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V injection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초

슬관절 자극이 횡격신경 및 흡식중추신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nee Joint Stimulation on the Activity of Phrenic Nerve and Inspiratory Nuron in the Cat)

  • 조동일;한희철;남숙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6호
    • /
    • pp.683-693
    • /
    • 1993
  • 연구배경 : 생체의 운동은 움직임 자체를 수행하기 위한 근육, 관절 및 이를 관장하는 신경계와 운동중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심혈관계 및 호흡계의 조절이 동반되는 매우 복잡한 기전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다.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나 특히 관절과 호흡중추의 연계성에 대하여는 아직도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절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호흡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alpha$-chloralose로 마취한 고양이의 분당 호흡수, 횡격신경과 흡식신경섬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법 : 26마리의 성숙한 숫고양이에서 슬관절 자극중 횡격신경 및 흡식중추신경의 활동성을 기록하기 위하여 쌍극백금전극과 탄소섬유전극을 이용하여 세포외에서 기록하였다. 슬관절을 자극하기 위하여 슬관절의 굴곡-신전운동, 슬관절 동맥을 통한 화학적인 자극 및 슬관절 신경의 전기적인 자극법 등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슬관절의 정상 운동각도내에서 120 Hz.의 빠른 운동을 1분간 시킨 경우에는 분당호흡수와 분당호흡신경활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3분간 운동을 시킨 경우에는 호흡수, 일회호흡신경활동 및 분당호흡신경활동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60Hz.의 운동에 대하여는 전체적인 호흡활동에 뚜렸한 변화가 없었다. 과격한 운동중에 형성되는 젖산의 혈중농도와 같은 농도의 젖산을 슬관절내에 주입한 결과 주입후 30초 동안에 호흡수 이외의 일회호흡신경활동과 분당 호흡신경 활동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otassium chloride에 대하여는 젖산의 경우와 유사한 반응을 보였으나 반응기간이 짧았다. 구심성 신경중 I, II군만을 선택적으로 흥분시킬 수 있는 강도인 1V로 슬관적 신경을 자극한 경우 자극기간에 한하여 호흡수를 제외한 일회호흡신경활동 및 분당호흡신경활동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구심성 신경을 모두 흥분시키는 강도인 20V 자극에 대하여는 호흡계의 전체적인 항진효과가 있었으며 1V 자극에 비하여 매우 큰 반응을 나타내었다. 흡식중추의 신경세포에서 기록한 결과 횡격신경에서 나타난 반응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 슬관절 구심성 신경중 제 I, II 군 신경의 흥분에 의하여 호흡중추는 직접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운동중의 슬관절로부터 중추로 유입되는 정보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은 슬관절의 정상적인 움직임에 의해서도 생체의 호흡기능이 항진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PET/CT 영상에서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와 조영제를 사용한 CT를 이용한 감쇠보정에 따른 표준화섭취계수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andard Uptake Values of the PET Reconstruction Methods; Using Contrast Enhanced CT and Non Contrast Enhanced CT)

