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Curriculum

검색결과 4,495건 처리시간 0.032초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활성화 방안이 학교시설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선지원 후추첨제의 도입과 관련하여 - (A Study of School Facilities Requir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Elective - Bas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

  • 김재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5권2호
    • /
    • pp.14-30
    • /
    • 2006
  •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elective-bas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and to infer som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did three things. First, it tried to find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 courses they want to take for the elective-based curriculum. Second, it explored effect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elective-based curriculum in high schools with the introduction of students' 'pre-application and lottery-allotted system' of high school admission. Third, it tried to infer the changed policy'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points are to be emphasized for the future plan and design of high school facilities. First, different school facilities are needed for each school because each school would implement different types of school curricula. Second, schools should be provided with different sized classrooms and different number of classrooms because three different types of students are assigned for each school as a result of new students' allocation policy. Third, new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vide students who are assigned to unwanted schools with opportunities to take courses outside their schools because students assigned by lottery system cannot have so much opportunity as students who are allocated to chosen schools.

  • PDF

미용 교과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Cosmetology Education Curricula and their Improvement Measures)

  • 김진수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132
    • /
    • 2003
  • This research was attempted in order to raise the actual effectiveness of beauty education by reviewing the problems on beauty education curricula of junior colleges and arranging their countermeasures. This thesis suggests improvement plans of curricula in Korean beauty education as follows. First, one of the main aims of beauty education sought at a junior college should be verified that it is to raise beauty leaders, furthermore, by including artistic knowledge on top of skill-based education purposes we shall put more efforts improve and sublimate beauty art, not only as skills but also as art. Second, it is necessary to fix the department titl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curricula. The titles have to be standardized for the right recognition of each curriculum by dividing beauty into hair beauty, skin-care or make up with each curriculum based. Third,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major requisite subjects to be completed in certain units by each major among colleges as well as class hours. forth, the curriculum system needs to be revised in accordance with school system for example suitable curricula for each school system level of private institutes and secondary vocational institutes, high school, junior collage, university, post graduates, etc, I have to be developed and enforced.

  • PDF

e-러닝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과정 분석 연구 (Analysis of e-Learning based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Curriculum)

  • 이형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3-2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e-러닝 기반 교육과정이 확대되면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정보보호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e-러닝 분야는 정보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도로 대학 전공 교육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을 통한 교육방식으로 그 적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e-러닝을 통한 교육과정 중에서 정보보호 전공은 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IT839 등 차세대 신성장동력 유망분야 중에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이 시급한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e-러닝 현황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오프라인 형태의 정보보호 전공을 e-러닝에 기반한 교육 과정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필요로하는 전공 교과과정 구성 및 운영 방안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방안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of the 7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김영식;이연숙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4권
    • /
    • pp.157-169
    • /
    • 2003
  •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have a grasp of the problem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fter making an alternative plans of effective management. those were integrated and analyzed their own relations on the purpose of suggesting alternative plans to foster professional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order to improve real class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referred to sundry records related with instruc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also conducted a survey with 10 interviews such as researchers of central government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school commissioners in the ministry's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professors in the university of pre-teacher training, and teachers involved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to reduce and diversify of the sport contents in various levels. Also, it should instruct students based on physical educational knowledge, and it is made up to know the achievement of goals through evaluation tools and development of rules having propriety and reliability. Such a physical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ed from real class should inform continuously throughout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network of the school and mass media. So, it makes most people's recognition raise up, and we need discretionary author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bout time allocation of 45 minutes or 50 minutes for variety of lessons. And we need systematic installation such as reorganization of completion field in level of school.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변천에 따른 각기둥의 정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Prism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조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17
    • /
    • 2022
  •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주요 수학 교육내용인 각기둥의 정의가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변화해온 모습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의 방법을 외연적, 내포적, 동의적 방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방법이 매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쓰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9종류의 각기둥 정의를 추출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에서 교수학적 시사점을 찾았다. 특히 여러 각기둥의 정의에 대해 수준을 부여해 보았으며, 이 수준에 비추어 최근 교과서에 등장한 각기둥 정의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AI 운영학과 교육과정 개발 -C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of Department of AI Operation based on Industrial Demands -Focusing on the Case of C University)

