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Curriculum

검색결과 4,542건 처리시간 0.037초

초·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 비교: 제7차 교육과정 이후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Verbs i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7th, 2007, and 2009 Revision)

  • 조광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39-25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과 내용 진술에 사용된 서술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에 따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취기준 및 탐구 활동 진술에 사용된 문장의 마지막 서술어 1383개를 대상으로 종류 및 빈도 등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평균적으로 '안다'(15.0 %)가, 중학교에서는 '이해한다'(24.2 %)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교육과정별로 살펴보면,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해한다'의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초등학교에서 관찰, 조사와 같은 탐구 활동을 뜻하는 동사가 상대적으로 자주 등장하였다.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초 중학교를 합쳐 '설명한다'가 최빈 동사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안다'와 '이해한다'가 각각 1, 2 순위를 차지하였다. 세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이해한다'와 '관찰한다'는 비교적 고르게 사용된 반면에 '안다'는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빈도가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이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2007년 개정 초등 5, 6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Matter Units from the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지은;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matter' units from each science textbook for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developed by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Practical Activity Analysis Inventory proposed by Millar(2009) to examin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objects and materials), mi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ideas), and logical structure each activity h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learning objectives of the inquiry activities seems to be suitable for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properly reflected in ha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Third, mi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are well developed to meet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whole. Fourth, the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are mostly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textbook for the fifth graders, however, all the activities are focusing too much on using students' current ideas to generate a prediction and collecting data to explore or test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has concluded that learning objectives, minds-on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need to be designed carefully for students to be exposed to various activities when developing following textbooks.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Linear Function in Constant Velocity Movement: Focus on Integr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Science)

  • 신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19-4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과 과학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에, 중 고등학교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수학과의 목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외국의 통합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근간하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유형,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에 기반을 두고 수학과 과학에서 공통이 되는 개념, 원리,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수학 시간에 활용할 것을 권하였다. 그 후에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연구도구로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학생들은 등속운동을 탐구하면서 일차함수가 발생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시간과 속도_. 시간과 이동거리의 관계식과 그래프를 개발하고, 이 식과 그래프를 연결하여 기울기의 실제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초.중등 학생의 로봇교육을 위한 수학.과학과 교육과정 연계 로봇 소양 교육과정 개발 (A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Robot Literacy Related with A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신승용;조혜경;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5-7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로봇 교육의 지속 발전성을 제고하고 지원할 목적으로 로봇 소양 교육과정을 구성해서 제안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로봇 소양 교육을 기존의 문해력에 관한 내용을 참고하여 정의했으며, 아울러 로봇 소양의 요소들도 모두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시했다. 여기서 제시한 로봇 소양 교육의 영역은 로봇의 기초 영역과 로봇 공학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한 로봇과 함께하는 측정, 관찰, 로봇으로 만드는 운동과 표현, 나만의 로봇 설계 그리고 종합적 활동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로봇 소양 교육과정 개발 단계는 Tyler(1949)의 고전적인 교육과정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로봇 소양 교육과정 구성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초, 중학교의 수학, 과학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로봇 소양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 PDF

공학교육혁신을 위한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Study on Operation Strategy of Track-Based Curriculum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Industry)

  • 유윤섭;유동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3-37
    • /
    • 2012
  • 한경대학교는 산업대 체제에서 일반대 체제로의 전환에 따라서 기존의 교육과정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트랙제 교육과정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트랙제 교육과정 운영방안 연구를 위한 TF 구성 및 교내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등 트랙제 제도 도입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를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2년 봄학기부터 트랙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트랙제란 학문이나 특정 분야의 심층성과 전문성을 증대하고자 학과 내 커리큘럼을 세부 전공으로 나누고 학생들이 이를 이수할 경우에 해당 학과/기관에서 각각의 전문성을 보증해 주는 제도이다. 트랙은 기본적으로 특정 교육 대상, 교육 대상의 주로 활동하게 될 직무(직책), 교육의 수준, 교육과정 요구주체(기업 등)가 요구하는 내용으로 맞춤화된 교과목들의 집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트랙제 교육과정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소개하고 트랙제를 운영하는 통합학과 중의 하나인 전기전자제어공학과의 운영을 통해서 발생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PDF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Recognition and Teaching methods in Housing of Home Economics Text Book of Middle School)

