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idity monitoring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7초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훼손상태 및 불연속면의 거동특성 (Deterioration State and Behavior of Discontinuity System of the Seosan Maaesamjonbulsang (Rock-carved Triad Buddha in Seosan), Korea)

  • 이선명;이찬희;최석원;윤석봉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85-98
    • /
    • 2006
  • 서산 마애삼존불상을 구성하는 암석은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이다. 이 삼존불은 전면에 걸쳐 절리 및 균열과 탈락, 박리박락, 표면의 결로현상 및 이차적 오염물에 의한 변색 등으로 심하게 손상된 상태이다. 이 삼존불이 조각된 암반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수십 개의 암괴로 분리되어 있으며, 불규칙한 불연속면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주변의 암반에는 식생이 밀집되어 습도가 높고 미생물의 오염이 가중된 상태이다. 이 암반의 구조적 안정성 검토결과, 암반에 발달한 불연속면들은 불안정한 사면 환경에 노출된 상태로서 삼존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암반을 포함한 주변의 식생환경에 관한 정비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다 정밀한 암반의 거동특성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 PDF

무창산란계사의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Analysis in the Windowless Laying Hen Houses)

  • 이성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3호
    • /
    • pp.225-23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variation of layer house at Iowa State in the USA. The analyzed seasons for this study were summer and winter. Analyzing factors are insid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mmonia concentration and emission. All factors were collected every 30 second from each house with portable monitoring units. In this study, two types of laying hen houses were monitored at the same season. One was a manure belt house, the other was a high-rise house. In order to estimate the ventilation rates of the laying hen house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balance was used in this study. Ammonia concentrations and emission rates of the manure belt house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high rise house. Daily mean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manure belt house and high-rise house ranged from 3 to 7 ppm and 5 to 34 ppm, respectively. The daily ammonia emission rates averaged 0.68g/h$\cdot$500kg and 0.73g/h$\cdot$500kg for the manure belt house and 0.93g/h$\cdot$500kg and 2.89g/h$\cdot$500kg for the high-rise house in summertime and wintertime, respectively. Summertime is associated with much higher ammonia emission rates than wintertime because of much higher ventilation rates and ambient air temperature, even though the concentrations may be lower.

임산부를 위한 수면관리 모바일 앱 UI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UI Design of Sleep Management Mobile App for Pregnant Women)

  • 조에스더;김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78-387
    • /
    • 2018
  • 최근 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면서 헬스케어 서비스의 분야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제품들을 통한 개인 맞춤화 된 의료 시스템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테크 및 센서 시스템의 활용으로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언제 어디서든지 건강관리와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임산부를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저출산으로 인하여 산부인과 수도 격감하면서 몸이 불편한 임산부를 둘러싼 환경은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 임산부는 임신으로 인하여 편안한 수면 세를 취하기 힘들다. 소음, 온도, 습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더불어 임산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행복한 태교를 저해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임산부의 건강을 위해 좋은 수면 자세의 정보와 향상된 수면 환경을 제공하여 수면관리가 가능한 UI 디자인 개발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4차 산업시대의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임산부의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극대화 시켜 줄 것을 기대한다.

식생해석을 통한 광역증발산량 추정 방법의 개발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hrough Vegetation Monitoring over Wide Area)

  • 신사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88
    • /
    • 1996
  •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 및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 조건과 관련된 광역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의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로는 기온, 습도, 바람, 일사량, 토양조건 등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다. 식생은 그 지점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는 식생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증발산량과 식생조건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성립함을 예상할 수 있다. 어느 임의의 지점에서의 식생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NOAA/AVHRR data로부터 얻을 수 있는 NDVI를 이용함으로서 증발산량과 NDVI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산량과 NDVI의 관계를 이용하여 직접 실제 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지상의 자료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 북한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 대한 증발산량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 PDF

자외선 영역의 에어로졸 광학 깊이의 계절 분포 및 불확실도의 계산 (Seasonal Variation and Measurement Uncertainty of UV Aerosol Optical Depth Measured at Gwangju, Korea)

  • 김정은;김영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1-637
    • /
    • 2005
  • A UV-MFRSR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global and diffuse irradiances in 7 narrowband channels in the UV range 299.4, 304.4, 310.9, 317.3. 324.5, 331.3 and 367.4 nm at Gwangju ($35^{circ}\;13'N\;126^{circ}\;50'E$), Korea. Spectral UV-AOD was retrieved using the Langley plot method for data collected from April 2002 to July 2004. Temporal variation of AOD at 367.4 nm ($AOD_{367nm}$) showed a maximum in June ($0.95\pm0.43$) and a minimum in February ($0.31\pm0.14$). Clear seasonal variation of $AOD_{367nm}$ was observed with average values of $0.68\pm0.29,\;0.82\pm0.41,\;0.48\pm0.22\;and\;0.42\pm0.21$ i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Average Angstrom exponent for the entire monitoring period was $2.03\pm0.75$ in the UV-A ($324.5\∼367.4$ nm) range. Seasonal variation of the Angstrom exponent showed a maximum in spring and a minimum in summer. The lowest Angstrom exponent in summer might be due to hygroscopic growth of particles under conditions of high relative humidity. UV-AOD changes under different atmospheric conditions were also analyzed. Uncertainty in retrieving spectral UV-AOD was also estimated to range between $\pm0.218\;at\;304.4\;nm\;and\;\pm0.135\;at\;367.4\;nm$. Major causes of uncertainty were total column ozone retrieval and extraterrestrial irradiance retrieval at shorter and longer wavelengths, respectively.

