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hold income

검색결과 1,742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Types and Sources on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in Elderly Koreans)

  • 이상록;이순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71-95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 및 가구 소득원들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주목한 연구로, 이를 통해 노인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는 가구소득 수준의 제고 뿐 아니라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 구성에 대해서도 정책적 주목이 요청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 분석에는 소득원별 가구소득 및 개별 가구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있는 한국복지패널조사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노인가구의 가구소득 유형에 대한 군집분석결과에서는 근로/사업/재산소득 의존형 35.7%,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41.9%, 사회보험/수당소득 의존형 13.5%, 공공부조소득 의존형 8.8%로 나타나, 노인가구의 소득구성은 동질적이지 않고 내적 편차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가구소득 유형의 차이에는 노인들의 개인 및 가구 특성이 주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이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의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노인 우울 및 자아존중감이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고, 회귀분석모델을 적용하여 가구소득 유형 및 주요 소득원들의 실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특정 가구소득 유형(공공부조소득 의존형, 사적이전소득 의존형) 및 특정 소득원들(공공부조소득,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가구소득 유형 및 소득원들이 노인들에게서 중요한 심리사회적 의미를 지님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노후 삶의 질 제고 측면에서 노후소득보장체계 개선 시 적극 고려되어야 할 바임을 시사한다.

상대적 박탈 인지가구의 소비유형과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onsumption Patterns of 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 심정인;김순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5호
    • /
    • pp.489-502
    • /
    • 2015
  •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relatively depriva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The data used were the seventh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final sample of 1,597 households was selected based on several sampling steps standard weights suggested by KOWEPS were applied. The final sample was subdivided into 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51.7%) and non-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48.3%) per level of subjective income and objective income. We derived six consumption patterns from the cluster analysis as per consumption ratio: transportation dominant consumption pattern, essential consumption pattern, other dominant consumption pattern, care attention consumption pattern, private transfer consumption pattern, and education dominant consumptio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in regards to question one found that the household was likely to be relatively deprived when: the head of a household was older, a household had a dual income, children and more total assets then those assessed 1 year ago compared to household living conditions, result of comparing the consumption patterns difference between 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and non-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indicated that 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wa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ransportation dominant consumption pattern, other dominant consumption pattern, and private transfer consumption pattern.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consumption patterns of household recognizing relatively deprivation indicated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ehold-related variables, financial variables and perception of economic conditions.

가계특성과 주거비지출: 근로자가계 분석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Expenditure)

  • 양세화;오찬옥;양세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35-245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expenditure. The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1996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nd the final sample included 12,323 households. It was found that total housing expendi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nure type, household income, household size, age, occupation and education of the head, or location of housing. The significantly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model of total housing expenditure were owner and yearly-renter dummy, household income and the household income squared, mortgage-off dummy, Seoul and metropolitan city dummy, and employed-wife dummy.

  • PDF

한국 의료보장제도 의료비 부담과 가족소득 불평등의 관계 (Family Income Inequality and Medical Care Expenditure In Korea)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366-375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 의료보장제도에 있어서 의료비 부담과 민간의료보험 급여액의 소득계층별 불평등을 평가하고, 가구소득 불평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의료비 부담에 따른 가구소득변화 지니계수를 산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우리나라 가구소득 불평등은 소득1분위 평균가구소득이 629만원인 반면, 10분위 소득은 1억 193만원으로 소득분위별 소득금액차이가 매우 컸고, 지니계수가 0.3756으로 불평등 정도가 컸다. 둘째, 가구소득분위별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등 공적지원이 이루어지는 외래 입원진료 관련 의료비 부담 지니계수가 0.0761로 나타났으며, 공적제도의 지원이 없는 의료이용을 위한 교통비와 의료용품구입비 등을 모두 포함한 의료비 부담의 지니계수가 0.0878로 나타나서 의료비 부담의 불평등은 공적지원이 있는 부담과 공적지원이 없는 부담 모두 적었다. 가구소득차이와 관계없이 의료비를 부담하고 있는 것이다. 셋째, 가구소득 불평등과 의료비 부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구소득에서 의료비 부담을 제외하여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기존 가구소득 지니계수보다 의료비 부담을 제외한 지니계수가 약간씩 증가하였다. 즉, 우리나라 가구의 의료비 부담은 소득계층별로 불평등하여서 가구소득의 불평등을 악화시키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건강보험 의료급여와 같은 공적지원이 있는 의료비부담도 동일해서 공적제도가 가구소득 불평등을 약간 악화시켰다. 넷째, 민간의료보험 급여액 지니계수가 0.0927로 나타나서 민간보험 급여액의 불평등은 적었다. 아울러 가구소득과 민간보험급여를 합산하여 산정한 지니계수가 0.3756에서 0.3672로 감소하여서 민간의료보험을 통한 보험금 수입이 가구소득 불평등을 다소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가구의 주거이동 요인 분석 (Analyzing the Residential Mobility Factors of Low-Income Households)

  • 강미;이재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3호
    • /
    • pp.79-9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11차 연도부터 19차 연도자료를 이용하여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계층을 구분한 후 저소득계층의 계층변동이 없는 가구와 변동이 있는 가구의 주거이동 영향요인을 전체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저소득층은 주거이동확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가구와 데이터를 분할하여 살펴본 가구특성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연령과 점유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계층 변동이 없는 가구에서 연령과 주거비용, 전월세의 임차가구만이 유의함을 보임으로써 이들의 주거비부담 완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득계층의 변동이 있는 가구에서는 총소득과 상용직 종사자수가 전체가구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저소득계층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저소득계층 내에서도 불균형이 심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저소득층의 소득향상과 주거안정을 위해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한 주택정책을 펴야할 것이다.

