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 Education and Research

검색결과 17,663건 처리시간 0.047초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고등 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tudents' Misconception about the Properties of Gas in Secondary School)

  • 유승아;구인선;김봉곤;강대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4-577
    • /
    • 1999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입자개념과 분자운동에 관한 개념을 바탕으로 기체의 상태변화, 분자운동, 압력과 부피, 기체법칙 등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중${\cdot}$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고, 그 오개념의 분포상황을 고찰함으로서 개념 학습의 효율화를 추구하고, 교사에게는 관련 단원의 학습 전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1O0명, 고등학교 2학년 150명을 대상으로 기체의 성질과 관련된 개념조사 문항지를 개발하여 오개념의 유형을 조사하엿다. 그 결과 학생들은 기체의 성질에 대한 다양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주 오개념은 다음과 같다.(1) '기체 분자들끼리 부딪혀 에너지를 방츨한다' 또는 '기체 분자들 사이에 공기가 채워져 압력이 나타난다'를 비롯하여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과 관련 있다', (2) 온도에 따른 부피변화에서 '분자가 열을 받으면 분자의 크기가 커져 부피가 증가한다'와 '분자수가 증가해 분자들의 운동이 활발하다', (3) 고도에 따른 압력과 부피 개념에서는 지상에서 높이 을라감에 따라 압력이 낮아지는 것은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와 '기체 분자의 압력은 기체분자의 충돌 수에 반비례한다', (4) '분자의 크기가 다르므로 같은 부피에 존재하는 분자수가 다르다' 등이었다.

  • PDF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에서 수행되는 연구윤리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에 대한 멘토 과학자와 교사의 인식비교 (Comparison between Mentor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of Creation of an Ethical Research Environment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in High School)

  • 이지원;이범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7-439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와 교사는 연구윤리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사사교육에서 윤리적 교육환경을 어떻게 조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급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사사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과학자 32명과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윤리교육의 내용에 대하여 과학자와 교사 모두 위조, 변조, 표절하지 않기를 가장 우선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수준에 대해서 과학자와 교사 모두 고등학교급 과학영재에게 대학생 수준의 연구윤리를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육방법에 대해 교사는 연구수행 중 각 단계별로 필요한 윤리적 의사결정의 개별 교육, 과학자는 연구노트 작성법 지도가 가장 순위가 높았다. 연구윤리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교사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를 들었고, 과학자는 연구윤리가 학생 스스로의 문제라고 인식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과학영재가 윤리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교사는 연구지도에 주어진 시간, 과학자는 멘토의 윤리성이라고 보았다. 윤리적 연구 환경의 조성 방법에 대해 교사는 실패가 용인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자유도를 늘리는 것이라고 하였다. 윤리적 연구환경 조성의 주요 어려움으로 교사는 연구시간의 제약, 과학자는 결과에 대한 압박을 들었다. 이 결과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 교육 중 어떻게 연구윤리를 교육하여야 하는지와 어떻게 윤리적 연구 환경을 만들어나갈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과학적 소양 관련 논문에서 서술자의 종류와 빈도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Kind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Descriptors in the Articles Related to Scientific Literacy)

  • 이명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01-413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kinds and frequencies of descriptors in 154 articles in ERIC data base on the 4th day of January in 2010. The titles of the articles includes the words, 'scientific literacy'. As each descriptor is constituted of two words and over, in this study the first word in the descriptor was defined as 'restrictive word' and the rest word(s) as 'target w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ors which show high frequencies of target words are the traditionally important themes of scientific literacy education. Target words which show relatively high frequency are 'educ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countries'. Low frequency word is 'curriculum', which has various restrictive words and represents wide differentiation. Second, among the descriptors which show low frequencies of target words, relatively high frequency descriptors are '(and)society', 'change', 'secondary education', 'concepts', and 'biology', which have been given more attention in scientific literacy research than the rest descriptors. Third, the number of the descriptors that shows largely distributed pattern A, which happens over 15 years continuously, is over the half of all analyzed descriptors, which shows that they have been the major objectives in researches about scientific literacy. Most descriptors of pattern A shows normal distribution of frequency or the trends of increasing frequency as the time is nearer. Fourth, The descriptor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span. Each research trends are as follows. In later 80s, the research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ociality and technology in all level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later 90s the research for educational change of inquiry-centered science curriculum which considers technological literacy in social contexts. In earlier 2000s the research that scientists and science teachers develop science curricula mostly related to scientific principles and thinking in chemistry and biology especially. In later 2000s case studies which relates teaching methods and science process activities to students' attitudes, scientific concepts and curricula.

