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농업

검색결과 4,957건 처리시간 0.035초

온라인 거래 신선 농산물의 저탄소 인증 프리미엄 분석 (An Analysis of Low-Carbon Certification Premium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on Online)

  • 이춘수;김현서;김현식;오진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5-391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nline transaction status of low-carbon certified fresh agricultural products and analyzed the low-carbon certified premium. For two months from March to April 2022, eight products (rice, apple, pear, sweet persimmons, paprika, tomatoes, cherry tomatoes, and lettuce) were surveyed at major online shopping malls. The low-carbon certification premium was analyzed using hedonic price analysis model. As a result of the online market survey, the low-carbon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were not traded in the case of rice, cherry tomatoes, and paprika. And the proportion of low-carbon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case of tomatoes and lettuce was low. As a result of the low-carbon premium analysis, of the five products that analyzed the low-carbon certification premium, four products excluding pear did not have a low-carbon certification premium. Thu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le of the low-carbon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by distributors, and various efforts to secure the premium of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re important.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농업을 위한 교육 서비스 표준모델 (Education Service Standard Model of Smart Farming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7-289
    • /
    • 2021
  • 스마트농업 교육은 자기주도형 학습으로 제공되어 공간,장소,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서비스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감시하여 서비스 제공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상황인지 기능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농업 교육서비스의 개념과 교육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 그리고 참조구조의 교육 표준 모델을 분석한다. 또한 스마트 농업 교육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네트워크 기반에서의 교육 서비스의 모델을 제시하여 스마트 농업 국내외 표준화 및 농업정보의 확산에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PDF

농업기상학의 역사 (Evolution of Agrometeorology at the Global Level)

  • Sivakumar, M.V.K.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7-139
    • /
    • 2004
  • 농업기상은 지난 100년 동안 서술적인 학문에서 물리학적 및 생물학적 법칙을 활용하는 정량적인 학문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농업인들은 기후와 기상정보의 이용으로 수익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더욱 길이 인식하게 되었고, 이는 농업기상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므로 21세기 농업기상의 필요성과 전망을 크게 두 가지 주제로 구분하는 것은 시의 적절하다 할 수 있다. 즉 농업생산을 위한 농업기상서비스와 이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농업기상지원시스템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농업기상지원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인 자료, 연구, 정책 및 훈련/교육/지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이다. 몬티쓰박사가 말한 바와 같이, 식량공급은 궁극적으로 기상자원의 잠재성을 탐구하거나 악기상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농민의 기술력에 좌우될 것이다. 장비, 자료관리체계, 기후예측, 작물모의, 농업기상정보 배분 등에 있어서의 최근 발전으로 인해 농민이 이러한 핵심기술을 습득, 향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이 농업기상학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농업기상기술의 현장활용은 그 전도가 매우 밝다 하겠으며, 이러한 기술의 현장활용을 통해 지속농업의 촉진 및 빈곤타파 등에 농업기상이 근원적인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총채벌레 및 고추탄저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 FT333 선발 (Sele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FT333 for Dual Control of Thrips and Anthracnose)

  • 이모란;정혜주;김재윤;김다연;안성호;이상엽;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9-490
    • /
    • 2018
  • 고추의 주요 병해충인 총채벌레(Thrips palmi)와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을 방제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지만, 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여 방제가 힘들어지고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효과와 탄저병에 항균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여 동시 방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13균주($1{\times}10^7conidia/mL$)를 오이총채벌레 성충과 약충에 처리하여 70~100%의 우수한 살충률을 나타내는 6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6균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고추 탄저병균에 대치 배양한 결과, 항균력이 우수한 FT333 균주를 최종 선발할 수 있었다. 최종 선발된 균주를 형태학적 조사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beta}-tubulin$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Isaria javanica로 동정하였고, I. javanica FT333으로 명명하였다. I. javanica FT333 (KACC93316P)의 고추 탄저병균에 대한 방제 효과를 기내에서 검정한 결과($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onidia/mL$)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 javanica FT333 균주가 고추 탄저병균과 미소해충인 오이총채벌레를 동시에 방제하기 위한 미생물제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경사지 빗물자원화 시설의 안정성 검토방안 연구 (Stability Analysis of Rainwater Resources Facilities on the Slope)

