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us soil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융문산 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73-182
    • /
    • 1990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Mt. Yongmun in Kyonggi-do, fifty-four plots were set up by the clumped sampling method.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DCA ordination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a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woody plant and environmental variables. By both techniques, the plant commun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aspect. the dominant species of south aspect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and of north aspect were Q. 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n south aspect seem to be from P. densiflora through Q. serrata, Q. aliena, A. mongolica to C. laxiflor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y had a tendency to increase significantly from the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y to C. laxiflora and F. rhynchophylla community that was the soil moisture, the amount of soil humus and soil pH.

  • PDF

옥상녹화공법의 배수층 구조별 식물생육 효과 (Effects of Drainage Types of Soil Media on the Plant Growing in Rooftop Planting)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1-21
    • /
    • 2000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different drainage types of soil media on the plant growing in rooftop. For this study, experiment plots were installed on the roof of Social Science building, Chongju University, from April, 1998 to September, 1999. (1) Sand and sandy loam as base and check soils, (2) vermiculite as a inorganic soil media (3) "humus sawdust" and "burned rice hull" as organic soil media were used by various mixing ratio Zoysia japonica,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L5B3S2 and L5H3S2 of bad drainage character with a plastic drainage plate combination caused good growth effect on Zoysia japonica examined in 3 types of drainage layer with 5 types of soil media.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combined design of plastic drainage plate with 2 soil types - L5B3S2 and L5H3S2 - be desirable composition for regarding weight load and plant growth.

  • PDF

진달래나무의 입지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abitat preferences of the azalea, Rhododendron mucronulatum T.)

  • 남영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3호
    • /
    • pp.25-31
    • /
    • 1970
  • The ratio of occurrence of azalea (Rhododendron mucromultum T.) was determined on the north and south facing slopes on a mountain in Koyang county, Kyungi Province. Data was actually recorded at the eight aspects facing N, NE, E, SE, S, SW, W and NW on the mountain. In each of the eight aspects, six 10m transect tapes were placed in parallel directly down the slope, each 1m apart, and fifty 1$m^2$ quadrats were constructed between them. Frequency of the azalea in each of these quadrats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central stumps of the bushes Soil samples were also taken from pits dug in each plot to use for determination of the following: Soil pH, soil moisture loss on ignition,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The occurrence rate of azalea on the northern slop e was found to be for higher on the northern slope than on the southern slope. The abundance of azalea on the northern slope was found to be partially correlated with soil moisture(r=0.93; 0.01>p) and the amount of humus in the soil (r=0.04;0.01>p).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soil PH, and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 however, were found to have no evident relationship with the abundance of azalea. The conditions for growth in the species of azalea Rhododendron mucronulatum T'. were generally found to be more favorable on the northern slope.

  • PDF

인공식재지반의 토양배합 및 비료종류에 따른 초본식물의 생육효과 (Effects of Several Soil Composites and Fertilizers to Plant Growing on the Artificial Planting Grou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
    • /
    • 1999
  • 1. 인공식재지반 토양의 배합특성에 따른 켄터키블루글래스의 초기발아율은 버미큘라이트가 사용된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밭흙의 경우 가장 낮았다. 초장에 있어서는 파종후 약 1개월 후는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혼합구에서(3.0cm), 2개월 후는 "밭흙+훈탄+모래"의 혼합구(5.0cm)에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3개월 후부터는 다시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혼합구(5.0cm)에서 가장 길었다. 피복율은 파종 2개월 후는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파종 3개월 후부터는 "밭흙+부숙톱밥+모래"의 혼합구에서 높은 피복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밭흙의 경우 발아율과 마찬가지로 초장 및 피복율에 있어서 가장 불량한 생육상태를 보였다. 즉, 혼합토양의 경우 단일토양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상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혼합한 토양개량재의 특성이 식물생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인공지반상의 토양종류별 시비종류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한 결과 먼저 밭흙의 경우 유기질비료의 시용구가 우수하였으며, 버미큘라이트 및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토양구성에서는 초장 및 피복율은 유기질비료의 처리구에서 우세하였다. "밭흙+훈탄+모래"의 혼합구에서는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무처리구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생육상태를 보이고 있어, 인공지반상의 식재용토로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비료 요구도가 덜 한 것을 알 수 있다. "밭흙+부숙톱밥+모래"의 배합토에서는 초기발아율 및 초장, 피복율에 있어 유기질 비료의 처리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공식재지반의 시비방법에 따른 켄터키 블루글래스의 생장을 종합해 볼 때 초기발아율 및 초장, 피복율에서 유기질비료의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5종류의 토양중 인공식재지반조성시 "밭흙+부숙톱밥+모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시비종류에 따른 식물의 생육상태는 유기질 비료를 시용한 실험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토양종류와 시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무시비구에서는 "밭흙+훈탄+모래", "밭흙+부숙톱밥+모래" 등의 토양에서 생육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그러나 버미큘라이트를 사용한 실험구는 화학비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식재지반용토로 버미큘라이트 등을 사용할 경우 화학비료를 시비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혼합전의 토양과 유기질비료의 몇가지 화학적 특성은 측정되었으나 토양과 비료혼합후의 화학적 특성 등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아 비료혼합후의 이들의 반응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보릿짚시용(施用)이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arley Straw on the Eluviation of Components in the Submerged Paddy Soil)

