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 Mobile App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병원 진료예약 및 진료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Hospital Reservation System And Appointment System Using Smartphone)

  • 서승범;이재상;구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1호
    • /
    • pp.29-33
    • /
    • 2017
  • 스마트폰 국내 사용자가 약 80%을 넘게 사용하고 있는 현재 일상 생활에 편이성을 주는 많은 Application이 개발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건강과 관련된 Application을 많이 찾고 있다. 사용자들이 건강관리를 위해 헬스케어 Application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으로 병원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Application을 개발하고 건강 및 질병을 관리하며 환자들이 백석대학병원 Application을 통해 온/오프라인 진료 예약과 진찰을 받을 수 있는 Application을 연구하였다.

모바일 자가혈당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2형 당뇨병 관리 효과 분석 (The effect of Type 2 diabetes management using a smartphone-based blood glucos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 이정화;정진희;심강희;최희선;이정림;강양교;송복례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59-70
    • /
    • 2022
  • 배경: 당뇨병 교육은 혈당조절의 중요한 요소이다. 효과적인 당뇨병 교육을 위해서는 반복적인 추가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의 의료환경에서는 반복적인 당뇨병 교육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환자를 대면하지 않아도 반복 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당뇨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지속적인 당뇨병 교육 방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연구이다. 한국소재 5개 병원에서 총 109명이 등록되었고 무작위 배정으로 실시간 코칭 및 반복교육을 진행한 모바일 app 군(34명), 혈당수첩 작성 후 면대면 방문교육을 진행한 logbook 군(37명), 1회 당뇨병 교육만 진행된 general 군(38명)으로 총 6개월간 진행되었다. 21명은 동의 철회 및 당화혈색소 미실시로 연구 중단하여 최종 88명을 분석하였다. 교육의 효과는 교육 전과 후의 당화혈색소, 자기관리행위, 삶의 질에 대한 변화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대상자는 남자 51명(58%), 평균연령은 55.8세, 평균 이환 기간은 7.6년이었다. 중재 24주 후 자기관리행위, 삶의 질은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당화혈색소는 app 군이 logbook 군과 general 군에 비해 교육전에 비해 교육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4.62, p=.013). 결론: 실시간 교육을 진행한 app 군이 혈당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당뇨병 교육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a mobile u-Health program and evaluation for self-diet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 Ahn, Yun;Bae, Jeahurn;Kim, Hee-S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342-351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bile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integration into the already developed web-based program, Diabetes Mellitus Dietary Management Guide (DMDMG) for diabetic patients. Further, we aim to evaluate the amended DMDMG program. SUBJECTS/METHODS: The mobile application based on an Android operating system includes three parts: 1) record of diet intake, which allows users to take pictures of the meal and save to later add diet records into DMDMG; 2) an alarm system that rings at each meal time, which reminds users to input the data; 3) displays the diet record and the results of nutrient intake, which can be also viewed through the web program. All three parts are linked to the web-based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ram in terms of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eating behavior and diet intake b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mong diabetic patients with 14 DMDMG users and 12 non-user controls after a one-month trial of DMDMG. RESULTS: Non-users did not use the program, but participated in the weekly off-line nutrition classes for one month. The program users showed increased healthful dietary behavior (P < 0.01) and dietary attitude scores (P < 0.05). More DMDMG users had higher nutrition knowledge scores after one-month trial than non-users. However, dietary intake significantly increased in non-user group for calcium and sodium (P < 0.05) while the user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CONCLUSIONS: The program has created positive changes in patients' dietary life. All the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lthough some expressed minor difficulties with an unfamiliar mobile app.

국내외 모바일 기반 아토피피부염 개인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 현황 (The Stat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of Atopic Dermatitis : An evaluation of features and functionality)

  • 윤영희;안진향;이보람;김현호;정원모;장보형;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2
    • /
    • 2015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tat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mPHR) applications of Atopic Dermatitis, assess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ontent, features of PHR content and functions. Method : Searches were conducted from Android's Google Play and iOS's App Store. Main criteria used to include mPHRs were: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f PHR function of Atopic Dermatitis; operating in Korean or English; for human. Selected mPHRs were analyzed consid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ontents, data elements, and application features. Results : 19 applicat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5 were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Data elements of information included general information, symptom, diagnosis, treatment, prevention, management and FAQ. No single application contained all seven data elements. Only Eight applications had PHR function. In the features analysis, one PHR applications contained all eight PHR functional features; saving profile function, profiles supported, password, import data, export data, information provided, progress chart and push-up alarm. Conclusion : mPHR is an emerging health care technology. The majority of existing mPHR applications only provide one-way information. Application designed to help users and doctors to exchange mutual information was the only one. Also, there was no application that can recor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treatment information. However, as the mobile market continues to expand it is likely that more comprehensive mPHRs will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New advancements in mobile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enhance Tranditional Korean Medical health care.

