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poplar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Populus alba×P. grandidentata 조직배양(組織培養) 식물체(植物體) 원형질의 분리(分離)와 배양(培養) (Isolation and Culture of In Vitro Cultured Populus alba×P. grandidentata Protoplasts)

  • 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45-49
    • /
    • 1985
  • 포플러류(類)의 원형질 분리(分離)와 배양(培養)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硏究)로서, 북미(北美)의 자연잡종(自然雜種) 포플러, P. alba ${\times}$ P. grandidentata 동일(同一) clone의 조직배양(組織培養) 식물체(植物體)와 온실(温室)에서 생육(生育)한 묘목(苗木)을 이용하여 2종류(種類) 효소처리(酵素處理)에 의(依)한 원형질분리량(分離量)과 생장(生長)을 조사(調査)하였다. 조직배양(組織培養) 식물체(植物體)(1개월생(個月生))가 온실(温室)에서 생육(生育)한 묘목(苗木)(4개월생(個月生))에서 보다 많은 양(量)의 원형질을 분리, 생산(生産)하였다. E-I 효소용액(酵素溶液)(0.5% cellulase와 0.1% macerase)이 E-II 효소용액(酵素溶液)(1.0 cellulase와 0.2% macerase)보다 조직배양(組織培養) 식물체(植物體)로부터 원형질을 분리(分離)하는데 보다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평균(平均) $4{\times}10^6$의 원형질을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이들 분리(分離)된 원형질을 NAA(2.0mg/l)와 BAP(0.5mg/l)가 첨가된 MS 액체배지(培地)에 배양(培養)했을 때 7~10일(日) 후(後)에는 세포분열(細胞分裂)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약(約) 3주(週)까지 세포분열(細胞分裂)이 계속되어 6~10개(個)의 세포군(細胞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the ecto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and Cd on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Cd uptake by hybrid poplar Populus alba × glandulosa

  • Han, Sim-Hee;Kim, Du-Hyun;Lee, Jae-Ch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4권4호
    • /
    • pp.393-400
    • /
    • 2011
  • The effects of the ectomycorrhizal fungus Pisolithus tinctorius and cadmium (Cd) on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Cd uptake by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was investigate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Cd treatment decreased the photosynthetic rate ($P_N$) of both non-mycorrhizal (NM) plants (16.3%) and ectomycorrhizal (ECM) plants (11.5%). In addition, the reduction in total dry weight by Cd treatment was greater in ECM plants (24.3%) than that in NM plants (17.6%). Mycorrhizal infection increased the $P_N$ and transpiration rate in both control and Cd-treated plants. Cd treatment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decrease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and the increase of SOD activity by Cd treatment was greater in NM plants (40.3%) than that in ECM plants (3.7%). Thiol content increased in both NM and ECM plants treated with Cd solution, and the increase in thiol content in NM plants (43.9%) was greater than that of ECM plants (15.6%). Cd uptake in the leaves, stems, and roots of ECM plants was 69.9%, 167.2% and 72.8%, respectively, higher than in the NM plants. However, the increase in Cd uptake ability of ECM plants resulted in a reduction in dry weight.

현사시나무에서 MYC2 유전자의 분리 및 노화 지연에 관한 특성 구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YC2 gene in relation to leaf senescence response in hybrid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최현모;배은경;조진성;이효신;최영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09-415
    • /
    • 2017
  • JA는 병원균과 곤충에 대한 방어기작 뿐만 아니라 식물 노화에도 관여하는 식물 호르몬이다. Basic helix-loop-helix 전사인자인 MYC2는 JA의 신호전달반응의 핵심조절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에서 MYC2 유전자를 분리하고 발현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 임목을 생산하기 위하여 MYC2를 과발현시킨 현사시나무를 개발하였다. 포트에 식재된 MYC2 과발현 현사시나무는 대조구에 비해 잎 노화 표현형이 지연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엽록소 손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을의 온도 및 광 주기 조건에서 MYC2 과발현 현사시나무의 광화학 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보다 높은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현사시나무의 MYC2 유전자가 낙엽이 지는 가을 동안에도 지속적인 생장을 가능하게 하여 임목의 바이오매스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배체 현사시나무 (Populus alba L. X P. gludulosa Uyeki)의 약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by Anther Culture of Tetraploid Populus alba L.X P.glandulosa Uyeki)

