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Modernization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3초

건축의 문화적 현대화에 있어 신화와 기호의 의미에 관한 연구 -철학가 카시러와 기호학자 퍼스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of Myth and Sign in the Matter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thinking of Ernst Cassirer and Charles Sanders Peirce -)

  • 변태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4호
    • /
    • pp.49-62
    • /
    • 2003
  • Vesely explains, the main source of our confusion and nihilism comes most probably from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modem architecture, technology and aesthetics. Also, to overcome such crucial problems, many theorists recently emphasize to take part in cultural civilization and to preserve creative genes of great culture that is based on our interpretation of 'ethical and mythical nucleus of mankind,' rather than in technical modernization that constitutes a sort of subtle destruction of mytho-ethical nucleus of a society. They for architecture also strongly stress on a mythopoetic imagination and an ontological construction of building, which could make a form symbolic and mythical rather than mathematical and aesthetic representation. On this point, 'myth' becomes a vital idea for constructing and construing architectural form and space. And it is also one of the essential concepts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power of cultural continuation of place and the meaning of architecture. Nevertheless, its meaning and the citation of word in architectural essay are still obscure. It might be because the original concept of myth not only has been lain in the matter of philosophical contemplation. Thus,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is focused on lightening the meaning of myth in architectural term. Especially, it is, first, concentrated on interpreting philosopher Ernst Cassirer's reflections which were written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ythical consciousness' for the world's cultural civilization. And, the second, it will continue to interpret the myth as a sign within the semiotic concept of Charles Sanders Peirce, and further to emphasis the significance of mythic signs for the continuance of artistic and cultural idea including architecture. The contents of the paper is not that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methodology, rather architectural philosophy and epistemology. Nevertheless, in regard to architecture, the research will, against today's un-discriminated use of symbolic motifs and instrumental representation of form, suggest a concret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theory of myth and sign, especiall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semiology and the function of cultural continuity.

  • PDF

전통의 현대화 원칙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전통 재조명 (Review of Traditional Concepts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Strategy of Modernization)

  • 한성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31-163
    • /
    • 2017
  • 우리는 근대의 본질과 수용의 타당성에 대해 성찰하기 전에 이미 일본이라는 타자에 의해 이식된 근대 속에 던져졌으며, 이로 인해 근대에 대한 가치 판단은 유보되거나 정서상 회피, 또는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구한말 전통 문화와 사상의 무기력함으로 인해 야기된 망국의 상황도 사람들이 근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근대란 연속되는 역사 시간 속에서 전통과 현대라는 상대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규정받는다. 따라서 회피하거나 망각하고 싶은 근대라 할지라도 현대를 이해하고 그 원류가 된 전통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대에 대한 정면적인 직시가 필요하다. 근대의 실패는 전통 계승의 실패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통 계승 실패의 원인을 분석해 가다보면 우리가 근대를 실패한 시기로 인식하는 원인의 일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과거와의 단절을 꾀하는 반전통주의는 서구 교육의 전래와 깊은 연관이 있다. 신교육은 반전통주의를 서구화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였다. 서구문화를 추종하는 개화론자들은 조선이 뒤처지게 된 원인을 전통교육에서 찾았다. 따라서 조선이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전통과의 단절, 그리고 급격한 서구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전통주의는 근대교육으로의 진전이라기보다는 서구교육에 대한 일방적인 예속이라고 볼 수 있다. 신교육의 일각에서 나타나는 극단적인 반전통적 입장은 기존의 교육 체제를 철저히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 년간 계승되어 내려온 교육 내용과 형식마저도 도외시함으로써 문화적 주체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서구 교육의 수용이 지닌 양면성을 고려할 때, 전통교육을 부정하는 모든 신교육을 곧 근대교육으로 파악하는 단선적 이해 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한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의 전통 교육 계승 관련 글들을 중심으로 근대 지식인들이 전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 단절 원인과 그것의 결과로 야기된 교육적 병폐의 양상을 논함으로써 오늘날 새롭게 조명해야 할 전통적 요소를 찾아 교육적 참고로 삼고자 한다.