  • 이승재;박훈희;안샤론;오신현;남궁혁;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235-240
    • /
    • 2008
  • PET/CT 검사의 사용 초기에 CT는 주로 감쇠보정(Attenuation Correction: AC)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졌지만, CT의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조영제를 이용한 CT검사를 진단에 반영하여 보다 진보된 진단적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조영제의 사용이 없이도 CT를 판독할 수 있지만 병변의 정확한 범위를 확인하고 정상 구조물을 구별하는데 있어서 조영제의 사용은 판독자로 하여금 판독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PET/CT검사 시 조영제가 감쇠보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쟁으로 이견이 많았다. 40-140 keV 정도의 낮은 엑스선을 이용하는 CT영상에 비하여, 조영제를 사용한 CT영상에서는 조영제로 인해 감쇠가 많이 되지만 511 keV의 에너지를 가진 감마선은 조영제로 인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감쇠보정 시 과보정을 하게 되어 PET영상에서 오류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의견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조영제가 감쇠보정에 과대평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견과 과보정으로 인한 표준화섭취계수에 변화의 가능성은 있으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영제의 영향이 SUV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만 비교 평가하였다. 2007년 12월에서 2008년 6월 사이에 본원에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요오드 조영제에 대한 부작용이 없고 당뇨병이 없는 진행성 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DSTe (General Electric Healthcare, Milwaukee, MI, USA)를 사용하여, 각각의 환자는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를 시행한 후 PET영상을 얻었고 그 후, 조영제를 사용한 CT검사를 하였다. 각각의 CT정보로 감쇠보정을 실시, 종류별로 PET영상을 획득하여, 각 영상에 동일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s : ROIs)을 설정 후, SUV를 비교 하였다. 얻어진 두 가지 결과 값의 정량 분석의 비교를 위해서 대응표본 T-검정 (Paired t-test)을 사용하였다. 검사를 시행한 30명의 환자에게서 폐, 간, 심장의 $SUV_{max}$ 값과 $SUV_{mean}$값을 측정하여 총 180개 영역을 분석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측정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조영 후의 $SUV_{max}$$SUV_{mean}$가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value<0.05). 심장 영역에서 조영 전 보다 조영 후의 $SUV_{mean}$값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조영제를 사용한 CT영상의 SUV값이 과보정되어,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의 SUV 보다 높게 나왔으나 기존의 보고된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는 실제 임상 판독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원발성병변의 진행을 알아보는 과정에서는 SUV의 작은 변동도 분명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간 영역과 같이 SUV의 변동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서는 수치의 변화에 대한 주의가 요구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구진정 실패 후 피부 도포마취제를 사용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 치료 (CONVERTING FROM ORAL SEDATION TO INTRAVENOUS SEDATION USING TOPICAL ANESTHETICS ON SKIN AFTER ORAL SEDATION FAILURE)

  • 이은희;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17
    • /
    • 2010
  • Chloral hydrate와 hydroxizine을 이용한 경구진정법은 적용대상의 나이와 체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경구 진정법은 36개월 미만, 체중 15 kg 미만의 환아에서 가장 좋은 진정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36개월 이상 또는 15 kg 이상의 환아에 대해서는 경구진정법이 적절한 진정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가지며, 얕은진정으로 인해 시술 중 잦은 움직임을 보여 쉽게 진정에 실패하게 된다. 진정 실패 시 고려 할 수 있는 대안은 추가적인 약제 투여로 인한 재진정의 유도나, 좀 더 깊은진정 법으로의 전환이 있다. 그러나 깊은진정법으로의 전환은 환아의 움직임과 동통의 감소를 위해 흡입마취제 및 마취기계가 요구되어 외래 진료실에서는 쉽게 선택되지 못한다. EMLA cream(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sia)은 피부의 도포마취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 본 증례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극 없이 정주진정 경로를 확보하여 경구진정에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에 성공하였다. 만 46개월, 체중 15 kg 남아가 다발성 우식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행동조절 하에 치료 권유하였으나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 경구진정 시도하였으며, 경구진정 실패를 고려하여 복용 전 EMLA cream을 사전 도포하였다. 경구 복용 90분 경과 뒤에도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여 보호자의 동의하에 아산화질소를 이용하여 얕은진정 유도 후, EMLA cream 도포 부위에 정맥로를 확보하였다. 총 시술 시간 2시간 30분으로 특별한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시술을 완료하였다.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y-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기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62-2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동 57명으로 최근 6개월 사이에 보톨리눔 독소나 수술적 병력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작기능 측정(GMFM)와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를 기능적 변화와 기능적 수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낮병동 프로그램은 8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병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치료 전 후 대동작기능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연령별 운동발달은 1-2세, 3-4세 뇌성마비아동이 5-6세 뇌성마비아동보다 사후검정 결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 수준l에 따른 대동작기능 측정(GMFM)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특히 경도와 중등도 뇌성마비아동이 중증도 뇌성마비아동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병동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의 운동발달에 효과적이며, 경도, 중등도와 4세 이하의 뇌성마비아동에게 조기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열 상태에서 투여된 녹용(鹿茸)과 소아보혈탕(小兒補血湯) 가(加) 녹용(鹿茸)이 발열 양상의 변화 및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rvi cornu parvum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rnu parvum on LPS-induced fever pattern differences in rabbits, and learning and memory in rats)

