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parasit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Biolog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by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103: From isolation to a commercial biofungicide product.

  • Lee, Sang-Yeob;Lee, Sang-Bum;Kim, Choong-Heo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0-31
    • /
    • 2003
  • Total 291 isolates of Ampelomyces quisqualis were obtained from 32 species of powdery mildew fungi and a selected isola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AQ94013) effectively hyperparasitized 6 species of Sphaerotheca and one species of Erysiphe which cause serious damage on many important crops in Korea. Moreover, AQ94013 showed antagonistic effects against 12 major fungal plant pathogens as we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t isolate is not a host specific hyperparasite and has a broad spectrum of biocontrol potential. Providentially, AQ94013 revealed resistance to a number of agrochemicals so as to be applied with the chemicals reciprocally.(중략)

  • PDF

First Report of Ampelomyces quisqualis from Sycamore and Crape Myrtle and Its Potential as a Mycoparasite of Powdery Mildew

  • Nguyen, Thi Thuong Thuong;Lee, Hyang Burm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4-67
    • /
    • 2016
  • During screening fungi as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for plant parasitic fungi, a fungal strain, EML-FAM3, was isolated from powdery mildew leaf lesions caused by Erysiphe platani on sycamore (Platanus occidentalis L.), and another strain, EML-FAMC1, from Erysiphe australiana on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L.).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1 and ITS2) and 5.8S rDNA, the strains were identified as Ampelomyces quisqual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new mycohosts, E. platani and E. australiana, of the mycoparasite A. quisqualis on sycamore and crape myrtle plants. The hyperparasite may represent the potential for controlling E. platani and E. australiana epidemics.

중복기생균 Ampelomices quisqualis 94013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squalis 94013)

  • 이상엽;류재당;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3-178
    • /
    • 2005
  • Ampelomyces quisqualis 94013는 중복기생균으로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용 우수균주로 선발하여, 이 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A. quisqualis 94013의 균사생육 적은은 $26^{\circ}C$이였으며, 균사생육 최적 pH는 6.5였다. 감자한천배지(PDA)배양시 광조건(형광등 12시간주기)보다는 암조건에서 더 많은 포자를 형성하였다. 이 균의 포자발아 온도범위는 $10\~35^{\circ}C$이고, 최적온도는 $20^{\circ}C$이였다. 포자발아는 $24^{\circ}C$에서 8시간 배양 후 시작되었으며, 포자발아율은 포자현탁액의 농도가 $5{\times}10^7/ml$보다 $5{\times}10^5/ml$$5{\times}10^6/ml$에서 높았다. 이 균은 탄소원으로는 dextrin을, 질소원으로는 neopepton을 가장 잘 이용하였다.

A Mycoparasitic Ascomycete Syspastospora parasitica on the Entomopathogenic Fungus Paecilomyces tenuipes Growing in Bombyx mori

  • Lee, Seon-Ju;Nam, Sung-Hee
    • Myco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30-132
    • /
    • 2000
  • While studying Bombyx mori "Zipnuae" inoculated with an entomopathogenic fungus, Paecilomyces tenuipes, a mycoparasitic hymenoascomycete with a long neck was isolated from the silkworm rearing room.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Syspastospora parasitica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hyperparasite on various moniliaceous hyphomycetes. A descriptive illustration is presented in this study.

  • PDF

고차기생봉(高次寄生蜂) Tetrastichus sp.의 생태(生態) (Biology of the hyperparasite Tetrastichus sp. (Hymenoptera : Eulopidae))

