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sp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27초

급성 사구체신염의 조직소견을 보인 $Henoch-Sch\"{o}nlein$ 자반증 신염 1례 (A Case of $Henoch-Sch\"{o}nlein$ Nephritis Mimicking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Histology)

  • 정효석;이현경;김용진;박용훈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73-76
    • /
    • 2003
  • 전형적 HSP 증상이후 혈뇨, 단백뇨를 보여 신조직검사를 받은 생후 21개월 여아에서 전형적인 HSP 신염에서 볼 수 있는 소견과는 다르게 광학현미경에서 사구체 세포간질의 증식 소견이 관찰되었고, 면역형광현미경에서 세포간질과 혈관을 따라 IgG와 C3가 침착되었으나 IgA 침착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자현미경에서는 전형적인 HSP 신염에서 보이는 세포간질에의 electron dense한 deposits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주로 APSGN에서 볼 수 있는 상피하 electron dense deposits가 관찰되었다. 본 증례처럼 HSP 신염으로 보이는 환아의 신조직검사가 APSGN에서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보고하면서 저자들은 HSP의 원인으로 GAS와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 PDF

2',4'-Dimethoxychalcone 유도체 합성 및 비소폐암세포주에서 항암 활성평가 (Synthesis of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and Evaluation of Their Antitumor Activities Against Non-small Cell Lung Cancer)

  • 최명아;정주희;오용진;이영숙;서영호
    • 약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35-140
    • /
    • 2016
  • Heat shock protein 90 (Hsp90) is a ubiquitous molecular chaperone, which is associated with stabilization of many oncogenic proteins for cancer cell survival. Hsp90 is overexpressed 2-10 fold higher in cancer cells than normal cells. Due to its potential to simultaneously disable multiple signaling pathway, Hsp90 has been identified as a validated target for cancer therapy. Accordingly, we designed and synthesized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to inhibit Hsp90 chaperone function. Among 2',4'-dimethoxychalcone derivatives, we found that compound 1g disrupted Hsp90 chaperoning function and impair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1g could serve a potential lead compound to target Hsp90 in cancer chemotherapy.

Does calf-mother contact during heat stress period affect physiology and performance in buffaloes?

  • Nripendra Pratap Singh;Madan Lal Kamboj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121-1129
    • /
    • 2024
  • Objectiv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reduce heat stress in Murrah buffaloes and maintain their milk production and other vital functions during heat stress. Methods: A total of 21 dyads of calf-mother Murrah buffalo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equally divided in 3 treatment groups. First treatment group was restricted calf contact (RCC), second treatment group was fence line calf contact (FCC) and third treatment groups fence line calf contact and heat stress protection (FCC-HSP [time-controlled fan-fogger system] in the shed).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id-September 2021. Results: Maximum temperature and temperature humidity index in FCC-HSP shed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in FCC and RCC shed. Higher (p<0.05) mean daily milk yield in both the treatment groups FCC (10.36±0.30) and FCC-HSP (10.97±0.31) than RCC (8.29±0.41) was recorded.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CC and FCC-HSP in daily milk yield but FCC-HSP yielded 600 gm more milk than FCC. Pulse rate (PR) and respiration rate (RR) were lowest in FCC-HSP followed by FCC and RCC, respectively. Cortisol and prolactin levels were lower (p<0.05) in FCC-HSP followed by FCC and RCC, respectively. Conclusion: Hence, FCC along with heat stress ameliorative measures helped the buffaloes to be free of stress and maintain milk yield during heat stress period of the year in tropical conditions.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열충격 단백의 발현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 유동환;김은철;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49-259
    • /
    • 2001
  • 치주인대가 외과적 혹은 병리적으로 손상을 입은 후 재생이나 수복을 위해 체계화된 특정 단백 성분이 합성되고 증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바, 치주인대에서의 열충격 단백(heat shock protein, HSP)의 발생과 역할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염증 반응 및 치유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는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도 열충격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열충격단백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HSP47, HSP70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의 HSP47의 발현은 HSP70보다 전반적으로 많았는데, 치은, 상아질, 백악질에서 경미하였지만, 치주인대와 치조골에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2. 실험군의 상아질, 백악질, 상아모세포에서의 HSP47, HSP70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3. 실험군의 HSP47은 4일째의 치주인대 및 치조골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가 이후 감소되었는데 전반적으로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 4. HSP70의 발현은 교정력을 가한 12시간째부터 치수, 치주인대 내의 모세혈관 부위에서 증가하기 시작해 4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았다. 5. 실험군의 치조골에서 HSP70의 발현은 대조군과 유사하게 경미하였다.

