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well tes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Repea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New Phoria Test Using Flashed and Auto-flashed Presentation

  • Moon, Byeong-Yeon;Park, Sun-Young;Cho, Hyun Gu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6권4호
    • /
    • pp.418-4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repea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new phoria test as compared to established phoria tests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mobile or online testing using the auto-flashed presentation. Near dissociated phoria was measured using the von Graefe method, the Howell card test, the modified Thorington test, and a new dichromatic card test (Red-Blue Phoria card test; RBP card test) on 109 subjects. The inter-examiner difference and test-retest difference were calculated. With the auto-flashed presentation of the RBP card test, near dissociated phoria was measured and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est-retest repeatability was assessed on 26 subjects. The variation in inter-examiner repeatability was the smallest for the modified Thorington test (+3.1/-2.6). The RBP card test was +3.0/-3.1, the Howell card test was +3.5/-2.7, and the von Graefe test was +6.2/-6.0. The variation in test-retest repeatability was the smallest for the RBP card test (+0.4/-1.4). The modified Thorington test was +1.3/-1.3, the Howell card test was +1.27/-1.45, and the von Graefe test was +1.59/-2.20. The ICC was 0.919 for the auto-flashed presentation of the RBP card test. The RBP card test is considered a highly repeatable method clinically and can be made a useful application for testing in mobile or online.

검사 방법에 따른 원·근거리 수평사위의 분석 (Analysis of far & near distance of lateral phoria by various testing methods)

  • 홍동균;정한섭;박상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23-430
    • /
    • 2004
  • 본 연구는 15세 이상 35세 이하의 남녀 420명, 840안을 대상으로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원거리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프리즘 분리법, 마독스 로드 검사법, 하웰 사위카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원거리 수평사위, 근거리 수평사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프리즘 분리법 (원거리)에서는 정위 23명 (6%), 외사위 262명 (62%), 내사위 135명 (32%) 2. 프리즘 분리법 (근거리)에서는 정위 9명 (2%), 외사위 310명 (74%), 내사위 101명 (24%) 3. 마독스 로드법 (원거리)에서는 정위 18명 (4%), 외사위 246명 (59%), 내사위 156명 (37%) 4. 마독스 로드법 (근거리)에서는 정위 13명 (3%), 외사위 280명 (67%), 내사위 127명 (30%) 5. 하웰 사위카드 (원거리)에서는 정위 33명 (8%), 외사위 253명 (60%), 내사위 134명 (32%) 6. 하웰 사위카드 (근거리)에서는 정위 18명 (4%), 외사위 290명 (69%), 내사위 112명 (27%).

  • PDF

조절자극 방식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AC/A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 조태식;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3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외사위 교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경사 AC/A 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방법: 타각적 및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를 가입한 후 Howell 시표(3 m용)를 사용하였으며, 근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 -1.00 D, +2.00 D와 -2.00 D를 각각 가입한 후 Howell-Kim(40 cm 용) 시표를 사용하여 사위검사와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는 평균 외사위 1.17${\pm}$1.17 $\Delta$, 근거리 평균 외사위 3.71${\pm}$2.80 $\Delta$으로 나타나(t-test. p < 0.001), 원근거리 사위의 상관관계(r = 0.59, p < 0.001)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사 AC/A 비는 측정거리와 조절자극에 따라 다양하였고(r = 0.11~0.53. p < 0.001) 측정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자극이 클수록 높았다. 또한 플러스 굴절력보다 마이너스 굴절력에 의한 조절자극이 높게 나타났다(t-test. p<0.001). 또한 계산 AC/A 비가 클수록 경사 AC/A 비는 오히려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1.00 D 부가한 경사 AC/A 비는 원거리가 1.30 $\Delta$/D 근거리가 1.68 $\Delta$/D로 근거리 AC/A 비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t-test. t=1.67,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음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고,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경사 AC/A 비보다 작지만 유의적 수준의 차이를 보여 원거리 외사위의 교정은 원거리 경사 AC/A비를 반드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VID-19 팬데믹을 경험한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Low-Grade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 COVID-19 Pandemic)

  • 임세미;염영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6호
    • /
    • pp.73-8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을 경험한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행복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2022년 12월 18일부터 2023년 01월 5일까지 G시 소재 두 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학년과 2학년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e test, GamesHowell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행복감은 스트레스(r=-.17, p=.017)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r=.68, p<.001)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에 대한 영향요인은 사회적 지지(β=.63, p<.001), 학과 만족도(β=-.13, p=.015) 순으로 총 변화량의 49.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ursing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97-10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조직사회화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조직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2023년 05월 04일부터 2023년 06월 10일까지 G시 소재 2개 대학에 재학중인 3학년 간호대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 ANOVA, Scheffé test, Games-Howell test,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조직사회화는 감성지능(r=.61, p<.001), 셀프리더십(r=.6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사회화에 대한 영향요인은 셀프리더십(β=.407, p<.001), 감성지능(β=.320, p<.001), 대인관계가 좋을수록(β=.139, p=.004), 종교가 있는 경우(β=.103, p=.030) 순으로 총 변화량의 51.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조직사회화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양안융합의 분리 시간에 따른 사위량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ion of the Quantity of Phoria as Way to Separation of Binocular Fusion)

