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36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5초

SPADE 기반 U-Net을 이용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의 도시 변화탐지 (Urban Change Detection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Using U-Net Based on SPADE)

  • 송창우;;정지훈;홍성재;김대희;강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579-159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도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SPADE기반의 U-Net과 객체 영역기반 변화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기존의 U-Net에서 공간 정보를 잃지 않기 위해 SPADE를 사용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변화탐지 방법은 계획, 예측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IR-MAD 등 전통적인 방법인 화소 기반의 변화탐지를 수행할 경우, 다중 시기 영상 간의 기후, 계절 변화 등에 의해 화소의 변화가 민감하기 때문에 미변화 지역들이 변화 지역으로 오탐지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위성영상에서 도시를 구성하는 객체에 대한 변위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 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공간 객체를 정의하고, 딥러닝 기반 영상 분할을 통해 추출한 후 영역 간의 변위 오차를 분석하여 변화탐지를 수행한다.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공간 객체로 건축물, 도로, 농경지, 비닐하우스, 산림 영역, 수변 영역의 6개로 정의하였다. KOMPSAT-3A 위성영상으로 학습한 각 네트워크 모델을 시계열 KOMPSAT-3 위성영상에 대한 변화탐지를 수행한다. 객관적인 성능 평가를 위한 변화탐지 지표는 F1-score, Kappa를 사용한다. 제안하는 변화탐지 기법은 U-Net, UNet++ 대비 뛰어난 결과를 보이며, 평균 F1 score는 0.77, kappa는 77.29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근접방사선치료용 CsPbBr3 선량계 제작 및 적용가능성 평가 (Development and Feasibility Evaluation of CsPbBr3 Dosimeter for Brachytherapy)

  • 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05-410
    • /
    • 2022
  • 근접방사선치료에서는 종양조직을 사멸시키기 위하여 선원을 인체 내부에 삽입하기 때문에 선원의 위치 정확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되는 검출기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보다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기존 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CsPbBr3를 사용하여 근접방사선치료용으로 사용가능한 선량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192Ir 선원에서의 재현성, 선형성, 거리의존성 분석하여 선량계의 기초 성능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평가 결과, RSD는 1.36%로 기준치 1.5%를 만족하였다. 선형회귀분석에 따른 선형성 평가결과, 0.9993의 R2값으로 기준치 0.9990 이상의 R2이 제시되었다. 거리의존성 평가결과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지수적으로 일정하게 감소하는 신호값을 확인하였다. 재현성, 선형성, 거리의존성 평가결과에 기준 이상의 성능을 제시하여 제작된 CsPbBr3 선량계가 근접방사선치료용 선량계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여주었다.

나프록센이 각인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다층 바이오소재의 제조 및 약물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Drug Release Properties of Naproxen Imprinted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Multi-Layer Biomaterials)

  • 조은비;김한성;황민진;윤순도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61-169
    • /
    • 2023
  • 본 연구는 allbanggae starch (ABS), polyvinyl alcohol (PVA), alginic acid (SA)를 이용하여 naproxen (NP) 각인 starch 기반 다층 바이오소재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과 약물 방출 제어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FE-SEM과 FT-IR 분석에 의해 제조한 다층 바이오소재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물 방출 제어 효과와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NP 각인 다층 바이오소재로부터 NP 방출 특성을 사람의 체온인 36.5 ℃에서 다양한 pH buffer solution과 인공 피부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P는 낮은 pH보다 높은 pH에서 1.3배 더 빠른 방출을 나타냈고, single-layer 바이오소재에서보다 multi-layer 바이오소재에서 약 4.0배 느린 방출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인공 피부 방출에서도 동일하게 single-layer 바이오소재보다 multi-layer 바이오소재에서 약 4.0배 더 느린 약물 방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ouble-layer와 triple-layer 바이오소재 모두 1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NP가 방출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NP 방출 mechanism을 규명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링에 적용하여 비교했을 때, pH buffer solution에서의 방출은 Fickian diffusion mechanism, 인공 피부 방출은 empirical mechanism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조형상 공간상관을 고려한 인공지능 기반 변위 추정 (Estimation of Displacem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dering Spatial Correlation of Structural Shape)