  • 서장선;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9-415
    • /
    • 1988
  • 보릿짚시용(施用)이 수도재배(水稻栽培) 논 토양성분(土壤成分)의 용탈(溶脫)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爲)하여 투수(透水)를 실시하고 투수액(透水液) 및 토양성분(士壤成分)을 분석검토(分析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중(浸透水中) $NO_3-N$는 초기(初期)부터, 토양중(土壤中)의 $NH_4-N$$NO_3-N$은 분얼최성기부터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토양중(土壤中)에서는 보릿짚시용구(施用區)가 약간 높았다. 인산(燐酸)에 대한 보릿짚시용(施用)의 영향은 없었으나 경시적으로 소량씩 용탈(溶脫)되었다. 석회(石灰)와 고토(苦土)의 용탈(溶脫)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가리(加里), 나트륨 및 염소(鹽素)의 경시적변화(經時的變化)도 비슷하였지만 보릿짚시용구(施用區)의 용탈(溶脫)이 전반적으로 컸다. 황산(黃酸)이온의 용탈(溶脫)은 시용구(施用區)가 분얼기에는 낮았으나 출수기 이후에는 높았으며 전용탈량(全溶脫量)은 분얼기에 많았다. 철(鐵)의 용탈(溶脫)도 분얼기 보릿짚시용구(施用區)에서 급격히 증대(增大)된 후(後) 출수기부터는 시용유무(施用有無)에 관계없이 소량만이 용탈(溶脫)되었으며, 토양중(土壤中)의 2가철(價鐵)은 보릿짚시용재배구(施用栽培區)가 높았으며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재배후(栽培後) 토양중(土壤中)의 잔존부식형태(殘存腐植形態)는 보릿짚 시용유무(施用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부식화(腐植化)가 약간 진행된 B형(型)으로 동일(同一)하였으며 부식산량(腐植酸量)은 60% 정도(程度)였다.

  • PDF

토양 화학성 및 생물학성 변화에 대한 녹비작물 시용 효과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Soil)

  • 최봉수;정정아;오미경;전상호;고현관;옥용식;성좌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0-658
    • /
    • 2010
  • 시설재배지의 경우 휴작기간 동안 녹비작물의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녹비작물이 시설재배지에서의 양분공급 및 토양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두과 (헤어리베치, 크림손클로버) 및 화본과 (호밀, 수수, 수단그라스) 녹비작물을 재배 후 토양과 혼합하였으며, 무기질소 공급능과 생물적 지표로써 토양 탄수화물, 미생물활성 및 부식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관행구의 무기태 질소함량은 전 기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녹비작물을 처리한 토양에서는 토양처리 후 4주까지 무기태질소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수단그라스에서 무기태질소 함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녹비작물 처리 후 토양 중 수용성 당은 두과 녹비작물 처리 후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주 경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화본과 녹비작물 처리 후 수용성 당이 빠르게 증가하여 처리 후 4주 경에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토양 내의 부식산 (humicacid)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관행구와 녹비처리 초기에는 비슷한 수준으로 낮았으나 녹비처리 후 4주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녹비작물의 부숙에 의해 형성된 부식산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이온과 결합하여 물에 잘 용해되는 염을 만드는 fulvic 산에서도 작물 간 차이는 있었지만 부식산의 함량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식생구조에 따른 솔잎흑파리개체군 동태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by Diversity of Vegetation Structure)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33-44
    • /
    • 1983
  • Vegetati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cis of pine needle gall midge were investigated from 1980 to 1982 at the southern part of Palgong mountain near Daegu.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t the areas of A (pure stand), B(30% mixed forest) adn C(60% mixed forest) were as follow; Vegeation of 3 areas were not classified by the species diversity, but by the unequal distribution of Alnus hirsuta, Robinia pseudo-acacia, Lespedeza cyrtobotrya, Quercus variabilis and vitality of Pinus densiflora at the area C was low, due to shadow by broad-leaf trees. Soil environmental factors at 3 areas not characteristic, but the average of humus contents showed high significance and the order was A

