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T Subject Utiliz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PISA 2018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학생들의 ICT 접근성과 교과 활용도 분석 (An Analysis of ICT Accessibility and Subjects Utilization of Korean Students Based on PISA 2018 Data)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12월에 발표한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PISA의 ICT 배경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ICT 접근성과 각 교과별 활용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집에서는 ICT 접근성이 40.40%로 OECD 평균(43.01%)보다 조금 높은 17위이고, 학교에서의 접근성은 40.40%로 OECD 평균( 43.01%)이하인 21위이다. 이것은 3년 전의 최하위 그룹에서 중간 그룹으로 향상되었다. 9개의 교과의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는 비율은 2.96%로 OECD 평균(8.22%) 보다 매우 아래이고, 국가 순위는 31위이다. 이로써 국가가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교육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CT 활용 교육 활성화에 따른 정보교과 교육과정 고찰 -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기초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ubject Curriculum Considering ICT Using Education -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gland's ICT Curriculum)

  • 홍지영;한병래;김홍래;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45-154
    • /
    • 2001
  • 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 기본 교과 수업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10% 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등 ICT 활용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응용 프로그램 자체의 내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은 계열성과 중복성의 문제, 타 교과에서의 ICT 활용과의 연계성 결여 문제,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에 학생들을 제대로 적응시키지 못하는 문제 등이 제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구체적인 능력 중심의 목표 설정, 타 교과와의 체계적인 연결, 활동 중심의 수업 진행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제 정보교과는 도구의 기능 습득 차원에서 벗어나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학습자의 구체적인 능력 계발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PDF

Education Improvement Plan Related to Data Analysis & Processing in the ICT Field for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 Superintelligence

  • LEE, Seung-Woo;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02-109
    • /
    • 2021
  •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implemented based on superintelligence, new insights must be provided through convergence studies with other fields to find optimal solutions to create new ideas. In this paper, we intende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al education, which is an athlete's subject on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ield in the era of superintelli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aim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earl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w technologies by presenting probabilities and statistical curriculums that require linkage in the ICT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educational system diagram linking probabilities and statistics in the ICT field to prepare a mid- to long-term response strategy for ICT education in response to innovative changes. Third, through a survey, we intend to present an effective educational operation plan link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ICT major subject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probability, statistical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majors in this field.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PBL System for ICT Training)

  • 안성훈;구본주;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141-1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특성과 모형을 탐색한 후 6개의 구성요소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학습 안내, 학습 문제, 모둠 학습실, 학습 결과, 학습 도우미, 자유 게시판 등 6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실제 ICT 활용 초급자에게 적용한 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이 기존의 off-line 강의식 수업 방식에 비해 워드프로세싱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습 흥미도, 토론 참여도, 맞춤 클리닉 활용도, 학습자의 태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술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위한 XML 교수문서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 Teaching Document System for ICT Applied Technology Education)

  • 정덕길;이종구;한순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25-134
    • /
    • 2003
  • 21세기의 교육은 교육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연계 통합 교육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ICT 활용교육이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하나의 예로서 기술 교과의 교수-학습 전략과 유형을 제시하며, 기술교과의 수업 지도안에 대한 효율적인 XML 문서 생성 및 저장 시스템에 대한 구현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구현된 XML 교수 문서 시스템을 적용하여 교육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와 저장성을 높이고, 동일 업무에 대한 교육 자료의 재편집 과정을 감소시킴으로써 교육 자료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수업실태, 자료 활용도 및 문제해결 요구도 비교 (Comparison of Teaching Status,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ed to solve the Matters of Sex Education between the School Health Educators and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 이정란;안숙희;김영혜;조규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4
    • /
    • 2004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eaching status,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ed to solve matters of sex education between the school health educators and teachers working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Method: 182 school health educators and 125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frequency and x2 -test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Results: While school health educators carried out most of the sex educ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ers did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on sex education, although the majority of school health educators used the teacher's manual, only a few teachers used it. Most of the school health educators used the ICT teaching materials while only half of the teachers did. Regarding the methods to solve matters on sex education, school health educators responded that a sex-related subject should be combined with a health subject, and an independent sex-related subject was necessary. The teachers, however,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secure enough time for sex education, the sex-related subject combined with a health subject was necessary, and there is a need to designate a sex educator. Conclusion: School health educators utilized more teaching materials for sex education and suggested more active methods to solve matters related to sex education. Therefore, school health educators should be more active as sex educators, and the subject of sex education should be adopted as a regular course.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ICT 활용 학습의 유형과 특징: 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Using I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 허신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53-161
    • /
    • 2022
  • 현행 국가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들에게 길러야 할 핵심 역량으로 '정보활용능력'을 명시하였다. ICT를 활용한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된 된 상황에서 이 능력은 전통적인 교육에서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만큼이나 기초적이고 필수적이 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학습자의 기초 능력과 사회변화에 필요한 자질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초등사회과교육 과정에서 ICT 활용 학습의 특징을 검토하고, 이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습단원에 ICT 활용 학습이 배치되었으나, 주를 이룬 것은 '검색하기'와 '영상시청하기' 활동이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가장 초보적인 수준에 해당하는 '접근'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상위의 단계인 '이해'와 '창작'에 해당하는 활동은 매우 드물었다. 이는 그동안의 ICT 교육에 대한 성찰 과제를 남겼다. 단지 ICT 사용의 빈도수를 늘이는 데 집중하기보다는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목적을 둔 학습으로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ICT 학습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활용능력'은 다르게 계발되기 때문이다. 넷째, 디지털 자료 활용에 대한 책임감과 윤리의 문제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능력으로 포함시켰던 유네스코의 제안을 적극 수용하여, 이를 학습의 내용과 활동으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자동화 도구 개발 연구 - 영상데이터기반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tools to de-identify personal information of data for AI learning - Based on video data -)