  • 최혁용;이진용;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38
    • /
    • 2000
  • It has been widely said in Korea that early administrations of Cervi cornu parvum (deer antler) to febrile infants affect brain functions.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tates that the head is easily affected by fever and only an excess of heat causes headaches.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lso states that Cervi cornu parvum cannot be used in febrile condition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different febrile response to LPS, experiments using intravenous injection of LPS have been carried out on Cervi comu parvum(CCP)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mu parvum(SB-CCP) administered rabbits. Experiments were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administration of CCP on learning and memory in 3 week old rats with LPS fever. These were evaluated by using the Morris water maze and the radial arm maze. Changes in body weight were also observed during this period.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In the experiments with febrile rabbits, the CCP and SB-CCP administer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f fever (p<0.05). 2. In the experiments with febrile rabbits, CCP and SB-CCP administered rabbits resulted in the tendency of lower body temperatures and shorter fever periods than the control group. 3.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body weight and fever patterns among the 4 groups in the experiments on young rats with LPS fever. 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response latencies among the rats in Group I (DDW administered), GroupIII (CCP administered), and groupIV (SB-CCP administered) in the Morris water maze. However, Group Ⅱ (the scopolamine administered group) showed delayed latencies on the second day of the first session (p<0.05), and the second and third day of the second session (p< 0.05). 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mean response latencies among the rats in Group I, III and Ⅳ in the radial arm maze, but Group Ⅱ showed delayed latencies on the first and third day of the first session (p<0.05). 6. There was no influence from the administration of CCP and SB-CCP on the general behavior of the rats in Irwin´s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rvi cornu parvum and Soahbohyul - tang combined with Cervi comu parvum have anti-pyretic actions on LPS fever.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se drugs have no influence on learning and memory in young rats with LPS fever in the Morris water maze and the radial arm maze.

  • PDF

하악골 골절환자에서 술후 자가통증조절장치와 근주용 진통제의 효과에 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FOR PATIENT-CONTROLLED AND INTRAMUSCULAR ANALGESIA IN MANDIBULAR FRACTURE PATIENTS)

  • 이석재;김경욱;김철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1호
    • /
    • pp.42-48
    • /
    • 2006
  • Open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is the most popular treatment method for maxillofacial fracture patients, and it is unevitable that postoperative pain can be developed. Many surgeons including oral & maxillofacial surgeons have made constant efforts to decrease postoperative pain. This study is a comparison of postoperative analgesia and intramuscular analgesia in patients with mandibular fractures. In this study, twenty-one patients (Experimenta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y were injected with IV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Walkmed$^{(R)}$, USA). For control group another twenty-one patients were injected with intramusclar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Rheoma$^{(R)}$, Samsung Pharm. Co.). And then, we measure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from first postoperative day to second day at regular time interval. The following results were uptained; 1. In patient group who with open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p<0.05). 2. In patient group with over 90 minutes surgery tim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3. In patient group with less than 90 minutes surgery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4. In patient group with surgery of open reduction using rigid internal fixation at single fractured si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5. In patient group with surgery at two fractured si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 when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05). As mentioned above, it suggest that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s more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relief than intramuscular injection in patients with rigid internal fixation by open reduction after mandibular fracture occurred.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in patient with more than 90 minutes surgery time or in cases with multiple fractured sites had more effective results with PCA therapy than conventional intramuscular analgesics.

가토 정맥에서 CT 조영제의 혈관외유출 예방을 위한 EDA 시스템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Prevention of CT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with Extravasation Detection Accessory System in Femoral Vein of Rabbit)

  • 권대철;정석희;양성환;조문선;장근조;김순근;유병규;이종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38-245
    • /
    • 2006
  • CT 검사에서 조영제 혈관외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EDA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토를 대상으로 실험적으로 혈관외유출의 검출 효율을 평가하였다. 7마리의 가토 IV 정맥 부위에 EDA 시스템의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여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혈관외유출 검출 효율을 평가하였다.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은 7건으로 혈관외유출 용량 $14{\sim}23ml$ (평균 18.86 ml), 혈관외유출 발생시간 평균 11.29초, 평균압력 109.71 psi, EDA 시스템에서 스트레인게이지의 분해능 평균 512.18, 진양성 7건, 진음성 19건, 위양성 2건이었고, 민감도 100%, 특이도 90%로 나타났다. 개발된 EDA 시스템을 가토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소량의 혈관외유출 조영제를 검출하는 효율이 있어 혈관외유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PDF

골관절증을 보이는 개에서 자가지방 유래 줄기세포 치료 증례 (Long-term Follow-up after Implantation of Autologous Adipose Tissu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o Treat a Dog with Stifle Joint Osteoarthrosis)

