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jinpo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하계정체기에 있어서 수개호소의 생태학적 비교연구 (Ecological Comparison of Several Lakes in Summer Stagnation Period)

  • 엄규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3_4호
    • /
    • pp.17-34
    • /
    • 1973
  • The physico-chemical factors,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nd the primary production of the lakes Hwajinpo, Yongrangho, Chunchonho, Uiamho, Soyangho and Changjamot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make ecological comparison among these lakes during summer stagnation period of August to September of 1973.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akes, the lake types have been discussed. Thermocline is observed at 3-4m zone in the lake Changjamot and 4-5m zone in the lake Yongrangho. In the case of lake Hwajinpo and impoundments, the distinct thermal stratification is not observed at the summer stagnation period. As to vertical distribution of dissolved oxygen, a positive heterograde curve is obtained in the lakes Hwajinpo and Yongrangho. In the lake Changjamot the typical clinograde curve and the oxygen depletion in hypolimnion are observed. In the case of impoundments, however, the orthograde curve is observed in the lakes Chunchonho and Uiamho. While in the lake Soyangho, any stratification of the disssolved oxygen is not found. In the brackish lakes, such as lakes Hwajinpo and Yongragho, the salinity of hypolimnion is found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epilimnion. In the lake Hwajinpo, the salinity of hypolimnion is exhibited 32.7$\textperthousand$, which is nearly the same as sea water. The distribu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and phosphates is found to be high in the lake Changjmot. The silicate is also found in high concentration in the lake Chunchonho, and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the brackish lakes is generally low. As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the lake Changjamot shows a stratum type and the brackish lakes L-type stratification. In the impoundments, lakes Chunchonho and Uiamho appear to be homogeneous type.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level in the lake Changjamot is examined from January to September 1973.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during the period of circulation from January to April is homogeneous type and is stratum type thereafter. The maximum chlorophyll level is 277.4mg/$m^2$ on June 23 and the pattern of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 level is comparable to the type of eutrophy.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is studied in the brackish lakes, Hwajinpo and Yongrangho. The pattern of distribution is found to be an irregular type. On the basis of measurements of primary production by means of the carbon-14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chlorophyll level, it is concluded that the interior part of the lake Hwajinpo and Changjamot are eutrophic and the exterior part of the lake Hwajinpo, lake Yongrangho and the impoundments, lake Uiambo and Soyangho are mesotrophic.

  • PDF

Characterization of a Unique New Strain Named the NFRDI N°1 Rotifer Strain, a Brackish Brachionus Rotifer Collected from a South Korea Coastal Lagoon

  • Jung, Min-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33-337
    • /
    • 2011
  • A new and a unique Brachionus rotifer was found in Hwajinpo coastal lagoon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This Brachionus certainly originated from the wild rather than from aquaculture stations because Hwajinpo coastal lagoon has been under rigorous control as a military protected area and therefore could not have been contaminated by aquaculture stations. The new strain was identified as Brachionus rotundiformis based up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arthenogenetic female of this new rotifer strain typically shows characters similar to those of B. rotundiformis, such as the pot shape of the body, rounded dorsal plate compared with flattened ventral plate, elliptical mictic egg, four frontal spines, six pointed occipital spines, non-nodal foot, two toes, trophi typical of the Brachionus genus with five uncus plates resembling comb teeth, one wide symmetrical manubrium and ramus, and no stiffened spine as is seen in freshwater Brachionus rotifers. Moreover, its lorica was rather small in size compared with other common rotifer strains that serve as live-food organisms (Guam, Thai, and Bali strains). This new and unique Korean brackish rotifer, a B. rotundiformis strain, was therefore named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N^{\circ}1$ rotifer strain.

