장의 방사선사진은 촬영법과 관련된 치아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학습자가 성공적인 촬영을 수행하면 각 촬영조건에 맞는 부위별 영상이 호출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전 단계에서의 연습을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를 이용하여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촬영 임상 실무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다만, 직접 얼굴인식을 통해 촬영하는 것이 실습효용 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치과방사선의 현황 및 이용 실태 (The Actual State and the Utilization for Dental Radiography in Korea)

  • 신귀순;김유현;이보람;김세영;이귀원;박창서;박혁;장계용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2호
    • /
    • pp.109-120
    • /
    • 2010
  • 치과 X선 검사 시 환자선량의 권고량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 위해서 우선 국내 치과방사 선의 현황 및 이용 실태를 설문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응답을 받은 77곳의 치과병 의원 중에서 치과대학이 있는 치과대학병원을 A그룹(11곳), 치과대학이 없는 대학병원을 포함한 치과병원을 B그룹(30곳), 치과의원을 C그룹(36곳)으로 분류하였다. 그룹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치과병 의원 한 곳당 평균 unit chairs수는 A그룹 140.2개, B그룹 15.3개, C그룹 5.8개, 평균치과의사수는 A그룹 112.6명, B그룹 7.3명, C그룹 1.7명, 평균방사선사수는 A그룹 3.1명, B그룹 0.5명, C그룹에는 한 명도 없었고, 평균치과위생사수는 A그룹 19.7명, B그룹 12.5명, C그룹 3.3명이었다. 설치된 치과용 X선장치의 평균보유수는 A그룹 14.64대, B그룹 3.21대, C그룹 2.19대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구내촬영장치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파노라마 장치, 세팔로 장치, CBCT 장치 순이었으며, 장치시스템의 비율은 세 그룹 모두 DR 시스템이 50%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필름 시스템인 경우, 사용된 구내필름은 감광도가 높은 Insight 필름(Kodak, USA)이 대부분이었으며, 자동 현상기는 사용하는 곳이 적었으나, 필름유지기구는 사용하는 곳이 약간 많았다. PACS 이용률은 A그룹 90.9%, B그룹 83.3%, C그룹 16.7%이었고, 프로그램은 국내의 Infinitt에서 개발된 PiView STAR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치과병 의원 한 곳당 2008년도의 연간 평균촬영건수는 A그룹이 B그룹보다 6.8배, C그룹보다 21.2배 더 많았으며, 구내 치근단 촬영과 파노라마 촬영이 대부분이었다. 구내 치근단 촬영 시 관전압과 관전류는 세 그룹 모두 비슷하였으나, 노출시간은 C그룹이 A그룹의 12배, B 그룹의 3.5배 정도 길었다. 즉, 대부분 치과위생사가 촬영하고 있는 C그룹에서는 방사선 노출량이 다른 그룹에 비해 훨씬 많았다. 그러나 파노라마촬영 시의 조건은 세 그룹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촬영조건은 경험적 지식을 따르기보다는 권장량을 사용해야 하며, 필름시스템에서는 자동현상기와 필름유지기구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노출량을 줄여준다. 또한 환자선량의 감소와 X선 영상의 질 향상을위해서 X선발생장치 및 관련기기의 체계적인 정도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치과 의료 종사자의 의료 서비스 교육이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dical Service by Service Instruction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 김창희;이지연;이현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59
    • /
    • 2001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들의 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2000. 2. 10부터 2000. 3. 10까지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341부의 자료를 설문 조사법으로 조사하여 의료 서비스 교육이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의료기관의 위치, 시설장비와 기구, 의료진의 태도에 관한 일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는 서비스 교육을 받은 집단이 4.07,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3.9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서비스 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일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의료기관의 이미지, 진료 수준, 홍보부문에서는 의료 서비스 교육의 경험이 있는 집단이 4.01, 교육의 경험이 없는 집단이 3.83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p<.05), 의료 서비스 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이행하고 있는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 개선사항, 의료인력의 적정성을 묻는 전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는 서비스 교육의 참여 집단이 3.32, 서비스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3.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의료 서비스의 교육과 인식에 따른 만족도는 일반적 특성별로 서비스 교육을 받고 마케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책임 치과위생사의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5. 교육의 업무와 인식상태를 보면, 교육의 횟수는 1.83회로 나타났고 병원 내부의 서비스 교육의 만족도는 3.24로 낮게 나타났다. 6. 병원의 팀웍은 3.70으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 만족도는 3.56으로 나타났고, 의료기관의 추천도는 2.50으로 의료기관의 권유이사는 낮게 나타났다. 7.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의료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이 4.40으로 나타나 서비스 교육 필요성의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교육의 경험이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고 사료되어지며, 본 연구의 결과 서비스 교육이 병원급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육의 참여 기회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다양한 교육의 참여와 의료기관에 적합한 내부 교육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좋은 의료 서비스가 창출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