가구주 근로유형과 가계저축: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 (Householder's Working Type and Household Saving: A Perspective of the Precautionary Saving Behavior Theory)

  • 심영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에서 가구주 근로유형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로, 가구주 근로유형이 상용직과 비상용직(임시직, 일용직, 공공근로)인 가계로 한정하여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가구 총 6,207가구 중 2,463가구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의 근로유형은 가계저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대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상용직 가구주 가계가 임시직, 일용직 혹은 공공근로의 비상용직 가구주 가계보다 더 많은 예비적 저축을 하였고, 나아가 더 많은 예비적 자산을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구주 근로유형별로 영향 요인 및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주로 월평균 총소비지출, 부채 유무, 순자산, 빈곤 여부, 가구원수, 기초보장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예비적 저축에 대한 기초보장의 정적 영향이었다.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가사노동 사회화의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하는 확대기 가정 주부를 중심으로- (An Ecological Study on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Focusing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of Housewives-)

  • 윤영희;박미석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권1호
    • /
    • pp.101-115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utilizing ecological theory. The main purposes were to identify the socialization level, and to predict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in term of the selected variables. The sample was drawn from housewives of expanding stage of family life cycle in Seoul. 518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PC+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e variables of food area, education of housewife, type of housing, family income, number of children had significant influence. 2. Among the variables of clothing area, family income was the only important variable. 3. Among the variable of housing area, number of household equipment, number of aids for household work, education of housewife, family income, attitude of housewife’s role, number of aids for household work had significant influence. 4. Among the varables of home management area, number of household equipment, family income, self control had significant influence. 5. Among the environment variables of household work, social-cultural environment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 PDF

Nutritional status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overweight tendency and micronutrient deficiencies

  • Kim, Kirang;Shin, Sam Cheol;Shim, Jae E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5호
    • /
    • pp.547-553
    • /
    • 2015
  • BACKGROUNDS/OBJECTIVES: The effects of malnutrition on growth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by socioeconomic status are not well know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ntake on growth outcomes in toddlers and preschoolers by household income level. SUBJECTS/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a total of 1,687 children aged 1 to 5 years that participated in the KNHANES from 2009 to 2011. Growth of children was assessed by height for age (HFA) and weight for height (WFH).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hildren's HFA and WFH compared to the $10^{th}$ and $90^{th}$ percentiles of the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Growth Standar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divided into quartile groups. Dietary intake data were obtained by using the one day 24-hr recall method. Risks of inadequate intake of nutrients and unfavorable growth were estimated by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sex, age, region, and energy intake. RESULTS: The low HFA group (<$10^{th}$ percentile)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 and thiamin as compared with the high group (${\geq}90^{th}$ percentile). For WFH status, vitamin C intake was lower in the low group than in the high group. Household income level was related to WFH status but not HFA. Children from lower income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 WFH than those from higher income households (P for trend = 0.038). Household income status was also significantly related with risk of inadequate intake of micronutrients such as thiamin (P for trend = 0.032) and vitamin C (P for trend = 0.002), showing higher odds of inadequate intakes in children from lower income households. CONCLUSIONS: Children from lower income households were prone to be overweight and to have inadequate intakes of micronutrients such as thiamin and vitamin C. To reduce nutritional and health disparities, collective action in the public sector is required from early life.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 교육소비욕구 및 사교육비와 노후준비금 지출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Incom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ses on Preparations for Old Age by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 장윤옥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35-1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for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and to discover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among 393 mothers living in Daegu with school-aged children from 8 to 19 years old and with wage-earner husbands.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s which addres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ousehold income, the scale of education needs, the scal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scale of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scale of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In order to analyze the study dat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ere used, and structural path analysis using AMOS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greater the household income, the greater the education needs. Second,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need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ird, education needs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ourth, expenditur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was influenced by the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he household income of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inally, education need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and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for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the expenditures of preparations for old age. On the other hand, in mediating education needs, household income of these moth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expenditures of preparations for old age.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turned out to have the biggest total effect on the preparations for old age of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한국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 (The Role of Niacin Intak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장의미;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47-859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포함된 65세 이상 노인 총 1,6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가중치를 적용 후, SPSS 24.0을 이용하여 Two-way 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아신(Niacin) 섭취량 역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소득 수준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나이아신(Niacin)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인의 가구소득 수준에 따른 우울증상의 차이를 줄이고, 노년기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나이아신(Niacin)과 같은 영양소 섭취의 중재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