화진포호의 어류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Hwajinpo, Korea)

  • 박승철;최재석;최의용;장영수;이광열;최준길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449-458
    • /
    • 2007
  • 화진포호의 어류군집과 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5년 1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다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4과 37종 35,812개체였다. 우점종은 H. nipponensis (60.8%), T. hakonensis (19.8%), 그리고 K. punctatus (5.5%) 등 주로 주연성담수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한 37종 중 일차담수어와 해산어는 각각 8종(21.6%), 주연성담수어는 21종(56.8%)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총 279.3kg이었으며 T. hakonensis 152.9 kg, H. nipponensis 40.0 kg, K. punctatus 31.4 kg, C. haematochelius 25.3 kg등의 순으로 나타나 내륙의 인공담수호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별 군집의 변화양상은 '갯터짐 현상'에 따라 변화하지만 일부 주연성담수어 개체군은 호내에서 생활사를 가지며 안정된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화진포호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석호 중 비교적 양호한 자연 상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찰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본 석호를 비롯한 다른 석호의 관리와 회복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소에 있어서의 생산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ve Structure in some Lakes in Korea)

  • 엄규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1호
    • /
    • pp.15-23
    • /
    • 1971
  • The productivity of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Lake Hwajinpo, Lake Yongrang and Lake Changja were studied by measuring vertical variation of chlorophyll a amounts. The author also classified the lake types on the basis of the amount of chlorophyll in the lake water. And in Lake Changja, the seasonal changes of stratification of chlorophyll were studies. In Lake Hwajinpo, the productiv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summer was found to be L-shaped and of the mesotrophic type. In Lake Yongrang, the productiv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summer was alo L-shaped and of the mesotrophic type. And maximum chlorophyll layer was near the lake bottom below the compensation depth. In Lake Changja, the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summer was reversed L-shaped and of the eutrophic type, with the maximum chlorophyll layer just below the surfac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mounts as a measure of the productive structure almost always formed a stratum distribution except in September and sometimes in May, in Lake Changja. In September homogeneous distribution was observed.

  • PDF

화진포호의 수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Water Environment Variations in Lake Hwajinpo)

  • 허우명;최상규;곽성진;발데브;이은주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9-21
    • /
    • 2011
  • 화진포호에서 장기간의 수환경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염분, 용존산소, 총인 및 총질소등 이 화학적 조사를 하였으며, 동식물플랑크톤은 2007년과 2008년에 조사하였다. 화진포호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수질자료를 보면 수온, 염분, 투명도, COD 및 DO는 각각 $2.8{\sim}29.4^{\circ}C$, 0.23~41.8‰, $0.2{\sim}2.8\;m$, $0.2{\sim}20.2\;mg\;L^{-1}$$0.1{\sim}17.4\;mg\;L^{-1}$의 범위로 평균은 각각 $18.0^{\circ}C$, 15.7‰, 0.7 m, $5.7\;mg\;L^{-1}$$8.0\;mg\;L^{-1}$이었다. Chl.${\alpha}$$0.3{\sim}242.5\;{\mu}g\;L^{-1}$으로 평균 $32.8\;{\mu}g\;L^{-1}$이었다. TP와TN는 각각 $0.024{\sim}0.869\;mg\;L^{-1}$(평균 0.091) 및 $0.240{\sim}5.310\;mg\;L^{-1}$(평균 1.235)의 범위를 보였다. TN/TP 비는 평균 16.4이었다. COD, TP, TN 및 Chl.${\alpha}$의 연변화를 보면 COD는 2000년에 $4.83m\;m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1.80\;mg\;L^{-1}$로 매년 $0.34\;mg\;L^{-1}$ 감소를 보였다. TP는 2000년에 $0.07\;mg\;L^{-1}$이였으나 2008년에는 $0.05\;mg\;L^{-1}$로 차츰 감소하였다. TN은 2000년에 $1.54\;mg\;L^{-1}$이었으니 2008년에는 $0.77\;mg\;L^{-1}$로 매년 $0.09\;mg\;L^{-1}$ 감소하였다. Chl.${\alpha}$은 2000년에 $46.30\;{\mu}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5.78\;{\mu}g\;L^{-1}$로 매년 $4.50\;{\mu}g\;L^{-1}$씩 감소하였다. 화진포호의 Orgnic-N, $NO_3$-N, $NH_3$-N 및 $NO_2$-N의 평균 존재 형태별 구성 비율은 각각 78.9, 7.0, 12.4 및 0.8%로 대부분 유기질소 형태이었다. 부영양화도 지수는 남호와 북호에서 2000년에 각각 67과 63에서 2008년에는 63과 59로 감소하였다. 화진포 남호와 북호에서 2007년과 2008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56속 69종이었다.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남호가 북호가 각각 18~21,961 및 $153{\sim}10,070\;cells\;mL^{-1}$의 범위로 남호에서 더 많았으며, 남 북호 모두 2007년 7윌에 최소를 보였다. 우점종은 남호의 경우 2007년 5월에 Asterococcus superbus, 9월에 Lyngbya sp., 11월에 Trachelomonas spp.이었으며, 2008년 7월에는 Anabaena spiroides로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호와 북호의 종 다양성 지수는 0.87~1.98 (평균 1.41) 및 0.42~1.47 (평균1.07)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5월에 높았다. 화진포호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31속 35종이었다. 남호의 우점종은 2007년 5, 7월과 2008년 5, 11월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으나, 2007년 9월에는 미동정원생동물, 2008년 8월에는 Brachionus plicatilis이었다. 북호의 우점종은 2007년 7월과 11월에는 지각류인 Asplanchna sp.이었으나 그 이외의 시기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다. 동물플랑크톤의 밀도는 남호에서 $80{\times}10^3{\sim}3,902{\times}10^3ind.\;L^{-1}$, 북호에서 $88{\times}10^3{\sim}2,106{\times}10^3\;ind.\;L^{-1}$로 남호에서 더 높았다. 종 다양성지수는 남호와 북호가 각각 0.53~0.147 (평균 0.83) 및 0.66~1.46 (평균 1.09)의 범위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7월에 높았다.

