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use Cultivation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7초

새송이 버섯 재배사의 공간효율 및 구조안전 검토 (Space Efficiency and Structural Safety of Eryngii Cultivation House)

  • 권진근;서원명;윤용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51-354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design criteria of Eryngii cultivation houses. Optimization of lay-out efficiency together with analysis of structural safety were two main tools of approaching toward reasonable models to be developed. Some models tentatively assu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ield survey and analysis were compared in the aspect of structural safety as well as energy efficiency.

  • PDF

군위지역 오이 시설 재배지의 토양특성 변화 (Change In Soil Properties After Cucumber Cultivation Under Plastic Film House At Gunwi-Gun Area)

  • 이동훈;최충렬;김광섭;김평열;서정우;박만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4권
    • /
    • pp.43-47
    • /
    • 2006
  • 군위군 오이재배지역을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군위군 노지 및 시설오이 재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연작과 관행적인 토양관리로 인하여 저하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오이재배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토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군위군 군위읍 외랑리 오이재배단지로서 주요 토양통은 토양도에 나타난 단북통과 신정통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으며, 점토함량은 시설재배지내 토양의 경우 양토이었으며, 시설재배지의 외부 토양의 경우 23.8%로 높게 나타났다. 오이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결과에 대한 오이재배지 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하여 보면 일반적인 화학적 성질에서 서는 유효 인산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시설재배지의 외부토양은 적정범위에 속하나 시설재배지 내부토양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상부 토양은 매우 높으나 10cm 이하는 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오이 재배지 토양 중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리의 함량이 시설재배지가 노지재배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시설재배지의 경우는 다른 곳과 달리 표토 위에 부숙이 어려운 유기물의 과량투입에 따라 표토 위의 유기물 30% 이상의 유기물 층이 존재하여 모든 양분 성분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분석에 따른 토양관리법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영구형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 Factors in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House of Permanent Frame Type Structure)

  • 윤용철;서원명;이인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환경조절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진주인근에 위치한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영구형 재배사 2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재배사 내부에서 측정한 환경인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실험지역의 외기온은 평년의 것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시스템 변경전의 경우, 동절기에는 전체적으로 설정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었고, 또 최상부와 최하부의 최대온도 편차도 $5.1^{\circ}C$ 정도로 상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스템의 변경 후의 경우, 난방시 대체로 설정온도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향을 보였고, 공기정체나 온도층의 역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습도는 시스템 변경 후, $80{\sim}100%$ 정도의 범위로서 권장상대습도 범위에 있었다. 전체 재배기간동안 탄산가스 농도는 $400{\sim}3,300mg{\cdot}L^{-1}$ 정도의 범위에 있었다. 조도는 권장조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산도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수확량은 전체적으로 일정하지 않았고, 포기재배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등외품이 적었으며, 증수 효과도 있었다. 전력소비량은 계절별로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하절기보다 동절기에 전력소비량이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추 논재배 시 비가림형태가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n-shelter Typ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var. 'Keummaru') Cultivation in Paddy)

  • 이광재;송명규;김시동;남상영;허정욱;윤정범;김동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355-362
    • /
    • 2016
  • 본 연구는 고추 논 비가림재배 시 비가림형태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금마루' 이었다. 비가림형태는 노지(대조구), 간이비가림(2줄재배, 2R), 간이비가림(4줄재배, 4R), 하우스(House) 등 4처리를 하였다. 초장은 House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엽장과 엽폭은 비가림형태간에 차이가 없었다. 생과중과 건과중은 House > 4R > 2R > 대조구순으로 많았다. ASTA 값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역병, 흰가루병, 세균성점무늬병은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탄저병은 노지에서만 발생하였다. 응애, 총체벌레, 담배가루이는 모든 처리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진딧물, 담배나방, 바이러스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고추 비가림재배는 건고추 수량 및 상품성 증대뿐만 아니라 병해충의 발생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2 Cropping systems using field crops in unheated plastic house at paddy field