  • 손성호;김정희;문흥규;노은운;이윤희;김미희;박진선;이용욱;윤양;이석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1-126
    • /
    • 1995
  • 현사시나무 4배체의 약배양에 의하여 2배체 식물을 얻을 수 있었다.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유도에는 2,4-D가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식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서는 16시간의 광조건하에 6-8 $\mu$M의 zeatin 처리가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는데 이때 얻어진 줄기수는 평균 7.7개 였다. 재분화된 식물체는 MS 기본배지에서 쉽게 뿌리를 유기시킬 수 있었으며, 이들 식물체는 폿트묘로 육성하여 온실 및 포지로 이식하였다. 약배양유래의 300클론에 대한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 삽목묘에 비하여 33%는 생장이 저해됨을, 47%는 생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20%는 삽목묘에 비해 직경이 5배 이상되는 거대 엽을 가지고 있었다. 염색체 수는 대체로 2배체성 혹은 4배성을 띠고 있었으며, RAPD marker를 이용하여 DNA polymorphism을 본 결과 약배양 유래의 몇몇 식물체에 있어 서 밴드 형태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개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stipitis을 이용한 댐 목질계 부유물로부터의 에탄올 생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 of Ethanol Production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ichia stipitis from Woody Floater Wastes in the Dam)

  • 박상찬;장인수;조중식;김광렬;신수정;연익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7-103
    • /
    • 2012
  • Suspended wood waste was being inflow into the dam and the problem of waste disposal has been occurred. In this study, ethanol production using woody floater wastes was performed to estimate value in use for raw material of renewable energy. To achieve the goal, experiments of acid hydrolysis and ethanol fermentation using dam woody floater as raw materials for bioethanol was carried out. In the results of field survey in the chungju dam, kind of woody floater was mainly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and hybrid poplar (Populus tomentiglandulosa). The results of sugar extraction showed that sugar content was higher in Larix leptolepis than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ed sugar from wood waste was effective consumed by yeast(P. Stipitis and S cerevisiae). In the experiment consumption of sugar including glucose, galactose and xylose, the consumption rate of S. cerevisiae is faster than that of P. stipitis. and efficiency for ethanol production is higer in S. cerevisiae than P. stipitis.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resource as ethanol production using wood waste was available.

줄기 절간조직 배양에 의한 교잡종 사시나무의 대량증식 (Multiple Shoot Induction from Ex Vitro and In Vitro Derived Stein Node Culture of Populus alba L.$\times$P.grandidentata Michx.)

  • Sung Ho SON;Richard B. HALL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1-135
    • /
    • 1995
  • 잡종 사기나무의 기내 대량증식을 목적으로 줄기절간 유래의 기내 및 기외시료를 이용하여 다경줄기 유도에 관여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외시료의 측아를 제거한 다음 20에서 30$\mu$M 의 zeatin이 함유된 WPM 배지에 6주간 배양하였을때 각각 11개와 13개의 다경줄기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기외시료의 측아가 붙어있는 상태에서 기내배양하여 2주후에 측아를 제거하고 동일 배지에 배양하였을 경우에는 BA가 1.0에서 2.0 $\mu$M 함유된 배지에서도 13개와 15개의 다경줄기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이때 생산된 줄기의 상태는 아주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줄기를 사용하였을때는 20 $\mu$M의 zeatin을 처리하였을때 가장 많은 줄기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생산된 조직배양묘는 일정기간 순화를 시킨 후 온실이나 포지에 식재가 가능하였다.

  • PDF

Agrobacterium rhizogenes 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형질전환(形質轉換) (Transformation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by Agrobacterium rhizogenes)

  • 정경호;박용구;노의래;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72-380
    • /
    • 1989
  • 주요(主要) 조림수종(造林樹種)의 하나인 현사시나무를 Agrobacterium rhizogenes의 agropine 계통(系統)인 A4를 이용(利用)하여 유전적(遺傳的)으로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형질전환(形質轉換) 여부는 조직(組織)내의 opine(agropine) 존재를 분석(分析)하여 확인(確認)하였다. 형질전환(形質轉換)으로 얻어진 hairy root는 1/4MS+sucrose 30g/L에서 가장 좋은 생장(生長)을 보였으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는 BAP 0.5mg/l를 첨가한 MS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재분화(再分化)된 식물체(植物體)는 뿌리가 많고 형태적(形態的)으로 변형(變形)되어 정상의 식물(植物)과 구별(區別)할 수 있었다. 부분적(部分的)으로 뿌리부분(部分)만 형질전환(形質轉換) 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뿌리를 가진 개체(個體)로 만들 수 있었고 이는 임목(林木)의 지상부(地下部) 형질개량(形質改良)에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돈분뇨 처리에 따른 속성수의 유시 생육특성 (Juvenile Growth Characteristics of Fast Growing Tree Species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 김현철;여진기;구영본;박정현;백을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23-32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growth responses of fast growing tree species(8 clones of hybrid poplars, Salix alba,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Liriodendron tulipifera, Acer okamotoanum, and Quercus palustri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nd $NO_3-N$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in a plantation applied with liquid pig manur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ous in the soil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soil treated without liquid pig manure. With the exception of S. alba, DBH(Diameter at Breast Height) growth of all the fast growing tree species treated with liquid pig manu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pecies treated without liquid pig manure. In liquid pig manure treatment group, P. euramericana 'Eco28' clon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height and DBH growth. Concentration of nitrogen in the leaf with liquid pig manu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eaf treated without liquid pig manure. Based on the $NO_3-N$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analyz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 was no evidence that groundwater was polluted by the liquid pig manure applied at the plantation.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내(造林地內) 시비(施肥)와 클론이 지상부(地上部) 및 토양중(土壤中) 탄소축적(炭素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Clone on Aboveground and Soil Carbon Storages in a Willow (Salix spp.) Bioenergy Plantation)