서울지역 공공청사 민원실의 겨울철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Indoor Air Pollutants of Public Service Centers in Winter, Seoul)

  • 전재식;김미형;이주열;전명진;류인철;박덕신;최한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9-579
    • /
    • 2011
  • This study evaluated the indoor air quality of 26 government offices located in Seoul. The pollutant samples were taken from Jan. 13th to Jan. 29th and Feb. 20th to Feb. 23rd, 2010 in the offices. The target indoor pollutants for this study were $PM_{10}$, formaldehy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total bacteria counts,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radon, nitrogen dioxide, ozone, and asbestos which were controlled by the indoor air quality law for the multiple-use facilitie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me pollutants of the 38.5% offices exceeded the standards of the air quality guideline.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ame pollutants between indoor and outdoor represented that $NO_2$ (r=0.629, p<0.05) and $O_3$ (r=0.459, p<0.01) were significant, however, $PM_{10}$ and CO were no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ifferent pollutants showed that CO and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r=0.724; p<0.01), CO and $NO_2$ (r=0.674; p<0.01), HCHO and humidity (r=0.605; p<0.01), $CO_2$ and TVOC (r=0.534; p<0.01), TBC (total bacteria counts) and Asbestos (r=0.520; p<0.01) were significant. The energy-saving system of government buildings in winter caused under-ventilated and poor air qua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ntrations of radon and $CO_2$ should be used as an indicator for monitoring indoor air quality and maintaining effective ventilations.

Physical, 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Fine Aerosol as a Function of Relative Humidity at Gosan, Korea during ABC-EAREX 2005

  • Moon, Kwang-Joo;Han, Jin-Seok;Cho, Seog-Yeo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3호
    • /
    • pp.129-138
    • /
    • 2013
  • The water uptake by fine aerosol in the atmosphere has been investigated at Gosan, Korea during ABC-EAREX 2005.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ion and carbon components, size distribution, and light scattering coefficients in normal and dry condition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for $PM_{2.5}$ by using a parallel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mbient fine particles collected at Gosan were dominated by water-soluble ionic species (35%) and carbonaceous materials (18%). In addition, it shows the large growth of aerosol in the droplet mode when RH is higher than 70%.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ulate surface area in a wider size range ($0.07-17{\mu}m$) shows that the elevation of RH make ambient aerosol grow to be the droplet mode one around $0.6{\mu}m$ or the coarse mode one, larger than $2.5{\mu}m$. Hygroscopic factor data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aerosol scattering coefficients at a given ambient RH and a reference RH (25%) show that water uptake began at the intermediate RH range, from 40% to 60%, with the average hygroscopic factor of 1.10 for 40% RH, 1.11 for 50% RH, and 1.17 for 60% RH, respectively. Finally,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growth curve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aceous material fraction and hygroscopicity. As a result, the aerosol growth curve shows that inorganic salts such as sulphate and nitrate as well as carbonaceous materials including OC largely contribute to the aerosol water uptake.

NDVI와 기온자료를 이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추정 (Estimation of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 and Temperature Data)

  • 신사철;안태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9-89
    • /
    • 2004
  •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 및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조건과 관련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는 기온, 습도, 바람, 일사량 및 토양조건 둥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다. 식생은 그 지점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복잡한 인자는 식생의 성장조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국 증발산량과 식생조건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성립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비교적 넓은 지점에 대한 식생상태를 파악을 위해서는 NOAA/AVHRR 자료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식생지수(NDVI)를 이용함으로서 증발산량과 NDVI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NDVI와 기상자료를 조합하는 간편한 방법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제안한다.

  • PDF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안.해양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Coastal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Flooding Routing Protocol)

  • 유재호;이승철;김종진;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0-183
    • /
    • 2011
  • 최근 환경문제가 급격히 악화되고, 지구 환경의 보존이 중요한 이슈로 거론되면서 환경보호 정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환경오염의 대상은 수질, 대기 등이 있으며, 대상 오염의 예방을 위한 오염원 절감 및 시스템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온도, 습도, 조도, 기압, 이슬점 등의 대기환경 정보와 용존산소량, 수소이온지수, 수온 등의 수질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성이 고려된 필드서버를 제작하여 연안 해양지역에 배치함으로서 일정 시간동안 변화하는 대기 상황을 판단하고 더불어 수질의 상태변화를 측정 및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선센서네트워크 내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측정된 대기 및 수질 환경정보를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고안하였다.

  • PDF

유자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 방제를 위한 유기농업자재 선발 및 방제효과 (Selection and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Main Disease of Yuzu (Citrus junos Sieb))

  • 박지성;조웅준;김우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5-127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나무에 발생하는 주요 병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omopsi scitri에 의한 유자 검은점무늬병은(Meloanose)과 Elsinoe fawcettii에 의한 유자 더뎅이병(Scab)은 유자나무에서 가장 일반적인 병으로 알려져 있다. 병 발생은 6월 하순경에 피해가 큰 것은 6월 동안의 강우량과 상대습도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병들은 수령이 낮은 유자보다는 수령이 높은 유자에서 심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유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농가의 관행재배구가 78.3%였으며,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9.1~72.6%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 유자 더뎅이병 시험에서 농가의 관행재배구에 대한 방제효과는 82.6%였으며, 공시자재인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41.1~71.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본 시험결과에서 친환경유기농업자재는 유자의 검은점무늬병 및 더뎅이병에 대한 방제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