  • 박종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95-799
    • /
    • 2022
  • 근래 인공지능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이에 대한 관심이 폭증하는 가운데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인공지능 관련 학과를 신설하거나 정원을 확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C 대학에서는 지역 내 산업기반에 맞추어 AI운영학과를 신설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설된 AI운영학과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고, 이 교육과정은 AIOps(Artificial intelligence for IT Operations)에 기초하여 산업체의 수요를 반영한 교과목을 중심으로 설계되고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체 전문가와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자문을 구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한국의 보건소 근무 치과위생사의 공중구강보건사업 수행업무실태와 대학교육간의 연관성 (Useful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ublic Oral Health Service Performance in Korea)

  • 유자혜;조영식;정원균;권호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65-1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치위생과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육과정이 보건(지)소 업무 수행에 미치는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치위생과 31개 대학의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과목의 시간 수를 조사 분석하고,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96명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 공중구강보건학 실습 및 구강보건통계학 영역의 업무빈도, 교육내용의 유용성, 중요성, 강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치위생과의 교육과정과 보건(지)소 업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위생과 교과목 관련 보건(지)소 업무로는 치면열구전색이 주 1회 이상 가장 많이 실시하고, 교육내용이 매우 유용한 것으로도 치면열구전색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매우 중요한 교육내용은 대상자별 잇솔질법, 교육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대상자별 구강보건교육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2. 업무빈도와 교육내용의 유용성과의 연관성에서, 업무빈도가 가장 높은 치면열구전색이 교육내용 중에서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이 중요한 대상자별 잇솔질교육,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보건관리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업무빈도가 높은 업무일수록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3.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영역은 업무빈도에 비해 교육 학습시간수가 적으므로 더욱 강화되어야하고,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은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건강관리 또한 학습시간수의 부족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 PDF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교수-학습 목표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ing & Learning Objectives of the Environmen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 구수정;김남례;김미화;권현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2호
    • /
    • pp.28-3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teaching & learning objectives of Environmen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the teaching & teaming objectives of three Environment textbooks currently use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omain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Report of UNESCO(1980). three Environment textbooks and their teacher's guide books are those printed by three companies(A, B, and C) and Joongahng co.. The five objective categories recommended by UNESCO ar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 skills and participation and six types of skills by National Curriculum Council of England are communication skills, numeracy skills, study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personal and social skill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It is showed that'Human and Environment'domain is emphasized roughly in the awareness and the knowledge section without any statement of the participation secti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s Counter-plan'domain in the knowledge and the skills sec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domain in the skills and the participation section of objectives. It is revealed that the skills section of the teaching 8t learning objectives is mainly involved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s Counter-plan'domain and'Environmental Conservation' dom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Environment Curriculum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 textbooks regarding objectives stated in the sub-domain level, it says those are generally appropriate ones. But some objectives are emphasized weakly or not at all in several sub-domains such as'The living environment to keep','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earth','Making environment pleasant'. It is proposed that the efforts to state objectives in the Environment textbooks evenly are needed to be paid (or the well-balanced teaching & teaming of the Environment subject.

  • PDF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Scratch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Primary School Scratch Curriculum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 안형진;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17-327
    • /
    • 2013
  • 정보교육의 강화와 함께 사고의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부터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 수준에서 순수 알고리즘을 이해하기는 무척이나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중 다루기 간편하며, 알고리즘의 교육에서 그 효과성을 검증받은 스크래치(Scratch)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교육과정 및 내용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 교육에서 중요한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개발하였고,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에 부합하고자 모둠활동을 통해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은 전문가 집단의 검증 및 정보담당 선생님의 설문 분석을 통해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 개념에 대한 고찰 (Examining the Concept of Matter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홍미영;전경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5-7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차 과학과 교육과정(화학 영역)에서 물질의 의미, 입자 개념, 물질의 상태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물질'이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material, matter, substance 등 서로 다른 의미로 혼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순물질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물질의 입자성에 대해서는 9학년에서 원자 개념, 10학년에서 이온 개념을 도입하기 이전에, 7학년에서 물질의 기본 단위로 분자 개념을 도입한다. 학생들이 물질의 구조에 대해 통합적으로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입자 개념의 제시 순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상태 변화에서는 물질 보존이나 가역성 등 주요 개념들을 교육 과정에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입자적 관점에서의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물질 개념은 화학에서 기본이 되므로, 이를 명확히 가르칠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