  • 박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77-185
    • /
    • 1997
  • 지상부 및 토양중 탄소축적에 미치는 시비의 효과와 클론간(5개의 버드나무 클론과 1개의 잡종 포플러 클론)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재에너지 공급을 위해 1987년 미국 뉴욕주립대 연습림에 조성된 버드나무(Salix spp.)조림지를 대상으로 1992년과 1993년 겨울에 분석용 지상부와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탄소축적량을 측정하였다. 시비구에 매년 N(336kg/ha), P(112kg/ha) 및 K(224kg/ha)를 시비하였으며, 조림지에 식재된 모든 공시목은 매년 벌채되었다. 시비처리된 버드나무 클론SV1의 지상부 탄소축적량은 5.4t/ha/yr(6년생뿌리)와 6.8t/ha/yr(7년생뿌리)로써 전체 클론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 클론에 대한 부위별 평균 탄소함량은 수간목부에서 57.1~57.5%, 수피에서 54.0~55.4%, 그리고 생지에서 55.6~56.5%로 분포하였다. 시비처리에 의한 지상부 탄소축적량의 증가가 1992년에 전체 클론 중 2개 클론(SA2, SA22)에서만 있었으며(시비와 클론간 교호작용(交互作用)), 1993년에는 대조구와 시비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심별(0-10, 10-20, 20-40cm) 토양중 탄소축적량은 대조구와 시비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클론간 토양 탄소축적량은 1992년 0-10cm 토심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클론에 의한 영향보다는 토양중 자갈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클론과 시비간 교호작용(交互作用) 때문에 지상부 탄소축척에 대한 시비처리효과의 평가는 각 클론내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원포플러와 구아디 포플러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체세포잡종체(體細胞雜種體) 유도(誘導) (Induction of Somatic Hybrid by Protoplast Fusion between Populus koreana × P. nigra var. italica and P. euramericana cv. Guardi)

  • 박용구;김정희;손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73-279
    • /
    • 1992
  • 유망(有望) 속성수(速成樹)로 개발중(開發中)인 수원포플러(P. koreana ${\times}$ nigra var. italica)와 포플러 낙엽병(落葉病)에 내성(耐性)을 가진 구아디포플러(P. euramericana cv. Guardi)의 엽육조직(葉肉組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분리융합(分離融合)하여 잡종식물체(雜種植物體)를 생산(生產)하였다. 실험재료(實驗材料)인 수원포플러는 BA $0.5{\mu}M$, 구아디포플러는 BA $2.0{\mu}M$ 처리(處理)된 MS 배지(培地)에서 대량(大量) 증식(增殖)시킨 후 1/2 MS배지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하여 전개(展開)된 엽조직(葉組織)을 사용(使用)하였다. 수원포플러는 효소용액(酵素溶液) I (Cellulase 2.0%, Macerozyme 0.4%, Hemicelluase 1.2%, Driselase 2.0%, Pectolyase 0.05%)에서 구아디포플러는 효소용액(酵素溶液) II (Cellulase 1.0%, Macerozyme 0.4%, Hemicellulase 1.2%, Driselase 2.0%, Pectolyase 0.05%)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분리(分離)하여 각각 $4.04{\times}10^7$, $2.45{\times}10^7$개의 높은 수율(收率)을 얻었다. 양수종간(兩樹種間)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율(融合率)은 PEG 40%가 포함(包含)된 융합용액(融合溶液)에 20분 처리(處理)하고 $Ca^{2+}$ 30mM 첨가(添加)된 희석액(稀釋液)(pH 10.5)을 사용(使用)하였을때 양수종간(兩樹種間) 1:1 융합율(融合率)이 30%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융합(融合)된 원형질체(原形質體)는 0.6M sucrose, $4.5{\mu}M$ 2, 4-D, $0.5{\mu}M$ BA가 첨가(添加)된 8p-KM에서 정치(定置) 혹은 진탕배양(震湯培養)하여 2개월후 캘루스를 얻을 수 있었으며, $5.0{\mu}M$ zeatin 처리구(處理區)에서 평균 4개의 식물체(植物體)가 재분화(再分化)되었다. 융합산물(融合產物)에서 유래(由來)한 식물체(植物體)의 잡종성(雜種性) 여부(與否)를 확인(確認)하기 위해 SDS-PAGE를 실시(實施)하였다. 모수(母樹)인 수원포플러와 구아디포플러간에는 단백질형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재분화(再分化) 개체중(個體中) 양친(兩親)의 중간형(中間型)을 나타내는 개체(個體)는 세포융합(細胞融合)에 의한 재분화개체(再分化個體)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