화진포 현생퇴적물의 퇴적환경에 관하여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Recent Sediments In The Hwajinpo Lake, Gangweondo, Korea)

  • 정우열;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4-70
    • /
    • 1976
  • 기수호인 화진포에 대한 생태학적인 연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실시된 바 있으나( 홍사오외 1969; 엄규백, 1971, 1973; 전승관 외 1969; 변충규 외 1975) 현생퇴적물에 대한 퇴적환경적 연구는 실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진포의 퇴적물에 대한 조직표준치와 분포 특성 및 호수퇴적물중에 포함된 점토광물의 종류와 호수퇴적물의 화학성분을 퇴적과정의 퇴적요인으로 하여 본 역의 현생퇴적환경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PDF

화진포호의 돌말 Skeletonema costatum 대발생과 영양상태 (Spring Bloom of Skeletonema costatum and Lake Trophic Status in the Hwajinpo Lagoon, South Korea)

  • 김백호;원두희;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5권3호
    • /
    • pp.329-339
    • /
    • 2012
  • 한반도 동해안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석호중의 하나인 화진포호에서 2010년 봄철(4~6월)에 돌말 Skeletonema costatum가 대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대발생기와 소멸기 동안 저수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 수질을 근거로 하는 호수의 영양지수를 산출하여 수질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에서 가장 높은 세포밀도($>10^5$ cells $mL^{-1}$)를 보였으며, 수온은 $20^{\circ}C$ 전후였으나 더 높았던 여름철(7월 이후)에는 소멸하였다. 저수지의 수질은 높은 염분도, BOD, COD, 인산염, 낮은 N/P비, 투명도 등으로 부영양~과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돌말류가 높은 세포밀도를 보인 조류발생기 동안에는 높은 우점도와 낮은 다양도를 보였으며, 소멸기에는 다시 회복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결국 2010년 화진포호의 Skeletonema costatum 대발생은 봄철 가뭄이 장기간 진행되고 하천수의 유입이 감소함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판단되며 매년 반복될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

동해안 화진포 외호의 홀로세 동안의 진화: 동해의 해수면 변동과 관련된 환경변화 (Holocene evolution of the Outer Lake of the Hwajinpo Lagoo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Environmental changes with Holocene sea-level fluctuation of East sea (Sea of Japan))