  • PDF

토종 종계를 이용한 이면 교배조합 계통 간 스트레스 반응정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Stress Response in Diallel Crossed Korean Domestic Chicken Breeds)

  • 조은정;박지애;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산종계 개발을 위하여 5계통의 토종닭 순계를 이용하여 $5{\times}5$ 이면교배조합 시험을 수행하고, 공시된 25계통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정도 표지로 텔로미어 함량 및 감축율, 열 스트레스 단백질 유전자(HSPs)로 HSP-70, $HSP-90{\alpha}$, $HSP-90{\beta}$의 발현율 및 DNA 손상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텔로미어 함량은 양적 형광접합보인법을 이용하고, HSPs 발현율은 quantitative real-time PCR 기법으로, DNA 손상율은 Comet assay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배조합 25계통 간 텔로미어 함량과 감축율, HSPs 유전자 발현율 및 DNA 손상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더불어 계통 간 체중 및 생존율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텔로미어 감축율, HSPs 유전자 발현율 및 DNA 손상율 모든 분석 값에서 W 및 Y 계통과의 교잡구가 다른 교잡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반면 G계통의 순계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존율과 스트레스 표지 값들 간의 상관계수를 추정한 결과, 텔로미어 함량과는 저도의 정(+)의 상관, HSP-70, $HSP-90{\alpha}$, $HSP-90{\beta}$ 및 DNA 손상율과는 중도 및 저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폐사 개체와 생존 개체 간 HSP-70, $HSP-90{\alpha}$$HSP-90{\beta}$의 발현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폐사 개체의 HSPs 발현율이 생존 개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상 스트레스 표지 값의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교잡계들이 순계에 비해 스트레스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더불어 W, Y와 같은 경량종 계통의 교잡계들이 외적 스트레스에 강한 반면, G, H, F와 같은 고체중 계통의 교잡계들은 스트레스에 민감한 것으로 사료된다.

Antibodies to Heat Shock Protein 70kDa and 90kDa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linical Variables

  • Kim, Jung Jin;Lee, Soo Jung;Toh, Kyu Young;Lee, Chang Uk;Lee, Chul;Paik, In Ho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2호
    • /
    • pp.202-208
    • /
    • 1999
  • Schizophrenia has many clinical expressions and probably different etiologic factors. Infections, autoimmune mechanism and related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have been suggested as possible etiologic factors of schizophrenia. It has been reported that immunoreactivity to heat shock proteins, which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environmental stresses in a cell, might be related to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Therefore, we examined the immunoreactivity to heat shock protein 70kDa and 90kDa(HSP70 and 90) in 91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83 normal controls. Ig G antibodies to HSP70 and 90 of sera were quantitated by ELISA. The optical density(OD) was measured by an automated microplate reader at a wavelength of 490nm. The amounts of antibodies to HSPs were expressed as arbitrary units(AU)/ml related to a standard serum. The limit for elevated antibody titers(anti-HSPs positive or negative) was set at two standard deviations added to the mean of the normal controls. Twenty nine(31.9%) of the 91 patients showed anti-HSP70 positive and 19(20.9%) of those showed anti-HSP90 positive. On the other hand, only 1(1.4%) of the normal controls and 4(4.8%) of those showed anti-HSP70 positive and anti-HSP90 positive, respectively. The titers of anti-HSP70 positive were related with BPRS scores, while those of anti-HSP90 positive were not. There were no relationship between antibody titers and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age at onset, duration of illness,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or number of admission. The titers of anti-HSP70 positiv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i-HSP90 positive. Our results suggest the presence of abnormal immune reactivity involving HSP70 and HSP90 in a subse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PDF

Arsenic처리에 따른 흰쥐 혈관의 수축과 heat shock protein 70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and Vascular Contractility of Rat Aorta Treated with Arsenic)

  • 권윤정;박태규;김중영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313-318
    • /
    • 2003
  • 외부에서 투여된 열자극, 알콜 및 생리적 염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는 체내 각 부위에서 스트레스단백질(열자극단백질, HSP)을 생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가 흰쥐 대동맥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스트레스단백질의 발현과 대동맥의 수축력의 변화와 이들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적출한 혈관은 organ bath에 담가 0, 0.5, 1, 2,및 4 mM As를 처리한 후 1, 3, 및 8시간 뒤에 KCI(55 mM)에 대한 수축반응과 HSP 발현을 각각 생리기록계와 western blotting 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소(4 mM)를 처리한 혈관의 KCI에 대한 수축력은 처리 초기(1, 3시간)에는 효과가 없었고 처리 8시간째 대조군에 비해 39%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또한 비소처리로 혈관의 스트레스단백질 HSP 70의 생성은 비소 처리농도에 따라 증가되었고, 비소 처리 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비소처리 8시간째 HSP생성이 촉진되었다. HSP는 주로 혈관 평활근세포에서 현저하게 발현되었고 일부 내피세포에서도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소 처리에 따른 HSP 70의 발현과 혈관의 수축 증가의 상승되는 현상이 비소처리 8시간째에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비소처리에 의해 혈관의 스트레스단백질 HSP 발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혈관 수축력을 상승시켜 고혈압 유발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HSP70 단백질 증가에 의한 단백질 변성 감소 (Reduced Protein Denaturation in Thermotolerant Cells by Elevated Levels of HSP70)