  • 강석현;홍형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1-337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위검사법인 하웰검사와 토링톤검사 및 개발된 사위검사법인 3차원편광검사를 사용하여 양안의 융합제거 시간에 따른 사위량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융합을 제거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여러 사위검사법으로 사위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사위 측정에는 하웰검사, 토링톤검사, 3차원편광검사 등 세 가지 사위검사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대상자가 실험 중에 사위성 눈피로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검사의 신속함을 고려하였다. 신속한 검사를 위해 세 가지 사위검사법에 호환 가능한 검사시표와 검사렌즈를 장착한 시야제한 장치를 제작하고 검사순서를 고안하였다. 순간 분리 사위량은 개발된 시야제한 장치(apparatus)를 통해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moment separation)에 측정하고, 안정된 분리 사위량은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 후 각각의 지시상자의 움직임이 수평의 숫자배열 위에서 안정된 정지 상태를 보이는 순간(stable separation)에 측정하였다. 결과: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이하 "분리 순간 사위량")과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안구 정렬상태에서 측정한 사위량(이하 "분리 안정 사위량")의 비교 분석에서는 외사위(exophoria)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외사위일 때 분리 순간 사위량이 분리 안정 사위량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세 가지 사위 검사법의 비교 분석에서는 개발된 3차원편광검사로 측정했을 때 두 가지 분리 검사 간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과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안구 정렬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량의 비교 분석에서는 외사위에서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이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사위량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세 가지 사위 검사법의 비교 분석에서 두 가지 분리 방식의 검사 간 차이량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위 검사할 때, 순간 분리 사위량과 안정된 분리 사위량을 구분없이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두 가지 분리 검사로 측정한 사위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처방전에 어떤 조건으로 사위량을 측정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기입이 필요하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Person-centered Care of Nursing Students in the Region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임세미;염영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25-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인간중심간호 정도를 파악하고 인간중심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2022년 05월 02일부터 05월 20일까지 G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3학년과 4학년 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Games-Howell test,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인간중심간호는 공감능력(r=.57, p<.001), 의사소통능력(r=.63, p<.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간중심간호에 대한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β=.44, p<.001), 공감능력(β=.30, p<.001), 임상실습만족도(β=-.13, p=.028) 순으로 총 변화량의 49.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간중심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해 의사소통능력 및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고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전·사후 평가를 통한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

초기성인기 여성의 건강생활습관과 주관적 건강상태 추이조사 (A Transition of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Aged in Early Adulthood)

  • 이영란;김명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9-20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health habi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early adulthood women in 1995, 2001, and 2007. Also, it was performed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Method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to identify a transition of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Particip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18~25years old college women. Data was collected from 380 college students in 1995, 196 college students 2001, and 411 college students in 2007. Health habit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uthor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Cronbach $\alpha$=.87. Cronbach $\alpha$=.85, Cronbach $\alpha$=.90. The visual analogue scale which had 100 self-rating scores was us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for Windows,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Levene's test, repeated measure ANOVA, Brown-Forsythe test, Turkey test, Games-Howell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Results: Health habit level, and self-rated heath statu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after 1995. Health habits was correlated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Conclusion: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were influenced by health environments. Health practitioner can use perceived health status to access health habits.

내관 지압이 자가 통증 조절을 하는 복강경하 전립선절제술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신미영;하주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1-14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going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3, 2012 and January 31, 2013 at a hospital in Busan. The participants were 45 men, who underwent the surgery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V-PC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Games-Howell test with PASW 18.0. Results: Nei-Guan acupressure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nausea between group and time (F=5.01, p<.001), group (F=10.80, p<.001), time (F=26.51, p<.001) in laparoscopic prostatectomy with IV-PCA and also an interaction effect on vomiting between group and time (F=2.77, p=.032), group (F=8.89, p=.001), time (F=4.01, p=.022).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nei-guan acupressure is a potentially effective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nausea and vomiting which occur with IV-PCA. Therefore, if patients complain of nausea and vomiting when receiving IV-PCA, nurses can provide patients with information about nei-guan acupressure and help them with nausea and vomiting.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의과대학생이 경험한 일상생활 변화, 정신건강 문제 및 스트레스 대처 (Medical Students' Perceived Changes in Life, Mental Health Problems, and Strategies for Coping with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김혜원;여상희;안신기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231-23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on areas of Korean medical students' lives, assess concerns, and investigate the strategies they used to cope with stress due to the pandemic. An online survey with a total of 53 items on the impact of COVID-19, concerns, and coping strategies was sent to medical students, an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2021 to May 30, 2021. In total, 1,329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ost-hoc Scheffé test or Games-Howell test was perform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 main negative impacts of the pandemic were on hobbies/leisure activities and mental health, and medical students expressed the highest levels of concern regarding restriction of movement, returning to everyday life, and risk of infection for family and friends. Female students more strongly agreed that COVID-19 had increased their depressed mood and anxiety (p<0.001 and p=0.003,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pandemic on different areas of life significantly affected current levels of depressed mood and anxiety. To cope with pandemic-related stress, students used several strategies such as talking with family or friends (91.5%), sleeping (83.1%), exercising (72.8%),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60.8%), drinking alcohol (37.8%), and practicing meditation/mindfulness (24.4%);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ranged from 3.45 to 4.19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1-5).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OVID-19 has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and raised concerns in many areas of their lives. Students used various strategies to cope with the pandemic-related stress; since the effectiveness of frequently used approaches varied, it is essential to guide medical students to develop effective coping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