  • Jong-Gwon, Yum;Kang-Min, Yu;Keiji, Takemura;Toshiro, Naruse;Akihisa, Kitamuras
    • 한국제4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제4기학회 2003년도 제4기학회 제33차 학술발표대회
    • /
    • pp.39-40
    • /
    • 2003
  • PDF

수온과 염분에 따른 5종 요각류의 성장과 생산력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Productivity and Growth of Five Copepod Species)

  • 이균우;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19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and growth of copepods, Sinocalanus tenellus 2 strains, Paracyclopina nana 3 strains, Apocyclops royi 2 strains, Tachidius triangularis 1 strain and Tigriopus sp. 1 strain at different temperatures $(24,\;28\;and\;32^{\circ}C)$ under 15 psu and various salinities (10, 20, 30 psu) at $28^{\circ}C$ for an individual culture. And the mass culture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oduction of these copepods in the 500 mL vessel. For an individual culture of copepod, survival period of a brood femal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decrease of temperature, bu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alinity. With an increase of temperature and a decrease of salinity, maturation period of nauplii in all species tended to decrease. Total nauglii production from a broodo female at $24^{\circ}C$ was higoher than that from a brood .female at either 28 or $32^{\circ}C$ for S. tenellus and at $32^{\circ}C$ than either 24 or $32^{\circ}C$ for A. royi Haenam stram, but was not influenced by temperature for another copepods. And total nauplii production from a brood female at 10 and 20 psu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from a brood female at 30 psu, expect for Tigriopus sp. and P. nana Hwajinpo strain. Total nauplii production from a brood female was the highest in Tigriopus sp. (350 nauplii) at $28^{\circ}C$ under 20 psu, followed by A. royi Haenam strain (187 nauplii) at $32^{\circ}C$ under 15 psu and P. nana Hwajinpo strain (152 nauplii) at $24^{\circ}C$ under 10 psu. In the mass culture of each copepod, P. nana was the most productive (26.6 mg dry weight) and this value was two and four times higher than productivity of Tigriopus sp. and A. royi, respectively.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Landscape Changes of Coastal Lagoons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Middle East Coast, South Korea)

  • 윤순옥;황상일;박충선;김효선;문영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9-465
    • /
    • 2008
  • 석호는 홀로세 해진극상기 이후 지속적으로 매적되어가는 자연스러운 지형발달과정을 겪는다. 한반도 중부 동해안의 대표적인 7개 석호인 화진포, 송지호, 광포호, 영랑호, 매호 향호, 경포호를 대상으로, 석호 지형 경관 보존의 우수성과 20세기 동안 석호 경관 변화 정도를 석호 면적과 호안길이 보존율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석호를 분류하고 경관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면적은 송지호($0.56km^2$, 92%), 화진포($2.06km^2$, 90%), 영랑호(0.96km, 86%), 향호($0.32km^2$, 76%), 경포호($0.90km^2$, 52%), 매호($0.14km^2$, 50%), 광포호($0.07km^2$, 32%) 순으로, 호안길이는 화진포(11.90km, 100%), 향호(3.34km, 90%), 영랑호(7.21km, 89%), 경포호(7.11km,79%), 송지호(5.56km,79%), 광포호(1.16km, 62%), 매호(2.16km, 58%) 순의 경관보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20세기 동해안 석호의 경관 변화 특징은 화진포(Al), 향호(A2), 영랑호(A3), 송지호(A4)는 보존이 잘 되었으나, 경포호(B4), 광포호(B5), 매호(B6)는 크게 축소되었다. 금세기에 이르러 경지확대를 위한 매립과 개발사업이 심각하게 진행되면서 석호면적은 크게 축소되고 경관이 변하였다. 경포호, 매호, 광포호는 경관 변화가 컸는데, 특히 매호, 광포호와 같이 소규모 석호일수록 변형과 파괴가 심하였고, 경포호는 도시화와 관광산업을 위해 인공호수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