1930년대 상해의 모던[摩登] 여성 이미지 - 시각화된 복제미술을 중심으로 (Modern(摩登) Female Images in Shanghai by 1930s : Mainly Regarding to Visualized Printed Arts)

  • 문정희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4호
    • /
    • pp.105-121
    • /
    • 2006
  • The term 'modern', in broader sense, refers to the concepts like modernity, modernization, modernism and the like, which came from Westernization impling the recognition of indigenous culture as being inferior to Western culture by comparison along with the expanded influences of the Empire of Japan. These concepts, however, rather than evolving from Western standards, came into being as a form of civilization led by Japan which had already tasted the fruits of modernization by 1920s. Since 1920s, the policy of, so-called, reconstructing Asian countries by Japan came to create eastern way of modernism, as a new East Asian trend mainly revealed in China which was against colonization after Japan's invasion and conquest of Manchuria. Therefore, Eastern' modern' unlike Western one could be understood in the widespread terminology, 'Modern(摩登)' in Shanghai, reflecting consciousness like 'Fashion' or 'Trend' in female images on a variety of visual media. By 1930s it was the most notable that 'modern' was accepted as something similar with 'Fashion', or 'Trend' in sociocultural contexts. These atmosphere had led commercial arts to 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a great deal of supports and success in Shanghai which was widely regarded as the citadel for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among which transformations in female images were remarkable as a representative form of culture. It is also remarkable that 'historical modernity' transforming from the feudal age to modern society was considered a synchronic modernity, and nationalism was regarded as a sort of being modern, while involved in the newly-changed female images as a fashion mode. Changes in fashion including hair style in Shanghai by 1930s, as a way of expressions showing what was modern through commercial artistic productions, were easily noticed in visual media as an outlet of modern women's inner desire revealing their pursuit for new mode of life in metropolitan cities. 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 creating a new code of visual female images, it is notable that there existed another form of 'modern' satisfying socio-cultural needs of the general public seeking for being 'modern'.

  • PDF

낙농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Dairy Industry)

  • 이상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3-40
    • /
    • 2007
  • The Korean dairy industry has been developed continuously for the past seventy year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now the total amount of dairy products accounts for 13 percent of that of livestock production - a remarkable turnover. Korea now stands at the 13th economic power around the world and it is inevitable that we must pursue an open-door policy at a global level; the dairy industry should also strengthen its potentialities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compete with advanced dairy countries. It is predicted that the impact of DDA agreement and FTA negotiations on the domestic dairy industry will be great; so it is urgently needed that we should re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the dairy industry and comprehensive mesures for dairy industry development to improve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uch measures comprise the three aspects: first, reforming the policy of dairy industry-related systems, seco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third, expanding the consumption of dairy products. In terms of the system reforming,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above all, the planned production relevant to market needs, the milk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and the raw milk transaction method. Secondly, the appropriate scale of management is important for the enhancement of productivity together with the modernization of dairy facilities. Thirdly, step-up effort is needed to expand the milk consumption; especially, more milk should be provided to the students by improving the standing milk ration system in middle and senior high schools. The government should make more effort to support and develop new dairy products tuned to consumers' taste, accelerating the publicity of diverse and steady milk consumption together with related organizations.

