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t Preferenc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7초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의 기주식물과 기주선호도 (Host Plants and Preference of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 (Coleoptera: Scarabaeidae))

  • 이동운;추호렬;정재민;이상명;이태우;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6-165
    • /
    • 1997
  • 다식성 산림해충인 주동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Waterhouse)의 기주식물과 기주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야외조사에서는 25과 66종류의 식물을 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먹이공급 실험을 통하여는 5과 14종의 식물을 식해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헌상에 있는 32과 136종류의 기주식물을 합하면 주둥무늬차색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42과 186종류가 되었다. 이들 중 새로 밝혀진 기주식물은 19과 50종이었다. 한편, 15과 39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기주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유인된 것은 호두나무(Juglans sinensis)였으며, 가장 많이 식해한 식물은 밤나무(Castanea crenata)였다. 유인율과 피해도가 높은 수종들은 밤나무,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sia),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호두나무,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갈참나무(Q. aliena)였다. 그러나 고욤나무(Diospyros lotus), 혹호도(Juglans nigra),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물푸레나무(F. rhynchophylla), 파란칸타(Pyracantha angustifolia),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팽나무(Celtis sinensis)등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았다. 동일 종류의 식물일지라도 지역에 따라 주둥무늬차색풍뎅이가 가해하였던 것과 가해하지 않았던 경우가 있었으며, 피해 정도도 지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PDF

쌀바구미좀벌(Lariophagus distinguendus Foerster) (벌목 : 금좀벌과)의 선호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L.)) (딱정벌레목 : 바구미과) 충태 및 피기생 충태와 성비와의 관계 (Host Preference of Lariophagus distinguendus Foerster (Hyminoptera : Pteromaidae) for the Instars of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L.)) (Coleoptera : Curculionidae) and Sex Ratio of the Parasitoid in Relation to the Host)

  • 유춘권;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8-31
    • /
    • 1989
  • 쌀바구미좀벌은 쌀바구미의 3영유충과 4영유충에 생난, 기생하였으며, 4영유충에 대해 현저한 선호성을 보였다. 기주가 4영유충일 때의 성비가 3영유충일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서 생난시 암컷에 의해 인식되는 기주의 크기에 따라 좀벌의 성비가 조걸됨을 암시하였다.

  • PDF

Effects of substitution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genotype IVa glycoprotein with vesicular stomatitis virus (VSV) glycoprotein on cell line preference

  • Kim, Min Sun;Choi, Tae-Jin;Kim, Ki H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78
    • /
    • 2017
  • The glycoprotein of novirhabdoviruses is known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host specificity.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es (VHSVs) in different genotypes have different glycoprotein sequences and show different preferences for specific cell lines. In this study, to know whether the glycoprotein is solely responsible for the host cell preference of VHSV, a recombinant VHSV expressing vesicular stomatitis virus (VSV) glycoprotein instead of VHSV IVa glycoprotein (rVHSV-VSV-G) was generated by reverse genetics and inoculated into several fish cell lines, then, cytopathic effect (CPE) and viral growth caused by rVHSV-VSV-G infec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caused by rVHSV-wild that was previously generated and has the same genomic sequence with wild-type VHSV except a few nucleotides. The plaque numbers of rVHSV-VSV-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PC, BF-2 and GF cells than those of rVHSV-wild. However, in HINAE cells (originated from olive flounder), rVHSV-VSV-G tit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rVHSV-wild titer, and both recombinant VHSVs were not grown well in CHSE-214 cells.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detected in the titers between rVHSV-wild and rVHSV-VSV-G in several cell lines, the cell line-preference order of rVHSV-VSV-G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rVHSV-wil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lacement of VHSV glycoprotein may not completely change host cell preference, and other regions of VHSV might also involve in the determination of host cell preference.