  • PDF

LEACHN을 이용한 경작지의 질소 유출 평가 (Assessment of Nitrate Leaching from Cultivated Land by LEACHN)

  • 정영욱;김미정;오동식;박재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803-806
    • /
    • 2008
  • LEACHN은 식물체의 잔류물, 퇴비, 부식질의 세 개의 유기물원과 비료, 질산염, 암모늄의 세 개의 무기질원 그리고 식물체사이에서의 질소의 변화 및 이동을 관찰하는 모델이다. 2004년 5월부터 10월 동안 pot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trial and error 방법과 PEST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LEACHN를 시뮬레이션 하여 국내 토양 내의 질소의 이동을 관찰하였다.

  • PDF

Redescription of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Acari: Mesostigmata: Veigaiidae) based on the specimens found from the Korean Peninsula

  • Keum, Eunsun;Jung, Chuleu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33-237
    • /
    • 2019
  • Mites in the family Veigaiidae, order Mesostigmata, subclass Acari are widely distributed in subsoil habitats. They are mostly free-living and predaceous on small arthropod eggs and larvae, and prefer habitats with rich organic matters including litter and humus layers of forest soil. The genus Veigaia Oudemans, 1905 of the family Veigaiidae (Acari: Mesostigmata) is one of the ubiquitous genera from the Holarctic Region. Until now, only two genera and five species of the family were recorded from Korea. Here we provide a report of the species Veigaia tibbetsi Farrier, 1957 with detailed redescription. Even though V. tibbetsi had appeared in some ecological literature,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This species was mostly found from pine forest(Pinus densiflora) of northeastern mountain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Gangwon and Gyeongbuk Provinces. We provided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Veigaiidae, which will help to further exploration of acarine biodiversity.

Separation of soil Organic Debris using Sucrose-ZnCl2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 Jung, Seok-Ho;Chung, Doug-Young;Han, Gwang-Hy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0-36
    • /
    • 2012
  • The active fraction of soil organic matter, which includes organic debris and light organic fraction, plays a major role in nutrient cycling. In addition, particulate organic matter is a valuable index of labile soil organic matter and can reflect differences in various soil behaviors. Since soil organic matter bound to soil mineral particles has its density lower than soil minerals, we partitioned soil organic matter into debris ($<1.5g\;cm^{-3}$), light fraction ($1.5-2.0g\;cm^{-3}$), and heavy fraction ($>2.0g\;cm^{-3}$), based on high density $ZnCl_{2-}$ sucrose solutions. Generally, partitioned organic bands were clearly separated, demonstrating that the $ZnCl_{2-}$ sucrose solutions are useful for such a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The available gradient ranges from 1.2 to $2.0g\;cm^{-3}$. Althoug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organic debris and organomineral fractions among the examined soils, there was a general trend that a higher content of organic debris resulted in a higher proportion of light organomineral fraction. In addition, high clay content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fraction of light organomineals. Partitioning of soil organic carbon revealed that carbon content is reduced in the heavy fraction than in the light fraction, reflecting that the light fraction contains more fresh and abundant carbon than the passive resistant fr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carbon contents in the overall organic matter, debris, light fraction, and heavy fractions may differ considerably in response to different farm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