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UCN management categor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백두대간보호지역의 IUCN 관리 카테고리 적용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IUCN Management Category System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 김성일;강미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94-503
    • /
    • 2011
  •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에 IUCN 보호지역 관리 카테고리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백두대간보호지역 내 중복지정된 다양한 보호지역을 IUCN 관리 카테고리로 재분류하고자 수행되었다. 카테고리 적용을 위한 분류키를 개발하고 각 보호지역의 지정 목적에 근거하여 적합한 IUCN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국립공원을 포함한 산림보호지역 관리자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한 결과, 현재 카테고리 IV로 일괄 분류된 백두대간보호지역을 개별 보호지역의 지정목적을 살리는 방향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타당함이 제시되었다. 예컨대 원시림 유형으로 지정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카테고리 Ia로 하고 나머지 유형은 IV로, 과거 보안림 중 경관보호구역으로 명칭이 변경된 곳은 V로 분류하고 나머지는 VI으로 분류하는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향후 세계보호지역데이터베이스(WDPA)에 백두대간보호지역 카테고리 재조정 등록과 더불어 국가적 차원에서 산림보호지역의 관리효과성 평가와 IUCN 카테고리별 분류 및 WDPA에 등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UCN Category to the Protected Areas of Korea)

  • 허학영;김현;이영주;김성일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2호
    • /
    • pp.71-96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IUCN 카테고리 시스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IUCN 카테고리 시스템을 소백산국립공원에 적용해 봄으로써 동 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에 IUCN 카테고리 시스템 채택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보호지역 관리목적에 있어 (1)원생지 보호 개념, (2)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3)문화적 전통적 특성 유지 등에 대해서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도지역 면적 및 용도지구별 행위규제 내용에 대한 고려, IUCN 카테고리 별 이용유형의 상대적 비교(탐방, 자원이용, 거주), 복합적 분류의 활용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에 대한 IUCN 카테고리의 적용원칙으로는 (1)원생지 개념의 보호지역(Ib) 적용 배제, (2)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 극히 제한적 이용(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의 합이 95%이상) 개념 고려, (3)거주민 점유 수준 등 관리여건 고려, (4)생태계 서비스 유지 개념 고려, (5)복합적 분류 활용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원칙에 따라 IUCN 카테고리 적용 분류키를 소백산 국립공원에 적용하면, 소백산 국립공원은 IUCN 카테고리 II에 적합하고, 소백산 국립공원 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주목군락지는 카테고리 Ia 지역이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호지역의 분류키는 향후 보호지역의 카테고리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IUCN 카테고리 채택을 통한 보호지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카테고리별 차별화된 관리가 가능하도록 각 카테고리의 보전 목적에 적합한 법제도에 대한 검토와 관리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국제 기준에 근거한 남북한 자연보호지역의 실상 비교 (Comparison of Protected Areas i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International Conservation Criteria)

  • 우형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rotected areas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international conservation criteria and recommend new fundamental directions for nature conservation policy. International conservation criteria used by this research were the 1994 IUCN protected area categories, composed of 6 management categories. Despite a variety of types and names of protected areas created by different domestic legislations, South Korea was revealed to have only two types of protected areas, Category IV and V, indicating the significant lack of ecological diversity and representativeness in its protected area system. Shockingly, there are no national parks meeting IUCN criteria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has three IUCN Categories of II, III, IV and thus more balanced and ecologically representative protected area network than South Korea. Especially, North Korea maintains 9 national parks to be officially recognized by IUCN and UN. However,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make sincere effort to have new and well-designed protected area system including all IUCN Categories I -Ⅵ and particularly a minimum area in the stricter protected area categories.

한국 자연보호구역 현황 및 향후 개선방안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ive of Protected Areas in Korea - Case study in Protected Areas of Australia -)

  • 김민정;최종관;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779-786
    • /
    • 2011
  •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protected areas of Korea and Australia based on international conservation criteria by IUCN and analyzing what we need to improve for futur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of Korea. The registration status of protected areas of Korea listed on IUCN were 11 places in the Ia, 17 in II, 7 in IV, 7 in V; in total 42 places were recorded. However, the lists were missing many important areas. In Korea, we have only 4 protected area categories out of 6 indicating ecological diversity and management in its protected area system ar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9340 protected areas of Australia were listed on IUCN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total of six categories. Therefore, Korea should investigate measures for system establishment which ensures the diversity and indicative of our natural ecosystems and establish balanced system of protected areas including all IUCN categories I-VI through revaluation of natural, cultur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needs.