  • 윤헌영;이정하;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2-86
    • /
    • 2012
  • 5년령 중성화된 수컷 치와와가 수개월간의 오른쪽 후지 파행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통증을 동반한 4등급의 슬개골 내측 탈구를 확인 하였고 오른쪽 왼쪽 후지 파행등급 2 와 0을 각각 확인 하였다.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골증식체와 연골하 병변을 확인 하였고 오른쪽과 왼쪽 후지 골관절증 점수 20 과 12를 각각 확인하였다. 슬개골 탈구 정복술과 자가지방 유래 줄기세포 치료를 보호자의 동의 하에 결정 하였다. $1{\times}10^6$ 개의 줄기세포를 PBS, 인공 괄절액과 함께 슬개골 탈구 정복술 후에 주입 하였다. 주입 후 19개월에 오른쪽 왼쪽 후지 파행등급 0 와 0, 골관절증 점수 19 와 13을 각각 확인 하였고, 5년후에 파행등급 0 와 0, 골관절증 점수 14 와 15를 각각 확인 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자가지방 유래 줄기 세포치료를 받은 관절에서 골관절증이 감소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난치성 측두엽간질의 발작간 뇌혈류 SPECT, MRI와 수술성과 비교 (Interictal rCBF SPECT, MRI and Surgical Outcome of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 전석길;주양구;이상도;손은익;이영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7-312
    • /
    • 1994
  • Interict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SPECT) in 18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8 male and 10 female patients: average 23.5 years old) were compared with 2.0 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surgical outcome was analysed with the findings, symptom duration and lateralization of temporal lobe. Preoperatively rCBF SPECT was done in all 18 patients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740 MBq 99mTc-HMPAO. MRI was also done preoperatively in 13 patients. Surgical outcome was classified by Engel's outcome classification(four-part classification recommended at the first Palm Desert conference). rCBF SPECT detected correctly lateralising abnormality of temporal lobe hypoperfusion in 13/18(72.2%), contralateral temporal lobe hypoperfusion in 2/18(11.1%) and showed no def-inite abnormality in 3/18(16.7%).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unilateral temporal lobe hypoperfusion was 87%. MRI detected correct localising abnormality in 8/13(61.5%), such as hippocampal atrophy(7/13), asymmetric temporal horn(6/13), anterior temporal lobe atrophy(1/13), increased signal intensity from hippocampus(1/13) and calcific density(1/13), and no abnormal finding was noted in 5/13(38.5%). There was no false positive findings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MRI was 100%. Only 2 cases showed same lateralization findings in rCBF SPECT and MRI.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ymptom duration and no abnormal findings on SPECT or MRI. Surgical outcome showed class I in 15/18(83.3%), and class II in 2/18(11.1%). One case of no abnormal finding in both SPECT and MRI showed class III surgical outcome. No class IV surgical outcome was noted. Surgical outcome, lateralization of epileptic focus in temporal lobe and abnormal findings in rCBR SPECT or MRI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 PDF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Collagenase에 의한 흰쥐의 뇌출혈 및 뇌부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on Cerebral Hemorrhage and Edema in Collagenase Induced-ICH Rats)

  • 구자승;이준석;신정원;김성준;손낙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0-113
    • /
    • 2011
  • Objectives: Brain edema is brain swelling that occurs due to the accumulation of excess water in the brain parenchyma. AQP4 and AQP9 are water-channel proteins expressed strongly in the brain and control water fluxes into and out of the brain parenchym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Hwangnyeonhaedok-tang on brain edema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Methods: Intracerebral hemorrhage was induced by intrastriatal injection of type IV collagenase(0.23 U/${\mu}l$, 0.1 ${\mu}l$/min) into Sprague-Dawley rat brains. Hwangnyeonhaedok-tang water extract(1,000 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hree times every 20 hours from 4 hours after ICH operation. Then hematoma volume, brain edema percentage, and water content of brain tissue were measured.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for AQP4 and AQP9 expressions in the brain sections and area % of immuno-labeling was analyzed with image analyzing system. Results: 1.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reduced hematoma volume of ICH induced rat. 2.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reduced MPO positive neutrophils in the perihematoma of the ICH induced rat. 3.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reduced brain edema percentage and water content of brain tissue of ICH induced rat. 4.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reduced AQP4 immuno-positive cells in the perihematoma of the ICH induced rat. 5. Water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reduced AQP9 immuno-positive cells in the perihematoma of the ICH induced ra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wangnyeonhaedok-tang decreases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brain edema by means of downregulating AQP4 and AQP9 expressions in the b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