  • PDF

미국 회계교육연구의 동향 및 함의 (A Study on the Review and Implication of Accounting Education Research in America)

  • 노현섭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5권
    • /
    • pp.161-184
    • /
    • 2000
  • Accounting education research addresses a wide range of topics related to students, educational processes, educational outcomes, faculty, administrative structures, and the programs and constituents of accounting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accounting education researche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changes in this research literature and opportunities for enhancing its development. The total number of accounting articles published each year has increased. More significant is the increase in the portion of article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and the decrease in the portion of non-empirical articles. And the empirical studies were classified by type of study, by type of statistics used in the study, and by whether the study referred to other accounting or non-accounting literature. These analysis suggests a number of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accounting education research: (1) review relevant non-accounting literature, (2) seek empirical tests of fundamental relationships, (3) design multi-institutional and longitudinal tests, (4) provide for aptitude-treatment interactions, and (5) focus on educational outcomes.

  • PDF

학습자 활동 중심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Education Programme on Climate Change)

  • 최혜숙;김용표;조경숙;여성희;박기영;배미숙;이미형;장미화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초등학생용 교육 프로그램을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10개의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10개의 주제는 '날씨 측정', '계절의 변화', '과거의 기후 측정', '기후와 생물', '기후와 인간생활', '기후변화의 원인과 현상', '기후변화의 영향', '기후변화 대응'이다. 각 프로그램의 학습 단계는 도입 단계, 구체적 체험 단계, 반성적 관찰 단계, 추상적 개념형성 단계, 능동적 체험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태도의 함양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행동의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을 위한 실개천 체험 유러닝 콘텐츠 개발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우석;정철영;이재호;김재호;이윤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4호
    • /
    • pp.95-110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am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 the researchers commissioned detailed examination to experts to confirm validity, did a literature review and hosted expert forums. In addition, to enhance accessibility, they asked fairytale writers to develop easier and more valid scenarios and narrations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content is for 18 hours of education and has three sections: i) Preparation, ii) Exploration, and iii) Arrangement. Since the content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CROM, it is expected to have re-usability, accessibility, compatibility and durability.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of u-learning contents suggested in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group commissioned evaluation to ten exper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of each school level. Recommendations for applying the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content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nd provided both online and offline so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fully utilize them. To this end,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u-learning training centers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be used. Since content requires interaction not only between learners of the content but also between learners and operators, addition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learning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conten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PDF

A comprehensive review on Tukhme Kunjud (Sesamum indicum Linn.) with special reference to Unani System of Medicine.

  • Khatoon, Rizwana;Abbasi, Hana;Aslam, Mohammad;Chaudhary, Shahid Shah
    • 셀메드
    • /
    • 제9권3호
    • /
    • pp.2.1-2.7
    • /
    • 2019
  • Sesame (Sesamum indicum L.) is a rich source of edible oil most commonly it is used as a food product mainly in bakeries and also use as a common source of oil in daily kitchen needs. Due to the presence of some special phytochemicals like proteins, fibers, oil, minerals and antioxidants it is highly used for medicinal and therapeutic purposes. It is a good source of energy and act as an antiaging agent. Its seeds are used as Anti-helmintic, antihypertensive, antimicrobial, cytotoxic and Hepatoprotective but its seed coat which is a byproduct of sesame and a cherished source of fibers is normally use for animal feedstuff. In Unani system of medicine it is used both as drug & diet (dawa wa ghida). In classical Unani literature it is indicated in various disorders like Asthma, Dry Cough, Gastritis (due to any drug, excessive use of alcohol), Dryness of Intestine, Dryness in throat, Renal Stone, Bleeding Piles, Amenorrhea, Retention of urine, Dysuria, Orchitis, Sexual Debility, Anorexia. The present review article, an attempt have been made to compile all the pharmacological and Pharmacognostical characters of Sesamum indicum with special reference to Unani literature.