A new record of epiphytic red alga Madagascaria erythrocladioides (Erythropeltidales, Rhodophyta) in Korea

  • Wen, Xianying;Lee, Ji Woong;Shim, Eunyoung;Kim, Gwang Hoon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83-389
    • /
    • 2021
  • The Erythropeltidales are a common group of small, mostly epiphytic, marine red algae. However, they are little known in Korea. Many of the described species of Erythropeltidales differ subtly in morphology, and often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are due to the substrate or environmental changes. Integration of molecular data with standardized culture conditions has been recommended to account for these algae. A Madagascaria species was first collected from the western coast of Korea and was identified as Madagascaria erythrocladioides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nformed well with its original description, and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rbcL sequence showed Korean M. erythrocladioides nests in the same clade with the original species described in Japan with a genetic distance of 0.0-0.1%. This species was isolated from a red alga, Pterocladiella capillacea, in laboratory culture. The thallus ontogeny and host preference were examined by a co-culture with 13 different species of algae. Results showed a relatively broad host preference in mono-spore attachment and epiphyte development of Madagascaria erythrocladioides. Mono-spores of M. erythrocladioides attached to most of the red algal hosts' surfaces but no crustose thalli developed on some of the algal hosts even after one month of co-culture.

갈색날개매미충 발육단계별 선호 목본 기주의 선별 (Arboreal Host Preferences of Ricania spp.( Hemiptera: Ricaniidae) According to its Developmental Stages)

  • 정다경;박홍현;박창규;백성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17-124
    • /
    • 2023
  • 대표적인 돌발 해충인 갈색날개매미충은 기주 범위가 넓고, 농경지만이 아니라 인근 야산, 산림 지역에도 분포하여 개체군 관리가 어려운 해충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방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농경지 작물 외에도 인근 산림에 분포하고 있는 목본식물에 대한 갈색날개매미충 발육단계별 선호도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수원 주변과 조경수, 산림의 주요 목본 식물들을 대상으로 갈색날개매미충 발육단계별 선호도를 현장에서 조사하고, 선행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여 선호도가 높은 식물들을 선정하였다. 현장 조사와 선행 연구결과를 통하여 갈색날개매미충의 잠재적 목본 기주식물을 정리한 결과, 총 53과 120종이 확인되었고, 갈색날개매미충의 전 발육단계에 걸쳐 선호도가 높았던 기주는 산수유, 때죽나무에 불과하였으며,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목본 식물이 달라졌다. 발육단계에 따라서 선호 기주가 변동되는 이유는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부위가 다르고, 생존에 필요한 물질에 따라서 기주가 선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농경지 경제작물뿐만 아니라, 농경지 주변 및 산림내 갈색날개매미충의 종합적인 방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멸종위기식물 종 꼬리겨우살이의 기주선호성과 서식환경 특성 (Host Preferenc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Mistletoe Species, Loranthus tanakae in Korea)

  • 이수광;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441-448
    • /
    • 2011
  •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꼬리겨우살이의 기주선호성과 서식환경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꼬리겨우살이가 자생하는 강원도 7개 지역을 선정하여 기주목의 DBH, 기주 높이, 가지고사 및 기주 당 꼬리겨우살이와 겨우살이가 자생하는 수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1,270개체의 꼬리겨우살이를 420개 기주목에서 발견하였으며, 동일한 227개 기주목에서 665개의 겨우살이를 발견하였다. 기주목은 5과 6속 8종 1변종으로 참나무과에서 86.9% 빈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꼬리겨우살이가 자생하는 해발고는 420~1,250 m로 나타났으며 주요 해발고는 600~900 m인것으로 나타났다. 기주목의 평균 DBH와 기주 높이는 각각 38.6 cm와 13.0 m였으며, 가지고사는 300개의 기주목에서 기주목당 1.5개의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주목의 특성 중 DBH가 꼬리겨우살이의 군집과 지역적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콩 급여에 의한 광대노린재(Poecilocoris lewisi)의 인공 사육 : 발육 특성, 기주 및 산란선호성 (Artificial Rearing of Red-striped Golden Stink Bug, Poecilocoris lewisi(Hemiptera : Scutelleridae) on Peanut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Host Plant and Oviposition Preference)

  • 김남정;설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3-138
    • /
    • 2003
  •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25\pm1^{\circ}C$, 60$\pm$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pm$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pm$0.2일,2령 8.4$\pm$0.5일, 3령 6.4$\pm$0.4일,4령 7.4$\pm$0.3일,5령 12.6$\pm$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팔파바구미 성충의 밭작물 유식물에 대한 기주선호성 (Preference of Adult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Gyllenhal), (Coleoptera: Curculionidae), to Different Seedlings of Upland Crops)