  • 신승훈;김지영;우종열;김대건;진태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부분 변위값으로 전체 구조물의 변위 형상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학습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3차원 공간에서 변위 형상 및 노드 위치 좌표의 특성을 학습에 반영할 수 있는 Image-to-Image 변위 형상 학습과 위치 특징을 결합한 변위 상관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인공지능 학습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목업 구조 실험을 진행하였고, 3D 스캔으로 측정한 변위값과 인공지능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인공지능 예측 결과는 3D 스캔 측정 결과에 비해 5.6~5.9%의 오차율을 보여 적정 성능을 보였다.

카바마제핀 각인 도토리 전분/PVA 기반 바이오소재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arbamazepine-Imprinted Acorn Starch/PVA-Based Biomaterials)

  • 김경중;강지훈;김보경;황민진;윤순도
    • 공업화학
    • /
    • 제35권3호
    • /
    • pp.192-199
    • /
    • 2024
  • 본 연구에서 carbamazepine (CBZ) 각인 도토리 전분(acorn starch, AS)/PVA 기반 바이오소재를 casting method와 UV 조사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 CBZ 흡착 및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한 바이오소재의 표면 특성은 FE-SEM을 통해 확인하였고, UV 조사에 따른 CBZ의 안정성과 바이오소재 작용기는 FT-IR 분석을 이용하였다. CBZ에 대한 바이오소재의 흡착 특성은 binding isotherm 및 Scatchard plot으로 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CBZ 각인 바이오소재에 CBZ 결합 부위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6.5 ℃에서 다양한 pH의 완충용액과 인공피부를 이용해 제조한 바이오소재의 CBZ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 CBZ는 pH 가 증가할수록 빠른 방출 속도를 보였으며, 인공피부 테스트에서 12 h 동안 지속적으로 방출되었다. 또한, 수학적 모델을 적용시킨 결과, 완충용액에서 CBZ 방출 메커니즘은 pseudo-Fickian diffusion 메커니즘을 따랐고 인공피부에서 non-Fickian diffusion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Eugenol과 safrole을 부가한 chitosan 유도체 합성 (A Study on the Synthesis of Eugenolchitosan and Safrolechitosan)

  • 김제중;정병옥;장판식;박동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8-402
    • /
    • 2004
  • 신소재로 각광 받고 있는 chitosan의 낮은 수용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chitosan 유도체인 safrolechitosan(SaCs) 및 eugenolchitosan(EuCs)을 제조하고, 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이들의 점도평균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chitosan 및 chitosan유도체인 EuCs와 SaCs의 경우 각각 $1.2{\times}10^{5}\;Da,\;7.8{\times}10^{5}\;Da$$7.5{\times}10^{5}\;D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hitosan과 chitosan유도체의 구조분석을 위한 IR spectrum에서 SaCs의 경우, safrole의 공유결합에 의한 chitosan내 amine기와의 반응으로 인하여 순수 chitosau보다 amide II 흡수띠가 $1,553cm^{-1}$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chitosan내의 1차 amine기와 safrole의 이중결합이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흡수띠의 이동현상이 나타난 결과이다. 또한, safrole이 반응하면서 safrole내의 vinyl기를 의미하는 특징적인 peak인 C=C 및 $H_{2}C=$$1,611cm^{-1}$$1,442cm^{-1}$에서의 흡수띠가 사라졌으며, EuCs의 경우에도 반응물질로 사용된 eugenol내의 vinyl기를 나타내는 $1,612cm^{-1}$$1,434cm^{-1}$에서의 흡수띠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1}H-NMR\;spectrum$을 확인한 결과, 합성유도체의 경우 safrole과 eugenol 간량체의 5.7-6.0ppm에서 나타난 이중결합($H_{2}C=CH-$) peak가 사라지고, SaCs는 2.1-2.2ppm에서, 그리고 EuCs는 1.9와 2.2ppm에서 단일결합($-CH_{2}-CH_{2}-$)의 peak가 생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safrole과 eugenol이 chitosan에 그라프트된 후 safrole과 eugenol의 영향으로 chitosan내의 $H_{3}-H_{6}$의 수소 숫자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3.1-3.9ppm에서 나타나는 peak의 크기가 작아짐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SaCs 및 EuCs를 합성하기 위한 그라프트 반응이 정상적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게스테론과 시클로덱스트린류 간의 복합체 형성 및 수성 주사제 설계 (Complexation of Progesterone with Cyclodextrins and Design of Aqueous Parenteral Formulations)

