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hold Level

검색결과 1,295건 처리시간 0.032초

에코부머 세대의 부모-자녀 분화, 결혼안정성 및 심리적 복지의 구조적 관계: 기혼 딸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 Differentiation, Marit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Eco-Boomer Married Daughters)

  • 전세송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53-263
    • /
    • 2022
  •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어머니(1955-1963년생)를 둔 에코부머 기혼 여성(1979-1992년생) 382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 부모-자녀 분화, 결혼안정성,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친정 어머니와의 월 평균 접촉 빈도가 많을수록 어머니와의 친밀감(연결성)이 높았다. 결혼지속년수가 높을수록 결혼안정성은 낮았고, 교육수준이 높고,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자기수용성이 높았다. 또한 맞벌이 가정의 여성이 외벌이 가정의 여성에 비해, 친정 어머니로부터 자녀 양육 도움을 받는 기혼 여성이 도움을 받지 않는 여성에 비해 타인과 신뢰할만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만족감을 나타내지 못했다. 어머니와 잘 연결되어 있거나 친밀감이 높은 사람은 결혼안정성이 높았고, 결혼안정성이 높은 사람은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부모-자녀 분화 수준이 높은 기혼 여성은 자기수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또한 긍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Impact of Oral Health on Depression: Use of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Ho-Jin Jeong;Jung-Hwa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4-279
    • /
    • 2023
  • In this study, we use data from the 202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and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oral diseases that affect depression. The final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52 adults aged 19 or older among the 7,090 subjec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in the 3rd year of the 8th period (2021), and the total frequency discrepancy in the research results was omitted due to missing values.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depression.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ends on gender (P < 0.001), number of household members (P = 0.047), and subjective health level (P < 0.001). Depression according to o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complaints of chewing discomfort (P = 0.006) and toothache within the past year (P = 0.023).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erms of gender, men are 0.43 times more likely than women (95% CI: 0.28~0.65), and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level, good compared to bad is 0.46 times more likely (95% CI: 0.28~0.75), the average was 0.59 times (95% CI: 0.40~0.87) hig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in order to relieve oral discomfort and to motive people to take responsibility for won health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oral health to oral health related to oral health and mental health.

주택 점유형태와 인문사회적 특성간의 상관관계 연구 - 목포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omeownership and Human and Soci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Mokpo City -)

  • 박정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117-134
    • /
    • 2024
  • 주택은 인간 생활환경의 필수 요소다. 주택의 점유 유형은 연령, 가족 구성, 직업, 교육수준,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조사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주택 소유 형태가 개인과 사회의 특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연령층에서 아파트 거주 비율이 높았다. 미혼인 경우보다 혼인 상태에 있는 경우 아파트 거주 비율이 높았으며, 가구원 수와 세대수가 늘어날수록 아파트 거주 비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인 상태,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집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직업 유무와 교육수준에 따라 자기 소유의 집에서 거주하는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수요자의 주택 구매능력과 수요자 특성에 맞춘 주택 공급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산촌(山村)의 노동력(勞動力)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abor Change in Mountainous Villages)