  • Shin, Jung-Ho;Moon, Jin-Young;Song, Jae-Ki;Choi, Yong-Jo;Hong, Kwang-Py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79-279
    • /
    • 2017
  • In Korea, the single span unheated plastic house cultivated crops from autumn to spring of the following year, removed the plastic film and frame, cultivated rice, set up a plastic house again and cultivated crops. The crops in the greenhouse are utilized mainly for the production of leaf vegetables such as lettuce, leek, and fruit vegetables such as strawberry, watermelon, oriental melon, etc. and raising high income. Because, the production of these crops has characteristics requiring a lot of labor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horticultural crops at unheated plastic houses as the rural population ages. Therefore, we conducted a test to develop a crop planting system to cultivate crops in single span unheated plastic houses, although the utilization of labor is less than that of horticultural crops. The prior cropping cultivated three cultivars of sweet potatoes early, the second produced cultivated sweet potatoes, corn and soybeans. In the cultivation of the previous cropping, the sweet potatoes were harvested on the 113th day after planting on March 30th, the yield was 822 kg/10a for Pungwonmi, 1,377 kg/10a for Jinhongmi, 1,483 kg/10a for the Dahomi. Because of differences, the yield of Pungwonmi cultivar was less than that other cultivars and the yield of open field cultivations, we will expect further research. In the cultivation of the succeeding crops sweet potatoes were planted on July 27 and harvested 110 days later and investigated. The product yield of Pungwonmi cultivar was 1,024 kg/10a, and the Jinhongmi, Dahomi cultivars were not at economic level for sale and were necessary to review. In succeeding-crops, corn tested the Ilmichal cultivar, seeded on 27th July, harvested on October 11th. The day of silking was 45 days after sowing, the yield was 1,156 kg/10a, the goods rate was 100% level. The beans in the succeeding cultivation crop were sowed on 27th July, the early maturing of the varieties coming to Hwangeumol and Saeol cultivar, on 17th October, the late maturing soybean Daewonkong cultivar were harvested on October 21st. The yield of early maturing two cultivars was 214 kg/10a, Daewonkong was 257 kg/10a, and 100 seeds weight which were more than the early maturing beans were also heavy. When calculating these incomes price-wise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we were able to consider the income in the order of corn, sweet potato and soybean from the second term crop. Various studies such as varieties, mulching method, moisture management, control environment management, etc. are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cropping systems with sweet potato and field crops in future unheated plastic house.

  • PDF

우리나라 북부권역 시설재배 고추의 물절약형 관개 기준 설정 연구 (Water Saving Irrigation Manual of House Red Pepper for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 엄기철;박소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312-316
    • /
    • 2012
  • 1. 우리나라 북부 8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 30년간의 기상자료 분석에 의한 12월~6월의 일평균 PET는 $2.31mm\;day^{-1}$ 이었다. 2. 시설재배 고추의 우리나라 북부 8개 지역별, 3개 토성 및 16개 순별, 총 384경우의 재배여건에 적합한 물 절약형 적정 관개간격 및 1회 관개량을 산정하였다.

Construction and basic performance test of an ICT-based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for rice cultivation in UAE desert soil

  • Mohammod, Ali;Md Nasim, Reza;Shafik, Kiraga;Md Nafiul, Islam;Milon, Chowdhury;Jae-Hyeok, Jeong;Sun-Ok, Ch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4호
    • /
    • pp.703-718
    • /
    • 2021
  • An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is an efficient approach to save water and to provide effective irrigation scheduling for rice cultivation in desert soils. This research aimed to design, fabricate, and evaluate the basic performance of an irriga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rice cultivation under drip and micro-sprinkler irrigation in desert soils using a Raspberry Pi. A data acquisition system was installed and tested inside a rice cultivating net house at the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Al-Foah, Al-Ain. The Raspberry Pi operating system was used to control the irrigation and to monitor the soil water content,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inside the net house. Soil water content sensors were placed in the desert soil at depths of 10, 20, 30, 40, and 50 cm. A sensor-based automatic irrigation logic circuit was used to control the actuators and to manage the crop irrigation operations depending on the soil water content requirements. A developed webserver was used to store the sensor data and update the actuator status by communicating via the Pi-embedded Wi-Fi network. The maximum and minimum average soil water contents, ambient temperatures, humidity levels, and light intensity values were monitored as 33.91 ± 2 to 26.95 ± 1%, 45 ± 3 to 24 ± 3℃, 58 ± 2 to 50 ± 4%, and 7160-90 lx,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ICT-based monitoring system ensured precise irrigation scheduling and better performance to provide an adequate water supply and information about the ambient environment.