  • 최희정;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1권3호
    • /
    • pp.151-16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progesterone with various cyclodextrins (CDs) in the aqueous solution and in solid state, and finally to formulate a parenteral aqueous formulation. CDs used were ${\alpha}-$, ${\beta}-$, and ${\gamma}-CD$, $2-hydroxypropyl-{\beta}-CD$ (HPCD), sulfobutyl $ether-{\beta}-CD$ (SBCD), $dimethyl-{\beta}-CD$ (DMCD) and $trimethyl-{\beta}-CD$ (TMCD). The solubility studies of progesterone wer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CDs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The solubility of progesterone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alpha}-CD$ < ${\beta}-CD$ < ${\gamma}-CD$ < TMCD$ < HPCD < DMCD < SBCD. Addition of SBCD (200 mg/ml) in water increased the aqueous solubility $(9.36\;{\mu}g/ml)$ about 3,200 times,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facilitated the solubilization of progesterone. However, the addition of HPCD and SBCD in 20:80 (v/v) polyethylene glycol 300-water and propylene glycol-water cosolvents markedly decreased the solubility of progesterone, compared with solubilizing effects in water. Physical mixtures and solid dispersions of progesterone with HPCD or SBCD were prepared, and evalu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near IR spectroscopy and dissolution studies. By DSC and IR studies, it was found that progesterone was dispersed in HPCD in monotectic state and dissolved rapidly from both solid dispersions. Based on solubility studies, new aqueous progesterone fonnulations (5 mg/ml) containing SBCD (200 mg/ml) could be prepared and did not form precipitates even after 2 months at $4^{\circ}C$. The solution was transparent when mixed with normal saline and 5% dextrose injection at 1: 1, 1:10 and 1:20 (v/v) even after 7 days. Permeation rates of progesterone through a cellulose membrane from 20% PEG 300 solution $(50\;{\mu}g/ml)$ containing HPCD or SBCD were compared with oily formulation. Permeation of progesterone from oily formulation did not occur up to 8 hr, but aqueous formulations showed fast permeation rates from early stage of permeation study. The addition of HPCD or SBCD retarded the permeation rates of progesterone with the increase of CD concentration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controlled absorption from the sit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t is feasible to develop a new progesterone parenteral aqueous injection (5 mg/ml) using SBCD.

  • PDF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구조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e Aanalysis and Synthesis of Polyester Polyol & Polyurethane)

  • 진경호;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1호
    • /
    • pp.31-36
    • /
    • 2014
  • Sebacic acid, isophthalic acid, 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를 각각 1몰씩 사용하여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올의 수산기가는 56.6 mg KOH/g이고 분자량은 1,980 g/mole 이었다. 합성한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toluene diisocyanate와 쇄연장제로 ethylene glycol, 1,4-butandiol, 1,2-propylene glycol을 각각 넣고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GPC로 측정한 3 가지 폴리우레탄의 분자량은 각각 5850, 6160, 6480 g/mole 이었다. FT-IR에 의한 구조분석에서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3600 $cm^{-1}$ 부근에서 -OH 기가 관찰되었고, 2950 $cm^{-1}$ 에서 sebacic acid의 -CH shoulder가 나타났으며, ester의 carbonyl group은 1730 $cm^{-1}$ 부근에서 나타났고, isophthalic acid의 benzene ring은 1600 $cm^{-1}$, 740 $cm^{-1}$에 관찰되었다. 폴리우레탄의 -OH 피크가 3600 $cm^{-1}$ 에서 나타났고, 3300 $cm^{-1}$ 부근과 1530 $cm^{-1}$ 에서 우레탄기 중의 -NH 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1H$ NMR에 의한 구조분석에서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sebacic acid는 1.3, 1.5, 2.1 ppm에서, isophthalic acid는 7.3, 8.1, 8.7 ppm에서, ethylene glycol은 4.2 ppm에서, neopentyl glycol은 0.8, 3.2, 3.9 ppm에서 관찰되었다.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유사하나 toluene diisocyanate의 도입에 의한 벤젠고리의 피크가 7 ppm에서 미약하게 나타났다.