  • 윤용철;윤성욱;임재운;오태한;김영주;서원명;유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79-8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빗물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여 대상 단면에 대해서 그 운영과정을 가정하여 안정해석 방안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안정해석에서는 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인 상황을 가상하여 실제 지반조사 자료를 근거로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이상상황에 대한 해석결과보다는 정상상태로 운용하는 경우에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조의 규격결정시 토질조사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sobara japonica의 벗초파리 발육단계에 따른 기생특성 및 살충효과 (Parasitic Characteristics and Insecticidal Effects of Asobara japonica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Drosophila suzukii)

  • 윤승환;이진구;장재은;한정아;김상우;김아영;서홍렬;이영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13-314
    • /
    • 2021
  • 벗초파리기생벌인 A. japonica의 벗초파리 유충의 발육단계에 따른 기생특성과 기생당한 유충과 번데기에서 형태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A. japonica의 우화기간이 벗초파리 우화일수 보다 더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japonica는 벗초파리 유충에 효과적인 기생 및 살충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벗초파리 방제를 위한 천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분홍색 홑꽃형 스프레이 국화 '드림문'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Dream Moon' with Pink Color and Single Type)

  • 정윤경;임재욱;이상덕;이영순;유예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06-610
    • /
    • 2010
  • '드림문'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계통의 국화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황색 스프레이 국화 'Patra (yellow)'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Sei-Rosa'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2계통을 예비 선발하였다. 2006-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과 품평회로 4번째 개체인 'GCS06-27-4'를 최종선발하여 '드림문(Dream Moon)'으로 명명하였다. '드림문'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경으로 전형적인 추국 형태의 품종이며, 고온기인 여름철과 관수를 많을 주었을 경우 화색이 아주 연한 분홍색이 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분홍색(PG76D) 스프레이 형태로 3중의 꽃잎이 있는 홑꽃형이며 꽃잎수는 24.6매이고, 화경은 5.6 cm, 엽색은 녹색(Green Group 137B)으로 절화장은 86.6 cm로 중간종이다. 저온동계 검정에 의한 흰녹병 발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절화 수명은 20.7일로 양호한 편이다.

도심형 에너지 자립 스마트팜 서비스 모델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Construction of Urban-type Energy Self-Supporting Smart-Farm Service Model)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305-1310
    • /
    • 2019
  • 현대의 농업은 자원위주의 농업에서 과학기술 위주의 농업으로 변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융합된 농업은 새로운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능적인 스마트팜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연구소, 산업계가 협력하여 스마트팜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여 보다 지능적인 농업환경을 구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건물 옥상을 활용하여 여가시간의 활용과 농업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도심형 에너지 자립 스마트팜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IT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팜의 다양한 데이터를 원격지 서버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스마트팜 내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HMI 모듈을 개발하여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스마트팜을 관리하도록 한다. 서비스 모델은 모바일 기반으로 스마트팜의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다.

유기자원 연용이 유기농 옥수수 밭토양의 화학성과 옥수수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c Materials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Yield of Corn in Organic Upland Soil)

  • 공민재;안필균;정정아;이초롱;이상민;안난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239-1248
    • /
    • 2020
  • This study performed to conduct a test to increase the amount of appropriate organic matter input to organic upland soil, soil fertility, and its effect on the chemical changes and yield of corn in soil due to organic use. The pH level of the T1, T5, and T6 treatment zones where livestock excreta was used was raised to 6.0-6.5, the optimal range of the soil in Kore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value was appropriat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content (OM), and total nitrogen (T-N) were also identified as a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The quantity of corn gradually increased from 74.1% to 96.4% over the four-year period with the use of organic materials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test,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nitrogen has also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und to have been able to examine the increase in quantity and changes in soil chemistry through crop cultivation using organic materials such as natural materials, green manure crops,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change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soil environment, soil microbes, and climate conditions need to be mad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서리발생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Study on Improvement of Frost Occurrence Prediction Accuracy)

  • 김용석;최원준;심교문;허지나;강민구;조세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5-30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서리발생과 관련된 기상요인을 선정하여 랜덤포레스트(RF)를 이용한 서리발생 유무 분류모형을 구축하였고, 이와 더불어 기상인자의 중요도와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는 방법들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서리발생에 대한 분류 모형을 구축할 경우에 데이터 세트의 양이 많더라도 모형 구축을 위해 학습하기 위한 데이터 세트에서 특정 값이 월등히 많은 불균형은 모형의 예측력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수집된 25지역의 서리발생과 관련된 기상요인에 대해 지역별로 그룹화하여 중요도가 높은 기상요인을 반영한 모형 구축하는 것보다 하나의 통합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와 서리예측을 위한 기상요인에 대한 추가분석 연구를 수행한다면 정확도 높은 서리발생 예측모형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