  • PDF

해방이전의 수산금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sheries financing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 김경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15권2호
    • /
    • pp.1-23
    • /
    • 1984
  • In fisheries financing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accommodation of funds through modern monetary facilities was hardly benefited to most of small-scale Korean fishermen except Japanese fishermen living in Korea and some large-scale Korean fishermen. In fact, since Korean economy was only in the beginning stage of capitalism free from natural economy in the end of Yi Dynasty, it was natural that the supply of funds should be lacked. But after the opening of ports in Korea, the external shapes in Korean society were slowly changed according as heteronomous modernization was pushed forward by means of western capitalism and the intentional invasion of Japanese was gradually weighed. Thus all kinds of fishing equipments and technique were developed by dint of modernization, and modern monetary facilities also came into being. But most of Korean fishermen were hardly benefited by modern monetary facilities. Fishermen who were faced with destitution of funds were forced to rely upon high interest loans in order to make a living or maintain fisheries, and they were severely exploited by usurers. The situation was the same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felt the necessity of advancement of Korean fisheries and established fisheries institution suitable for all kinds of colonial fisheries policy toward Korea so that they could build up the found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and carry out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Sino-Japanese War. There were a series of bottlenecks in financing on account of the deficiency of fisheries institution in the beginning of Japanese imperialism, but the financial pressure was lightened because the arrangement of institution greatly contributed to the smoothness of fisheries financing in the latter part of it. Despite such improvement of financing, the benefit of funds could not equally reach to all the fishermen. It only reached to Japanese fishermen living in Korea and some large scale Korean fishermen. Thus most of korean fishermen could not free themselves from destitution of financing and the pressure of high interest loans. This phenomenon took place because Korean fisheries had the antinomic characteristics that financial restriction was excessive owing to the industrial speciality of fisher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arge financial demand in fisheries in the character of industry.

  • PDF

전통주택 안대청의 기능적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interrelationship of An- Daecheong in Traditional residence)

  • 여미나;윤재웅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67-7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by analys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raditional residence's An-Daecheong of late Chosun dynasty, as well as its interrelationship with other spaces. It can be analysed. then that such factors as the weak economic ablility of the current agricultural society and reduction of the number of family member have made the function of the An-Daecheong weak, and that such factors as westernization of life style and modernization of residence facilities have reduced the functional interrelationship of the An-Daecheong. An-Madang and Kitchen.

  • PDF

21세기 한국철도의 발전방향 (Direction of Korea Railroad development in 21st Century)

  • 신종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
    • /
    • pp.247-252
    • /
    • 2002
  • It is expected to confront numerous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 ter railroad technology with an opening of state-of-art Kyung-Bu High Speed Railroad that permits traveling speed in excess of 300 Km/hr. Expansions of railroad facility such as revival of silk railroad in Eurasia due to the connection of South-North Korea and modernization of rolling stock and ancillary equipment have certainly contributed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Railroad. Such technological advancements will provide of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foreign projects that have been offered in past years. Thus, a comprehensive plan and R&D policy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aise and upgrad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railroad industry.

  • PDF

Modernization of Railway Stations for Passenger Transport in China

  • Gong Long-gen;Zhou Jin-kui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The 4th International Transport Symposium
    • /
    • pp.59-64
    • /
    • 1998
  • The Railway Station for Passenger Transpor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railway transport business. It is also the main changing hub in the comprehensive traffic system in cities. This passage, taking Shanghai Railway Station as an example, deals with the modem management of the railway station for passenger transport and the double-ring quality system of the setting-up of the three flows(the passenger, the train and the luggage and the two operation procedures dispatch and arrival)

  • PDF

전통시장 아케이드의 설치 및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A Study of Efficient Measure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Traditional Market Arcades)

  • 김영기;강헌수;김승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15-30
    • /
    • 2012
  •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10년이 경과하였고, 전국 835개 이상의 시장이 이미 사업을 완료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공적 소유물인 다양한 시설에 대한 명확한 설치기준과 유지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로 인해 실제 시설 설치에 따른 이해관계자들의 민원 발생으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거나 지방자치단체마다 각기 다른 시설 설치 기준을 확보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유지·관리를 위한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 특히 아케이드 관련 사업은 2010년까지 전국 694개 시장에 아케이드 설치를 위한 사업비가 지원되었다. 지원 사업이 전개된 이후 짧은 기간 동안 급속하게 증가 된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데, 이처럼 많은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케이드 설치 및 향후 유지와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아케이드 시설의 경우 새롭게 조성된 환경에 대한 기초적 자료나 이용실태 조사 및 평가 없이, 그리고 공적(公的)환경을 정비하는 종합적인 접근 시각이 부족한 상태에서 단순히 비 또는 햇빛을 가리는 장치물로서 계획 및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공 시설물임에도 불구하고 유지·관리에 대한 명확한 주체와 가이드라인이 없어 초기에 아케이드가 설치된 시장의 경우 시설 보수, 유지 및 관리에 대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 사업비 지원 요청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현대화사업에 의해서 설치된 전통시장의 시설물 중 아케이드를 중심으로 이용실태 및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 도출 및 해외사례를 통하여 효율적인 설치 및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1970년대 전통 이념과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 (A Study on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Tradition' of the Theatre company Minye in 1970s)