병원정보탐색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ous Use of Hospital Information Seeking Applications)

  • 장정인;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43-262
    • /
    • 2021
  •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을 통해 병원정보탐색 어플리케이션(이하 병원 앱)의 지속적인 이용과 이용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병원 앱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9년 10월 11일부터 1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5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병원 앱 사용자의 만족도와 기대일치도는 지속적 이용의도와 지각된 유용성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각된 유용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조명되지 않았던 병원 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혁신적 기술의 지속적 사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병원앱의 수용과 이용을 관찰하여 후기수용모델을 재검증하였으며, 응급상황과 같은 긴급한 도움탐색이나 신속함이 강조되는 정보요구를 만족시키는 병원앱의 특수성을 논의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을 도모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보고한 병원 앱의 유익성과 한계점을 바탕으로 병원 앱 개발자나 운영자들에게 보다 이용자 친화적인 앱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Factors influencing success and safety of AED retrieval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 in Singapore

  • NG, Jonathan Shen You;HO, Reuben Jia Shun;YU, Jae Yong;NG, Yih Yng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11
    • /
    • 2022
  • 연구 목적: 병원 밖 심정지(OHCA)에서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킨다. 싱가포르는 절도를 막고자 공공 AED를 '브레이크 글래스' 기전의 잠금 박스로 보호하고 있는데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AED를 회수하기 위해 유리를 깨면서 부상을 당하곤 했다. 최초로 시도한 본 연구는 성공적인 AED 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만연한 부상을 문서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였다. 참가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OHCA에 대처한 자들이다. 비교 검정은 피셔-프리만-할턴 정확 검정 또는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시행되었고, 로짓링크함수를 사용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88명의 참가자가 적격했다. 성공적인 AED의 회수는 직업, 연령, 성별 및 시간 영향을 받지 않았다. myResponder 앱의 활성화로 OHCA에 대응했던 참가자들은 성공적으로 AED를 회수할 가능성이 높았다. (AOR 11.111, 95% CI: 2.141-58.824) 결 론: 모바일 myResponder 앱을 활용할 경우 AED회수 성공률이 훨씬 높았다. AED의 성공적 회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과 무관했다. 싱가포르에서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부상 위험에도 불구하고 심정지에 대응할 적극적 자세가 되어 있다.

Zigbee USN 기반의 무선 ECG 측정 시스템 (A Wireless ECG Measurement System based on the Zigbee USN)

  • 장윤석;김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3호
    • /
    • pp.195-19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CG 신호를 측정하는 시스템에서 센서들과 기기 사이의 연결을 Zigbee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무선화하고, 이를 통하여 이동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병원용 ECG 기기에 준하는 데이터 정밀도를 가지는 U-healthcare용 ECG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대부분의 의료용 기기에서 이동성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센서와 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줄이거나 없애는 방법으로 Zigbee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센서 모듈과 컬렉터 모듈을 설계, 구현하여 근거리에서 동작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각 송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Zigbee-SD 전송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또한 ECG 신호의 분석과 처리에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과 심박수 표시를 수행하는 앱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이동성과 편리성을 최대한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U-healthcare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걷기 운동으로 체중감량 및 혈당 호전을 보인 비만 환자 (Obese Patients Who Lost Weight and Improved Glycemic Control Through Walking Exercise)

  • 김양현
    • 비만대사연구학술지
    • /
    • 제1권2호
    • /
    • pp.74-77
    • /
    • 2022
  • Treatment of obesity includes diet therapy, exercise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rug therapy, and bariatric surgery. Most obese patients lose weight by combining diet, exercis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r medication. But, in some cases, only one of these treatments is preferred. A 56-year-old male patient had a body mass index (BMI) of 33.1 kg/m2 and a waist circumference of 108 cm. He had been treated for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were diagnosed but not treated. However, at the initial visit to treat obesity, he wa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dyslipidemia again. So he decided to treat these two diseases with drugs first and modify his lifestyle. He started walking more than 20,000 steps every day and then he really walked about 15,000 steps every day during 5 months, although diet calorie or alcohol drinking amoun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bout 6 months, the patient's weight decreased by 10.1 kg, the BMI decreased by 4.1 kg/m2, the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by 10 cm, the glycated hemoglobin (HbA1c) decreased by 4.59%, the visceral fat area decreased by 115 cm2, and the subcutaneous fat decreased by 38 cm2. As a result of body composition analysis, muscle mass increased by 1.2 kg, and the percentage of body fat decreased by 10.4%. The walking exercise does not have any space restrictions and has high accessibility by using a mobile phone app. Therefore, considering the patient's situation, it would be better to treat obese patients by first recommending walking exercis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steps to lose weight and improve the comorbidities.

Comparison of Frequency and Stay Time between Normal and Abnormal Elimination Behavior of Cats Using a Litter Box with Automatic Sensor

  • Ji-Woo Shin;Sun-Woo Han;Soon-Hak Kweon;Myungseok Kang;Jong-Hyuk Kim;Chung-Gwang Choi;Joon-Seok Cha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1-78
    • /
    • 2024
  • Changes in elimination behavior, including urination and defecation, are common clinical signs of numerous disorders in ca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elimination behavior of cats using the litter box and develop an early warning system for the guardian in case of abnormalities. To construct an early warning system for abnormal changes through cat elimination behavior, it consisted of a litter box, an automatic sensor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wifi transmission, a server for data analysis, and a mobile phone app for result transmission and early warning. To establish the reference interval (RI), the elimination behavior was monitored for more than 2 weeks using a motion sensor within a litter box in 37 healthy cats and 19 diseased cats. The data were expressed as daily total visits, daily total stay duration, average stay duration per elimination, weekly total visits, and weekly total stay duration. Healthy cats showed median daily total visits of 3 times/day (RI 1.0-7.0) and daily total stay duration of 192 s/day (RI 8.0-452.0). For weekly data, the median total visits were 20 times/week (RI 3.0-35.25) and the median total stay duration was 1,147 s/week (RI 80.0-2,249.5). The average stay duration per elimination was 59 s/elimination (RI 4.67-132.0). Diseased cats showed more frequent elimination behavior than healthy cats (p < 0.001). Otherwise, for each elimination, diseased cats had shorter stay durations than healthy cats (p < 0.001). This study established the RIs of elimination behavior parameters (frequency and duration) in healthy cats. The present study might help guardians and veterinarians detect changes in elimination behaviors in diseased cats at an early s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