충북(忠北) 지역(地域)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in Chungbuk Area)

  • 강보구;정인명;김재정;홍순달;민경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5-271
    • /
    • 1997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현황과 토양중 염류이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충북지역의 청주 및 충주에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설재배지의 토성(土性)은 사양토(砂壤土) 30%, 양토(壤土) 27%,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 43% 이었고, 표토의 염류농도 분포비율은 $2dS\;m^{-1}$ 이하가 23%, $2{\sim}4dS\;m^{-1}$ 30%, $4{\sim}6dS\;m^{-1}$ 25%, $6dS\;m^{-1}$ 이상이 22%로서 장해발생기준(障害發生基準) $4dS\;m^{-1}$를 초과하는 포장이 약 50% 이었으며, 심토(20~30cm)에서는 $2dS\;m^{-1}$ 이하인 토양이 68%이었다. 시설재배 토양의 EC는 경작년수에 따라 증가하여 5년 이상인 토양에서 $4.47dS\;m^{-1}$ 이상이었고 시설 밖의 노지포장보다 2.8~5.6배 높았다. 여름철 비닐을 제거한 토양의 EC는 $0.71{\sim}2.92dS\;m^{-1}$로서 제거하지 않은 토양의 $3.54{\sim}7.36dS\;m^{-1}$보다 현저히 감소되었다. 시설 재배 토양의 $NO_3-N$, $SO_4-S$ 그리고 Cl 함량은 노지토양에 비하여 각각 2.5. 7.0, 3.4배 높았다.

  • PDF

농작물(農作物) 재배환경(栽培環境)과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원인(原因)가스 발생(發生) -1. 답전전환시(畓田轉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와 지구온난원인기체(地球溫暖原因氣體)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메탄,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발생(發生)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1. The Cropping System and Emission of the Green House Gases-CO2, CH4, N2O)-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

  • 이상규;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1993
  • 답전윤환지(畓田輪換地) 토양(土壤)에서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달리했을때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土壤)에서 방출(放出)되는 지구온난화원인(地球溫暖化原因)가스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양(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가장많고 벼와 콩의 윤작재배시(輪作栽培時) 가장 적은 양(量)을 방출(放出)했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방법별(方法別)로는 벼 연작토양(連作土壤)이 가장 많았고 매년윤환(每年輪換) 및 이년윤환(二年輪換)은 비슷했으며, 전전환시(田轉換時) 가장 적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다. 2. 메탄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토양(連作栽培土壤)에서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및 벼와 콩 혹은 감자와 배추 등(等)을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방출량(放出量)의 뚜렸한 감소를 보였다. 3.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방출량(放出量)은 감자와 배추를 이년(二年)마다 윤환재배(輪煥栽培)하므로써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다음은 벼 윤작재배구(輪作栽培區)에서 많았다. 그러나 답전윤환구(沓田輪換區)의 벼와 콩 및 감자와 배추를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뚜렷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4. 토양(土壤) 공기중(空氣中) 산소(酸素) 및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구성비율(構成比率)은 작물(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대단히 상이(相異)했으며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산소(酸素)는 4~10%로 대기(大氣)보다 낮고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는 1~22%로 대기(大氣)보다 수십 내지 수백배로 높았으며 변이(變異) 폭(幅)이 대단히 컸다. 5.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등(等) "지구(地球) 온난화(溫暖化) 원인(原因)가스"의 방출(放出)은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 토양(土壤)의 수분(水分), 온도(溫度), 산소농도(酸素濃度) 및 양분(養分) 등(等)의 변화(變化)와 작물생육시기(作物生育時期)에 따라 크게 영향(影響)되었다.

  • PDF

ICT 기반 표고버섯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개발 (Development of a smart model for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based on ICT)

  • 김인엽;권형일;황인호;이원호;노종현;최선규;고한규;구창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29
    • /
    • 2018
  • ICT 기반의 표고 스마트 재배시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부환경 영향을 감소시킨 재배하우스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재배사 내외부에는 재배환경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환경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제어반을 제작하였다. 표고재배 환경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재배과정 분석을 통해 4가지 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에 따라 환경제어 모듈을 설계하였다.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PC,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재배자가 편리하게 재배환경을 관리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버섯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시스템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