  • 김기란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45-86
    • /
    • 2020
  • 이 글의 목적은 70년대 국가권력에 의해 소환되었던 전통 이념이 '전통의 현대화'라는 명목 아래 당대 한국연극 현장에 수용되었던 양상과 그 함의를 밝히려는데 있다. 이는 다른 한편 70년대 전통 논의를 둘러싼 한국연극계의 자기검열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민족극을 창안하는 방식으로 70년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를 선점했던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제까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에 대한 평가는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내세운 허규의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공연예술적 성취 여부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70년대 국가가 주도한 문화정치의 장(場)에서 구성된 전통 이념과 그것이 작동된 양상은 예술적 성취라는 측면에서만 평가할 수 없다. 무릇 전통을 전유하려 한 주체의 선택적 기준에 따라 전통 이념은 선별되고, 선별된 전통 이념의 선택 과정에서 특정 대상들이 배제, 폐기, 재선별, 재해석, 재인식된다. 70년대 비문화로 호명되었던 서구적인 것이나 퇴폐불온한 것과의 차이 속에서, 전통이 전유되었던 70년대의 상황도 이로부터 멀리 있지 않다. 국가가 주도한 70년대의 전통 논의는 전통의 특정 이념을 안정된 가치로 합법화했는데, 그것을 작동시킨 한 방식은 국가의 문예지원이었다.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은 당시 연극 위기론의 구체적 대안으로 선택되었던 전통의 현대화를 바탕으로 민족극을 지향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전통연희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는바, 특히 극단 민예 극장의 대표 연출가 허규에게 전통은 거부할 수 없는 안정적 가치였고 그것의 계승과 변용은 의심할 바 없는 소명으로 내면화되었다. 그 결과 허규가 연출한 극단 민예극장의 공연은 일정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전통연희의 관습들로 채워진 숙련된 장인술로 귀착되었다. 70년대의 전통 이념은 80년대 들어 새로운 전유의 양상으로 전개된다. 1986년 극단 민예극장의 핵심 단원이었던 손진책, 김성녀, 윤문식 등은 민예극장을 탈퇴하여 극단 미추를 만든다. 극단 미추는 연출가 손진책을 중심으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마당놀이를 선보이며 전통의 대중화를 끌어냈다. 전통연희에 내재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했던 대학가의 마당극처럼, 손진책의 마당놀이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 위압적인 국가권력을 비판하고 조롱함으로써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70년대 전통 논의의 자장 안에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하며 자생한 마당극이나 전통의 대중화를 성취한 극단 미추의 마당 놀이는 예술적 성취로써만 평가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통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측면에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성취한 것 역시 70년대 전통이 소환되었던 맥락을 제외하고 독립적으로 평가될 수 없다. 70년대 국가 주도의 전통 논의에 대응한 한국연극 평단의 시각이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공연예술의 질적 성취에만 집중된 대목이 아쉬운 것은 그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당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와 그 실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이 한 계기로 작용했을 대중적 마당놀이나 민중저항의 마당극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전통을 전유하는 방식, 곧 전통의 계승과 현대적 변용과의 '차이' 속에 정립되었다. 계기는 되었으나 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해내지 못한 점, 이것이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이 70년대 한국연극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이자 한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