  • 이은순;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30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recognition and teaching methods in Housing of Home Economics Text Book of Middle School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its curriculum. Home Economics teachers of the 433 schools responded in nationwide to the mailed questionaire. The selected data were manipulated by percent and verified in the way of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Home Economics teachers have ever taken teacher training but there are few who have never taken any teacher training in Housing. And even those who have ever taken the training in Housing are not satisfied with the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Hous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and that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and that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helpful for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2. It is necessary to allot more houres for Housing, in that most teachers actually allot more time for Housing than presented in teachers’guide, and to develop more teaching aids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 of Housing. In terms of the suitability of Housing to the students’learning development levels, the degree of suitability is in the order of the significance of housing, housing sanitation, the types of housing, the space for housing, the ground plan of housing,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The contents about the interior decoration and gardening of the existing text book have turned out not to be appropriate..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of residence and the curriculum, Housing is suitable for the city, but not for the farming, mining, and sea village, Teachers suggest tha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bout Housing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chool. 3. The number of the teaching aids for Housing is in the order of picture, charts and pamphlet but not sufficient.

  • PDF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공통과학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Based Assessment Standards and Instruments for High School Common Science)

  • 이양락;이선경;홍미영;홍재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9-172
    • /
    • 1999
  • 본 연구는 '97년에 수행된 "공통과학 국가공통 절대평가 기준 개발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고등학교 공통과학의 평가 기준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준 개발의 각 과정에서 과학교육 전공 교수, 고등학교 교사 교육부 관계관들과 협의회, 워크샵, 집중작업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된 안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성취기준 검토 및 수정: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성취기준을 현장 교사 대학 교수, 교육부 관계관 등의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였다. -평가기준 개발: 공통과학의 37개 중영역에 대하여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상/중/하로 판단할 수 있는 준거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 개발, 각 중단원의 성취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중단원별로 2조 이상 개발하였다. 선택형이나 단답형 평가도구 보다는 타당도를 중시한 수행평가(서술형, 관찰, 보고서, 포트폴리오 평가 등) 위주로 개발하였다.

  • PDF

데이터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적 연구 (An Analysis of Data Science Curriculum in Korea)

  • 이혜원;한승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65-38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2019년 10월 현재 우리나라에 개설된 데이터과학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과학 분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기존 연구와 데이터과학 분야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개설된 80개의 교육과정과 2,041개의 교과목을 대상으로 학문 영역 특징 기반 분석, 데이터 전문가 역량 기반 분석과 교과목명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의 데이터과학 전공 교육은 기술과 직업 실무적 관점보다는 학문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연구 중심의 전문적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았으며, 통계적 분석 역량을 중심으로 많은 교과가 개설되었고, 정보기술, 통계학, 경영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적 특성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의생활 수업 개발 -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가정과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중심으로 의생활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수업에서 교과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해양대학의 항해학 전공 커리큘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of Nautical Science in major Maritime Universities)

  • 김성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3-199
    • /
    • 2018
  • AI의 급격한 발전으로 자율운항선박의 개발도 머지않은 장래에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양대학의 교과과정은 이러한 시대적 발전추세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의무승선기간 만료 후 상당수의 초급 해기사들이 육상직으로 이직하는 현실에서 항해학 관련 세부전공 또한 진화하고 있는 해운산업의 전문분야를 교육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글은 주요 해양대학의 항해학 관련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들 국가들은 STCW를 인준한 국가들이므로, 항해사를 양성하는 데 STCW에서 요구하는 과정을 모두 교육해야만 한다. 이들 해양대학의 항해학 전공 커리큘럼은 대동소이할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실상은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주요 해양대학의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항해학 전공 교과과정이 적절하게 짜여져 있는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급격한 기술발전에 대비하고, 육상직으로의 이직에 대비할 수 있는 이상적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데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