  • 이현주;이승엽;전병훈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56-67
    • /
    • 2023
  • 최근 데이터 기반 산업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개인정보 비식별화가 2020년 8월 데이터3법[1]이 개정되어 명시화 되었다. 4차 산업시대의 원유[2]라 불리는 데이터를 산업 분야에서 활성화할 수 있는 기틀이 되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비식별개인정보(personally non-identifiable information)가 정보주체의 기본권 침해를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3]. 이에 개인정보 비식별화 자동화 도구인 Batch De-Identification Tool을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위해 사람 얼굴(눈, 코, 입) 및 다양한 해상도의 자동차 번호판 등을 라벨링하는 이미지 라벨링 도구를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 객체 인식 모델을 학습하여 객체 인식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개인정보 비식별화 자동화 도구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개인정보 침해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 기반 산업계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의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n Trend of Study Related to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Topic Modeling)

  • 문성윤;송기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07-619
    • /
    • 2019
  • 2015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ICT 소양 및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 왔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활동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출판된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된 19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주제어를 추출하여 그 단어들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워드 클라우드, 연결 중심성, 토픽 모델링분석을 실시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지금까지의 주된 연구에는 '컴퓨터 사고력 교육 프로그램', '컴퓨팅 사고력 예비교사 교육', '컴퓨팅 사고력 로봇 활용 교육', '컴퓨팅 사고력 평가', '컴퓨팅 사고력 교과 연계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방법을 통해 현재까지 주로 진행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컴퓨팅 사고력 교육의 어떤 부분이 연구자들에게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신축건물 사무실내 식물 적용의 실내 공기질 및 재실자 건강영향 평가 - 알레르기 비결막염 및 스트레스 관련 증상설문을 중심으로 - (Impact of Indoor Plants on Indoor Air Quality and Occupational Health in Newly Built Public Building Offices - Focusing on Allergic Conjunctivitis and Stress-related Symptom Questionnaires -)

  • 이용원;임영욱;김광진;김호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4-348
    • /
    • 2017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impacts of indoor plants on indoor air quality and occupational health, focusing on allergic rhinconjunctivitis and stress among employees in new office buildings. Methods: A total of 34 employees working at new public office buildings were enrolled as subjects (n=17, with indoor plants) and as a control (n=17) group.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indoor plants for three months,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s including VOCs and aldehydes and questionnaires on sick building syndrome, AR symptoms (ARIA based), stress (DASS 42, KOSS, and SACL), and indoor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Among the 34 enrolled subjects, 19 were included in the probable AR subject group (subjects with indoor plants, n=8, control n=11) and completed all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for total, AR subject groups, and control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ajor indoor air pollutants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indoor plants (p<0.5). Among major symptoms of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watery rhinorrhea, nasal stuffiness, and nasal itching indexes decreased (p<0.5, respectively). A decrease was noted in some areas of work-related stress indexes (mainly KOSS) among the subject group (total and AR) and a decrease of indoor environmental attractiveness among the control group (total and AR) (p<0.5, for all). Conclusions: Indoor plants may help reduce indoor air pollutants and decrease AR symptoms and work-related stress of employees in newly built office buildings. Various further follow-up studies on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influences and utilization of indoor plants in association with allergic diseas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