Identification of QTLs for Some Agronomic Traits in Rice Using an Introgression Line from Oryza minuta

  • Rahman, Md Lutfor;Chu, Sang Ho;Choi, Min-Sun;Qiao, Yong Li;Jiang, Wenzhu;Piao, Rihua;Khanam, Sakina;Cho, Young-Il;Jeung, Ji-Ung;Jena, Kshirod K.;Koh, Hee-J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16-26
    • /
    • 2007
  • Wild progenitor species provide potential gene sources for complex traits such as yield and multiple resistances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nd thu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food supplies. An introgression line 'IR71033-121-15' was derived from a wild species Oryza minuta (2n = 48, BBCC, Acc No. 101141) at IRRI. Introgression analysis using 530 SSR and STS markers revealed that at least 14 chromosomal segments distributed over 12 chromosomes had been introgressed from O. minuta. An $F_{2:3}$ population from the cross between IR71033 and Junambyeo (a Korean japonica cultivar) consisting of 146 lines was used for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nalysis of 16 agronomic traits. A total of 36 single-locus QTLs (S-QTLs) and 45 digenic epistasis (E-QTLs) were identified. In spite of it's inferiority of O. minuta for most of the traits studied, its alleles contributed positively to 57% of the QTLs. The other QTLs originated from either parent, IR71033 or Junambyeo. QTLs for phenotypically correlated traits were mostly detected on introgressed segments. Fourteen QTLs corresponded to QTLs reported earlier, indicating that these QTLs are stable across genetic backgrounds. Twenty-two QTLs controlling yield and its components had not been detected in previous QTL studies. Of these, thirteen consisted of potentially novel alleles from O. minuta. QTLs from O. minuta introgression could be new sources of natural variation for the genetic improvement of rice.

SBR 가황물에서 용매추출 및 분리에 의한 PCA 오일 Type 확인법 (A New Method to Identify PCA Oil Type through Solvent Extraction and Separation Skills in a SBR Vulcanizate)

  • 김민생;손경숙;이중훈;김익식;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1호
    • /
    • pp.36-42
    • /
    • 2012
  • 공정오일 내 다핵성 방향족 화합물(PCA)은 무게함량 대비 3%이상 함유한 경우 피부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함량과 고함량 PCA 오일의 구분 기준은 PCA 함량 3%에 근거한다. 기준 함량 이상이면 발암성 물질인 고함량 PCA 오일로 DAE가 있으며, 기준 함량 이하이면 인체에 안전한 저함량 PCA 오일로 TDAE, MES, 파라핀 오일이 이에 속한다. 상기 4종류의 공정오일을 적용한 SBR 가황물에 용매 추출 및 분리로 오일을 정제한 후, FT-IR분광 기술을 이용하여 PCA 오일 종류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파라핀 오일이 적용된 SBR 가황물에서 고무 약품인 HPPD, TMDQ, 왁스, 공정조제(Structol-40MS)의 오일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리 정제된 오일로부터 저함량과 고함량 PCA 오일 구분은 방향족 치환체 흡수영역인 파수 864, 810, 754 및 파라핀 또는 나프텐 흡수영역인 파수 721의 상대적인 흡수세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