  • 배순도;김현주;;윤영남;이건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71-377
    • /
    • 2013
  • 자운영 포장에서 알팔파바구미 성충의 발생양상과 1세대 성충의 밭작물 유식물에 대한 기주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자운영 포장에서 포충망에 의한 알팔파바구미의 월동 성충은 3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4월 중순에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1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하순에 피크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월동 성충의 발생량은 매우 적었고, 1세대 성충의 발생량은 매우 많았으나, 연차간 변이가 심하였다. 온실에서 배추 및 콩 등 11종의 유식물에 대한 알팔파바구미 1세대 성충의 7일 차 발생충수는 배추>콩>케일 순으로 유의하게 많았으며, 조, 땅콩, 기장, 가지 및 상추에서 매우 적었고, 옥수수, 쑥갓, 수수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7일 차 유식물의 피해주율도 배추(60.0%)>콩(50.0%)>케일(30.0%)>조(16.7%), 기장(13.3%)>상추(3.3%) 순으로 유의하게 심하였다. 한편, 자운영포장에서 11종의 유식물에 대한 7일 차 피해주율은 배추(46.7%), 콩(43.3%)>케일(23.3%)>조(13.3%), 기장(13.3%) 순으로 유의하게 심하여 온실에서의 결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알팔파바구미의 기주선호성은 녹비작물포장 주변에서 밭작물의 안전한 재배를 위한 작물선택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on, ethnic grou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 김현옥;추상엽;임성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1호
    • /
    • pp.1-18
    • /
    • 2014
  • Berry(1997)가 제시한 문화적응전략에서 통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이라고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달리 근래 몇몇 연구들에서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류사회가 이주자들에게 주류사회에 동화되기를 기대하고 있고 이주자가 주류사회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을 때 동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응적일 것이라고 추론하고, 이 추론을 한국문화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조선족 유학생과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한족 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조선족 유학생 63명과 중국한족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전략, 심리적 안녕감, 우울 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4(문화적응전략)×2(민족유형)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모두에서 문화적응전략과 민족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예측대로 중국조선족 유학생의 경우 동화를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보였다. 그러나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중국한족 유학생의 경우 예측대로 통합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낮은 우울을, 주변화를 사용할 때 가장 낮은 심리적 안녕감과 가장 높은 우울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중국 유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기술하였다.

  • PDF

암모니움 이온을 가진 카드뮴 호스트 착물의 방향족 게스트 분자에 대한 포접선택성 변화 (Variation of Inclusion Selectivities of the Cadmium Host Complexes with Ammonium Oniums for Aromatic Guest Molecules)

  • 김종혁;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17권3호
    • /
    • pp.282-288
    • /
    • 2004
  • Inclusion selectivities of the cyanocadmate host complexes with ammonium oniums, $[Cd_x(CN)_{2x}][onium{\cdot}zG]$ (onium = $NMe_3Et^+$, $NMeEt{_3}^+$ and $NEt{_4}^+$, G = guest), have been investigated for $C_6H_6$ (B), PhMe (T), PhEt (E), ortho (O), meta (M), and para (P) isomers of $C_6H_4Me_2$ as the aromatic guest molecules. From the binary, ternary, quaternary and quinary mixed guests of B, T, E, O, M and P, the order of preference in the $NMe_3Et+$-host is $B{\gg}$T>P${\fallingdotseq}O{\fallingdotseq}M$ and E>O${\gg}P{\fallingdotseq}M$; in the $NMeEt{_3}^+$-host is T>B>P${\gg}O{\fallingdotseq}M$ and E>P${\gg}$M>O; in the $NEt{_4}^+$-host is $B{\gg}T{\fallingdotseq}O{\fallingdotseq}M{\fallingdotseq}P$. However, the $NEt{_4}^+$-host complexes of E, O, M and P mixed-guests were not obtained. These inclusion selectivities were compared to our previous results of the $NMe{_4}^+$-host; T>B>P${\gg}$M>O and E>P${\gg}$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