  • 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2-37
    • /
    • 1994
  • 고차기생자(高次寄生者) Tetrastichus sp.는 단기생성(單寄生性) 외부기생자(外部寄生者)로 일차기생자(一次寄生者) Aneristus ceroplastae, Microterys flavus, Coccophagus hawaiiensis의 종령유충(終齡幼蟲)이나 용에 산란(産卵)하였다. 란(卵)부터 성충(成蟲)까지의 발육한계온도(發育限界溫度)와 유효적산온도(有效積算溫度)는 각(各) $9.8^{\circ}C$와 272일도(日度)로 계산(計算)되었다. $25^{\circ}C$의 항온(恒溫), 16시간(時間) 조명조건(照明條件)에서 봉밀원액(蜂蜜源液)을 급여(給與)하며 사육(飼育)한 자(雌) 성충(成蟲)의 평균수명(平均壽命)은 40일(日) 이었다. 성충(成蟲)은 우화(羽化) 24시간후(時間後)부터 산란(産卵)을 시작하여 일생(一生)동안 평균(平均) 220란(卵)을 낳았으며, 50% 누적산란율(累積産卵率)은 산란개시(産卵開始) 14일(日) 후(後)에 달성(達成)되었다. 순번식율(純繁殖率)(Ro)과 세대기간(世代期間)(T), 내적자연증가율(內的自然增加率)(r)은 각(各) 99.6/세대(世代), 32일(日), 0.142/♀/일(日) 이었다.

  • PD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기생적 특성 (Parasitic Characteristics of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to Powdery Mildew Fungus of Cucumber)

  • 이상엽;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6-122
    • /
    • 2001
  • 흰가루병에 대하여 생물적 방제제로 선발된 Ampelomyces quisqualis94013(AQ94013)의 포자현탁액을 처리하여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에 대한 침입과정을 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포자현탁액 처리 후 4시간 만에 포자가 흰가루병균의 분생포자, 분생자경 및 균사위에서 발아하고, 17시간 후에는 유사부착기가 형성되어 흰가루병균의 균사에 부착되었다. 24시간 후에는 균사내에 침입하였으며, 44시간 후에는 흰가루병균의 균사와 분생자경의 하부에 AQ94013의 병자각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48시간 후에는 병자각이 성숙되었으며, 52시간 후에는 병자각의 공구에서 병포자가 분출되고, 흰가루병균의 균사 및 분생자경은 변형되어 죽었다. 한편,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하여 A. quisqualis 94013의 배양여액을 농축하여 처리한 결과에서 물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흰가루병균에 대한 감염기작은 A. quisqualis 94013가 독소생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직접기생에 의하여 흰가루병균을 죽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lmus americana L. 목재에서 발견된 곰팡이 (Lignicolous fungi on Ulmus americana L.)

  • 심정자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91-106
    • /
    • 1969
  •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96 species of fungi have been reported as occurring on the wood of Ulmus americana L., the Amercan elm. In an intensive study of the fungi growing on one American elm log, 60 species were found. Only one had been reported previously on American elm. A second fungus proved to be a hyperparasite of a slime mold. Three members of the Fungi Imperfecti could not be identified and is believed that they may constitute new taxa. In the past, Nasidiomycetes constituted the main group of fungi on American elm woo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Fungi Imperfecti were the largest group in this study in that over half of the species found are imperfect fungi. All of the species encountered in the study were illustrated.

  • PDF

농약이 오이흰가루병 방제용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 94013의 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ochemicals on mycelial growth and spore germin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controlling cucumber powdery mildew)

  • 이상엽;이상범;김용기;김홍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78
    • /
    • 2004
  • 흰가루병 방제를 위하여 다양한 작물에서 발생한 흰가루병균을 채집하여, 흰가루병균에 기생되어 있는 Ampelomyces quisqualis를 분리하여 오이흰가루병방제에 우수균주로 선발된 A. quisqualis 94013(AQ 94013)에 대하여 오이에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와 살충제가 AQ94013의균사생장 및 포자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AQ94013이 기생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착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착제와 혼용 시험을 수행하였다. AQ94013의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는 공시한 34종의 살균제를 첨가한 배지에서 검정한 결과, 흰가루병 약 triadimefon, pyrazophos, 노균병약 dimethomorph, kasugamycin+copper oxychloride, dichlofluanid + copper oxychloride, copper hydroxide, tribasic copper sulfate, 이외에 잿빛곰팡이병약 iprodione, vinclozolin, procymidon 과 공시한 11종의 살충제중에서 immidacloprid, teflubenzuron, bifenthrin, ethofenprox, deltamethrin, phenthoate이 AQ94013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에 영향을 적게 미쳤다. 오이흰가루병균에 대한 A. quisqualis 94013 의 기생력을 증진하는 전착제는 mineral oil로서 방제효과를 7.9%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