  • 유병일;박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7-45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임업(林業) 생산(生産)의 주축(主軸)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산촌(山村)이란 특수지역(特殊地域)을 대상(對象)으로 산촌입구(山村入口)의 대량(大量) 유출(流出) 현상을 고찰하고 산촌(山村) 노동력(勞動力)의 변화(變化)가 농가경영(農家經營)과 임업생산(林業生産)에 미치고 있는 파급(波及) 양상(樣相)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하고자 시도 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산촌내(山村內) 입구(入口)의 대량(大量) 유출(流出)은 70년대(年代) 중반(中半)부터 표면화(表面化)되고 있으며 전출(轉出) 속도(速度)는 점차 가속화(加速化) 하고 있다. 2. 입구(入口) 유출(流出)은 임업생산(林業生産)이 활발(活發)치 못한 지역(地域)에서 임업생산(林業生産)이 활발(活發)한 지역(地域)보다 더욱 심하다. 3. 임업(林業)이 선진(先進)한 산촌(山村)에서는 임업생산(林業生産) 활동(活動)을 통(通)해 농가(農家)의 잉여축적(剩余蓄積)이 가능(可能)하였고 농민층(農民層)의 분화(分化) 현상(現象)이 나타나고 있으며 농촌업(農村業)을 중심(中心)으로 하는 농가(農家)의 겸업화(兼業化)가 진행(進行)중에 있다. 4. 산촌(山村)의 입구유출(入口流出)은 16~30재(才) 계층(階層)이 82~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결과적(結果的)으로 노동력(勞動力)의 노령화(老令化) 부녀화(婦女化) 등 질적(質的) 저하(低下) 현상이 현재화(顯在化)하고 있다. 5. 임업노동(林業勞動) 시장(市場)의 성격(性格)은 유촌지역내(由村地域內)에서 수급(需給)이 조절되던 과거(過去)의 폐쇄적(閉鎖的)인 모습에서 개방적(開放的)인 모습으로 변화(變化)되어 가고 있다.

  • PDF

한국 당뇨병 성인의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Level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Mellitus)

  • 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607-61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당뇨병 성인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2차분석 연구이다. 당뇨병을 진단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대상자 선정기준을 충족한 1,343명의 자료를 multiple linear regression과 quanti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평균 .86(±.14)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유무, 건강보험 종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었다(all p<.05). 그러나 연구대상자를 삶의 질 수준에 따라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확인한 결과에서는 하위 25% 집단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유무, 건강보험 종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고, 중간 50% 집단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건강보험 종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며, 상위 75% 집단은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유무, 가구당 수입, 건강보험 종류, 당뇨병 유병기간으로,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당뇨병 성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중재 전략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태에 따른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following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 권현숙;이은경;조갑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70-684
    • /
    • 2009
  • Objectives : This research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closely affect the children's dental health and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the latter with the status of children's dental health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health business that would target children. Methods :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rbitrarily from three nursery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argeting 18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to six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were subjected to dental Inspection, and the status of their dental caries was studied whereas the mothers were subjected to the survey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Results : 1.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when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higher(p=0.02) and when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is higher(p=0.009). 2.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oothbrushing using proper method(p=0.025). Moreover,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they tended to take their children to dental clinic mostly for preventive measures than for treating cavity(p=0.023). 3. When the level of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is higher, children's dmft index was significantly low(p=0.02). When the mothers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children's children' dmft index was even lower(p=0.02). 4. As the children tended to brush their teeth more often, dmft index was lower(p=0.003). When the reason that the children visited dental clinic was more to prevent, than to treat cavity, dmft index was even lower(p=0.000) Conclusions : Whe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re summarized,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ther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dental healt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ternal and child dental health program that factors in both the mothers and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dental caries and to increase their dental health, and continued care is required to discover and treat dental caries early on.

  • PDF

도시주부의 스트레스와 가정관리 행동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urban Homemaker's Stress and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 이안나;신효식;우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2호
    • /
    • pp.137-153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omemaker's stress and their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in Money and Time focusing on the Morphogenic & Morphostatic. This research aimed to ' 1) Identify the overall tendency of homemaker's stress &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2) Find out if socio-demographic variables(ie. age of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marriage, umber of children, homemaker's employment, socioeconomic statu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omemaker's stress and their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3)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homemakers' stress and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4) Find out variables which have independently significant effect o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For these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by us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former resear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00 homemakers living in Kwangju who have at least one child. The data analyzed o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mean ,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General tendency of the stress level percepted by the homemakers is relatively low 2) socio-demograph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tress of homemakers. Among them only homemaker's age. the number of children and socio-economic status have influe d on the stress of urban homemakers. In each area, there are differences among groups; homemaker's age, durations of marriage, number of children in the area of family; age, number of children, socio-economic status in th area of health; age. durations of marriage. number of children, socio-economic status in the area of finance; socio-economic status in the area of household work. 3) General tendency of homemakers behavioral patterns is some what morphostatic. 4)socio-demograph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patterns of home management, a)Homemaker's age, the level of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is a variable to have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of the Money. b)The age homemakers is a variable to have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of the time. c)The age of homemakers, duration of marriage is a variable to have influences on the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s of the resources. 5)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memaker's stress and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 The higher level of stress , the more morphogenic home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 6)Influential variables related to management behavioral patterns are homemaker's age, the level of stress, socio-economic status.