가정과 안전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6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에서의 안전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이 분야에서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교과 관련 15개 학회지의 논문 중 '안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경우와 안전교육 영역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 논문(244편)과 '안전'을 키워드로 제시하여 검색한 석 박사학위 논문(179편)을 대상으로전집 표집하였다. 분석 내용은 안전교육 관련 논문의 연도별 주제별 연구동향과 안전교육의 영역별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에서 안전 교육에 관한 연도별 연구논문의 편수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매년 14-52편으로 연간 평균 28.2편 정도 지속적인 안전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이어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15년에는 논문 연구수가 2014년의 26편의 2배인 52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이루어졌는데 이는 정부의 안전종합대책 발표와 교육부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안전내용 강조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연구 주제의 동향을 살펴보면 안전교육관련 논문은 137(29%)편, 안전실태 관련 논문은 336편(71%)으로 2009년 이전에는 사고 실태나 인식 조사가 많은 비율을 차지(74.4%)하였고 반면, 2009년 이후에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효과 검증, 교육자료 개발, 교육방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증가(21편${\rightarrow}$53편)하였다. 안전실태 연구 중 가장 많이 다룬 주제영역은 안전사고와 관련이 있거나 영향을 주고 받는 변인에 대한 주제로(23.2%) 그 변인과 관련된 주제는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터넷 중독의 영향 요인, 부부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 식품 구매 의사 영향 요인, 또래 괴롭힘 요인, 자살시도 요인 등과 관련된 연구 등이었다. 다음으로 안전 인식에 관련된 연구(13.9%), 안전지식 및 태도(7.4%), 안전행동(6.3%), 안전의식(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 관련 연구 중 가장 많이 다룬 주제영역은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11%)로 연도별로는 2015년에 가장 많았다(21.1%). 셋째, 안전교육의 8개 영역 중 생활안전이 143편(33.8%), 폭력 및 신변 안전 106편(25.1%), 안전에 대한 일반적인 주제나 안전의 영역 전체를 다룬 논문 93편(22%), 약물 및 인터넷 중독 안전 58편(13.7%) 순으로 나타났고, 응급처치와 관련된 논문은 없었으며, 직업안전의 경우 1편(0.2%)이었다. 직업안전의 영역은 가정교과에 관련단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게 연구되고 있었고 응급처치는 가정교과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었지만 실습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대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89.1%)으로 조사연구(70.4%)와 실험연구(18.7%)가 대표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안전교육의 실태조사연구와 효과 검증인 실험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질적연구로는 안전사고 실태와 관련된 현상학적 연구(3.1%)와 사례연구(3.1%)가 있었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혼합된 형태는 10편(2.4%)이며,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동시에 진행된 연구도 있었다(0.9%). 연구대상에서 인적환경에 대한 연구(87.5%)가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12.5%)보다 많았고 교사나 학부모에 대한 연구(20.6%)에 비해 학생에 관한 연구(48.4%)가 많았다. 물리적인 환경 대상은 학교(6.5%)가 가장 많았지만,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는 하나도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추후에는 안전교육을 평가하는 평가도구 개발 연구와 직업안전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 측면을 주제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대상을 전 생애 관점의 인적환경과 함께 가정을 대상으로 한 물리적 환경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 개개인을 관찰하고 면담을 통한 심도 있는 질적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에 대한 안전보건관리자와 근로자의 인식 (A Surveillance Study of the Viewpoints o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Training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Workers)

  • 김기웅;박진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6-283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viewpoints o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training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SHMs) and workers. Subjects and Methods: A surveillance was made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78 SHMs and 122 workers to survey their viewpoints on the MSDS training.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Version 12.0 SPSS Inc., USA).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contrasts with the cognition of SHMs' and workers' on the education of MSDS and the program preference for education efficiency of MSDS. Workers were significantly more interested in the MSDS education than the SHMs did. Workers preferred the education program which is easily to be understood, to voluntarily participate on MSDS education, but SHMs did the quiz program. Also we found that the SHMs wanted to learn the education program via the expert(37.3%) rather than education resources(33.3%) which were served by government or relevant agency. In contrast, workers wanted the audio-visual education program, which is mainly consisted of accident cases (33.3%), rather than periodical education program(22.1%).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effectiveness of MSDS educ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program served by company, and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workers should be made practical and attractive.

MBL 시범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탐구능력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MBL Exhibition Class on the E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and Affective Characters)

  • 허은영;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MBL Exhibition Clas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and affective characters. For the purpose, three classes were sampled in the 5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Among the three classes, two were designated as the comparative classes consisted of 68 students and the other was the experimental class, 33 students. The comparative classes were given lessens according to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experimental class was given re-built lessons with using MBL machines. Before and after giving lessons, students of both classes took a test for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also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and affec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est after giving lessons,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lasses meaningfully. Second, scientific research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class was shown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classes meaningfully. Specially, basic research abilities were improved very meaningfully and only hypothesis-building ability was improved among integrated research abilities. Third, it doesn't seem that MBL exhibition class is effective on affective characters(interest,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