  • 한미영;박영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3-44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열충격에 의한 세포내 단백질 변성을 정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Thiol compound인 diamide [azodicarboxylic acid bis (dimethylamide)]는 단백질변성시 노출된 sulfyhydryl기를 cross-link 시킨다. 정상 상태에서는 노출되지 않는 sulfyhydryl group이 변성된 단백질에서는 노출되기 때문에 diamide에 의한 cross-linking이 선택적으로 일어날 것이다. 그러므로 diamide는 변성된 단백질을 "trap"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세포내 열충격후 고분자 단백질 응집물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aggregate, HAA)이 나타남을 비환원 (non reducing) SDS-PAGE에서 관찰하였고 이를 gas flow counter로 scanning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세포에 열충격을 가한후 diamide를 처리하면 HMA가 열충격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는 HM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열충격에 의하여 변성된 단백질을 정량할 수 있음을 반증한다.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를 비교하였을 때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는 열충격에 의한 HMA의 형성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열충격후 정상온도에서 회복기를 주면서 시간대별로 diamide를 첨가하고 이때 형성된 HMA양을 측정하여, 단백질 원형복구의 역동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HMA는 열내성의 유도 여부와 상관없이 빠르게 없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 HSP70 단항체를 electroporation에 의하여 투여하였을 때 HMA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는 열내성이 유도된 세포에서는 HSP70의 증가에 의하여 HMA생성이 억제되었음을 나타낸다. HSP70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전을 시행한 결과 변성된 세포내 단백질이 HSP70과 같이 침전됨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HSP70 단백질이 변성된 단백질과 일시적으로 결합하여 정상 상태로 돌아가거나 복구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Henoch-Sch\ddot{o}nlein$ 자반증에서 스테로이드 사용이 신장 침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eroid on Renal Involvement in $Henoch-Sch\ddot{o}nlein$ Purpura)

  • 홍은정;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185-194
    • /
    • 2007
  • 목 적 : HSP는 주로 소혈관을 침범하는 혈관염으로 대개 자연적으로 치유되지만 장기적 예후는 신장 침범의 정도에 달려 있으므로 신장 침범의 위험인자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한 스테로이드가 HSP에서 신장 침범을 줄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HSP로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와 사용 기간, 지속성 자반의 유무에 따른 신장 침범의 유무와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와 사용 기간에 따른 신장 침범 빈도와 신장 침범 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테로이드의 사용 여부에 따른 신장 침범 양상을 보았을 때,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혈뇨가 많이 나타나고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백뇨가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테로이드의 사용과 자반의 지속성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반면에 10일 이상의 지속성 자반이 있는 경우에 신장 침범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장 침범의 기간도 지속성 자반이 있는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HSP로 진단받은 환아들에게 복통이나 관절통 등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후 신장 침범의 유무를 비교해 본 결과, 스테로이드의 사용 여부와 사용 기간과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신장 침범에 대한 스테로이드의 예방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테로이드 치료의 적응증이 아닌 자반의 지속성이 오히려 신장 침범의 유무와 기간과 관계있다는 사실은, 스테로이드가 신장 침범의 예방효과가 없음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 PDF

비정상적 정자형성 환자의 정소에서 Heat Shock Protein A2 (hspA2) mRNA 발현의 감소 (Repression of HspA2 mRNA Expression in Human Testes with Abnormal Spermatogenesis)

  • 손원영;황서하;한징택;이재호;김석중;김영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103-109
    • /
    • 1999
  • Objective: Heat shock protein 70-2 (Hsp70-2) gene knockout mice are found to have premeiotic arrest at the primary spermatocyte stage with a complete absence of spermatids and spermatozoa. This observation led to the hypothesis that hspA2 may be disrupted in human testes with abnormal spermatogenesis. To test this hypothesis, we studied the mRNA expression of hspA2 in infertile men with azoospermia. Design: The mRNA expression were analyzed by competitive RT-PCR among testes with normal spermatogenesis, pachytene spermatocyte arrest, and sertoli-cell only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esticular biopsy was performed in men with azoospermia (n=15). Specimen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normal spermatogenesis (n=5), (group 2) spermatocyte arrest (n=5), (group 3) Sertoli-cell only syndrome (n=5). Total RNA was extracted by Trizol reagent. Total extracted RNA was reverse transcribed into cDNA and amplified by PCR using specific primers for hspA2 target cDNAs. A competitive cDNA fragment was constructed by deleting a defined fragment from the target cDNA sequence, and then coamplified with the target cDNA for competitive PCR.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gene was used as an internal control. Results: On Competitive RT-PCR analyses for hspA2 mRNA, significant amount of hspA2 expression was observed in group 1, whereas a constitutively low level of hspA2 was expressed in groups 2 and 3.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hspA2 gene expression is down-regulated in human testes with abnormal spermatogenesis, which in turn suggests that hspA2 gene may play a specific role during meiosis in human tes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