  • PDF

스트레스와 신체활동,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실증분석: 2008~2013년 KNHANES 데이터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Stress on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from KNHANES 2008 to 2013)

  • 전현규;심재문;이건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51-5363
    • /
    • 2015
  • 국내에서 이뤄진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연구는 대부분 신체활동과 질환 간의 관계를 살피거나, 스트레스나 우울증과 삶의 질 간의 관계만을 살피는데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같은 감정상태가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체계적인 실증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8~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자료를 토대로, 스트레스와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교차분석과 집단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 비경험 군에서 남녀 모두 고강도 신체활동에 비하여 저강도 신체활동 수행시 삶의 질 수준이 낮아졌다(남: OR=1.15 p<0.001, 여: OR=1.18 p<0.001). 그러나, 스트레스 경험군에서는 남자는 스트레스 비경험군과 동일하게 저강도 신체활동 수행시 삶의 질 수준이 낮아졌지만(OR=1.79 p<0.01), 여자의 경우에는 오히려 삶의 질 수준이 높아졌다(OR=1.18 p<0.05). 이를 통해 스트레스에 따라 신체활동 수준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부 성인의 구강건강문해력과 구강보건행태 (A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Adults)

  • 김선일;박현경;남지영;고수연;김혜진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9-8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for adult workers. Methods: This study chose some adult workers located D City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ccepted thos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with a survey as subjects. The final study subjects were 297 except 24 with unsound questionnaires among a total of 321 questionnaires. The contents of a survey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literacy, and the survey was done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In the verbal oral health literacy distribution based on REALM standard of the subjects, a scale of 7-8, 45-60 points by score was the highest with 62.0%. In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f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liter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oral health literacy, monthly income of house hold, and marital status as well,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level according to oral health behavior and in the oral health knowledge level depending on a regular checkup. And In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dentistry and dental health education, and main body of the decision of dental treatment, verbal oral health literacy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literacy was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based on correlat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knowledge level, verbal oral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gender and education level,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and age and marital statu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for oral health literacy along with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affecting adult workers' oral health, and tried to establish the connection among them.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an improvement plan of oral health literacy for the prevention and promotion of adult workers' dental disease in the future.

  • PDF

지역의 소득수준이 계층인식 불일치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준거집단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s of Regional Income Level on Subjective Income Status, and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 Focused on Reference Group Effects -)

  • 안아림;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5권2호
    • /
    • pp.19-31
    • /
    • 2019
  • 본 연구는 사람들이 생활을 영위하는 최소 공간단위라 할 수 있는 읍면동 수준에서 지역의 소득수준이 계층인식의 불일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소득 분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주어진다고 가정할 때, 개인의 삶의 만족감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객관적 소득수준보다 계층인식은 낮아지는 하향불일치 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이 높은 지역보다 낮은 지역에서 저소득층의 삶의 만족감이 더 크게 감소하였다. 정책결정자의 입장에서 정책의 대상이 되는 이들의 요구는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셋째, 계층인식 불일치 감소에 의한 삶의 만족감 변화는 지역의 소득수준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평균적인 소득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삶의 만족감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 수준과 다른 상황에서 나타나는 정책적 요구는 그들의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