중복지정된 보호지역을 고려하기 위한 IUCN 카테고리 적용 (Application of IUCN Category Regarding the Designation of Overlapping Protected Areas)

  • 길승호;이동근;성현찬;이관규;김호걸;구미현;모용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2호
    • /
    • pp.157-16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application of IUCN categories of overlapping protected areas which is legally designated in South Korea.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in South Korea have managed and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However, the protected areas due to different management agencies can be confused with restricting behaviors and supporting residents. The IUCN presents the reasonal standardization classifying the protected areas which could be applied all over the world. Six categories issued by the IUCN could be applied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overlapping protected areas. We suggested the application of the IUCN categories compared with legal frame in South Korea. Most areas are overlapped in designation, but the areas are important for ecology and landscape. Moreover, each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have zone districts. Comprehensively considered all these things, we made rationale matrix correlated with the IUCN categories and the zone districts of the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matrix could be helped to the application of the IUCN categories in domestic protected areas. Although the protected areas has been recognized as regulatory regions, it is expected to expand and sustain the areas based on the matrix.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Research for Current Status of Protected Area in Korea and World Protected Area Designation - Focused on sacred natural sites designated as scenic site & natural monument -)

  • 김재웅;김승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20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지역으로 보호되고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중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문화재를 보호지역 카테고리에 포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문화재보호법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자연문화재중 명승과 천연기념물을 대상으로 보호지역 현황을 조사한 결과 명승40개소, 천연기념물 126개소가 보호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결과 자연문화재에서의 보호지역은 마을에서 '당숲', '성황림', '신림(神林)'등으로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의 행(幸) 불행(不幸)에 관계된 성스러운 대상이었으며,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와 규범, 토지에 대한 태도와 신앙관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물로써, 주민들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지역의 독특한 민간신앙 등으로 인해 강력한 보호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점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보호지역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나,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설정되어 있어 세계보호지역 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명승의 자연성지는 IUCN 카테고리의 지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계보호지역으로 설정함에 있어 명승 내부의 공간별 특성에 따라 자연성지를 비롯한 개별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세계보호지역으로 관리하여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re the conservation areas sufficient to conserve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 Kang, Hye-Soon;Shin, Sook-Yung;Whang, Hye-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377-389
    • /
    • 2010
  • Understanding the factors relevant to endangerment and the patterns of habitat locations in relation to protected areas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conservation of rare species. Although 64 plant species have recently been listed as endangered species in Korea, this information has, until now, not been available, making appropriat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ies impossible to devise. Thu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potentially threatening factor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locations in which these species were observed. The potentially threatening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National parks, provincial parks, ecosystem conservation areas, and wetland conservation areas were defined as protected conservation areas. Korean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along with the maps of all protected areas were combined with the maps of endangered plant species, and analyzed vi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Excluding the category of "small population",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were associated more frequently with extrinsic factors than intrinsic factors. Considering land surface only, all conservation areas in Korea totaled 4.9% of the land, far lower tha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s 10% coverage target. At the species level, 69% of the endangered plant species were detected in conservation areas, mostly in national parks. However,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31% of endangered species inhabit areas outside the conservation zones. Furthermore, at the habitat level, a large proportion of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to reside in unprotected areas, revealing "gaps" in protected land. In the face of rap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population increases,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s, converting these gap areas to endangered species' habitats, or at least including them in habitat networks, will help to perpetuate the existence of endangered species.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 김영철;채현희;홍보람;오현경;이경화;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1-307
    • /
    • 2016
  • 전 세계적인 그리고 국가적인 규모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 평가와 더불어 지역적인 규모에서의 멸종위험평가는 직접적인 보전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는 34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이 분포하였다. 각각의 종에 대해 분포지, 분포면적, 개체수 및 개체군의 소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라 각각의 종이 소유하고 있는 생활사 특성을 포함한 10가지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위험요인을 평가하였다. 34종에 대한 위험요인 평가결과 첫째, 다수의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심각한 훼손압력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이고 시급한 생육지 보전활동이 필요한 12종, 둘째, 소수의 직접적인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16종, 셋째, 비교적 넓은 분포지와 많은 개체수에 따라 소극적인 관리를 통해서도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6종으로 구분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은 인구의 증가, 개발, 채취에 따른 생육지와 개체군의 소멸이었다. 또한 식생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합한 생육지의 감소와 재정착의 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생태계 건강성의 상실이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지와 출현 빈도 및 중요도를 바탕으로 5개 권역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의 특성에 따른 보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에 대한 평가는 분포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종의 생활사 특성을 포함하는 평가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개체군동태와 생태적 지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