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cooperation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열응답시험을 이용한 수평형 지중열교환기 열특성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Ground Heat Exchanger using Thermal Response Test)

  • 장근선;김민준;김영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4-30
    • /
    • 2016
  • 현재까지 지열 열펌프 시스템의 지중열교환기는 수직 밀폐형과 개방형 지중열교환기가 주로 설치되어 열응답시험을 이용한 열특성 평가가 수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열응답시험과 선형열원법을 이용하여 수평형 지중열교환기의 열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열 열펌프 시스템은 매일 단속 운전되어지므로 일일부하시험을 수행하여 수평형 지중열교환기의 지중온도 및 순환수 평균온도 일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시험을 위해 경기도 안산에 직선식 수평형 지중열교환기(심도 2 m, 길이 50 m 8줄)를 설치하였다. 시험결과 수평형 지중열교환기의 지중 열전도율은 연중 $1.43{\sim}1.64W/m{\cdot}K$ 범위로 비교적 큰 변화가 없으며 12월에 최대값을, 5월에 최소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간 지중 열교환기로 하루 10시간동안 6.0 kW의 열량을 투입하는 연속 부하시험을 6월, 9월, 12월에 수행한 결과 지중온도는 이 기간 동안 각각 $4.31^{\circ}C$, $3.14^{\circ}C$, $1.21^{\circ}C$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D CAD시스템의 기능분석 및 선형시설물 적용을 위한 기능 개선 방안 (Functional Analysis of 4D CAD System and Improvement of Function for Applying Linear Construction Project)

  • 김현승;강인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69-278
    • /
    • 2018
  • 국내 BIM기술은 건축공사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정부에서 인프라시설물 BIM적용 의무화를 검토하고 있으므로 토목공사까지 급속히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프라시설물은 광범위한 수평적 공간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BIM기술의 적용은 설계단계의 간섭관리보다는 시공단계의 공정관리 등 사업관리 전반에서 더욱 활용성을 갖게 된다. 4D CAD시스템은 시공단계의 공정관리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BIM기술이나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의 부족으로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사례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화된 대표적인 4종류의 4D CAD시스템의 기능을 비교분석하여 프로젝트 특성별 선택 기준을 제공하고 실무적 활용성을 갖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기능을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결과로서 시스템별 장단점을 제시하였으며 시스템별 특성 분석으로 사용자의 활용 편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토목시설물에 적용 가능한 기능 개선을 위하여 선형 4D시뮬레이션 방법론을 개발하여 인프라 시설물의 시공단계 BIM으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철도 및 도로시설 공사에서 토공, 교량, 터널 등의 대부분 공정들은 수평적 공간에서 거리 축에 따라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단순히 기존 Gantt chart 방식의 4D 표현방법보다는 거리 축에 따라 공정이 표현되는 선형 4D 시뮬레이션 방법이 보다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질토 지반에서 수평하중에 따른 단일강관말뚝의 거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ingle Steel Pile in Sand Subjected to Lateral Loadings)

  • 김대현;이태광;김선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48-3556
    • /
    • 2015
  • 해상풍력기초를 설계함에 있어 사용하중에 대해 극한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동적하중에 대해 기초의 거동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기초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관말뚝을 일정비율로 축소시켜 모형말뚝을 제작하고, 모형토조에 모래층을 500mm의 높이로 포설한 후 모형말뚝을 모델링하여 정적 및 반복 수평재하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적수평재하시 모형말뚝의 길이/직경(L/D)이 클수록 하중에 따른 변위는 증가하는 반면, 반복수평재하시 하중재하 횟수가 증가할수록 반복수평하중 1회당 발생하는 말뚝의 수평변위는 감소하였고 지반이 조밀할수록 반복수평하중에 의한 말뚝의 극한수평지지력의 증가율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휨모멘트의 분포형상은 지반의 상대밀도에 상관없이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최대휨모멘트는 지표면으로부터 170mm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반의 상대밀도가 증가할수록 정적수평재하와 반복수평재하 조건에서 발생하는 최대휨모멘트는 증가했다.

기존선 속도 향상을 위한 완화곡선 변경 방안 연구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The Transition Curve to Increase Operating Speed of Existing Line)

  • 김재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6-32
    • /
    • 2019
  • 곡선선로의 주행 속도를 향상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차량성능 개선과 곡선 반경 증가이나,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궤도 강화, 캔트량 변경의 방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은 기존선에 부설된 작은 반경의 곡선구간에서 효과적으로 주행속도를 향상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국내외 기준에 의한 곡선 반경별 주행속도 향상 한계치를 규정하고, 기 부설된 곡선을 변경하는 몇 가지 방안을 정립하여 완화곡선 연장 길이와 수평방향 이동량, 허용속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방법이 같으면 곡선반경이 커질수록 완화곡선 연장, 수평방향 이동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완화곡선 연장 증가치는 원곡선 반경을 고정하여 연장하는 방법이 가장 적고, 수평방향 이동량은 원곡선 반경 고정하고 사인반파장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가장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상된 주행속도를 경부선에 적용한 결과 원곡선 반경은 고정하고 완화곡선을 사인반파장으로 변경시 자갈도상 9.4%, 콘크리트도상 11.6%의 시간 단축과 표정속도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기존선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우수한 방법은 완화곡선을 사인반파장으로 변경하는 C법이나, 평면 비틀림이 커져 유지보수가 불리해 지므로 도상을 콘크리트로 변경하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블록 크기 및 난류발생기 배치에 따른 수평채널내의 열전달 및 압력강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lock Size and Turbulence Generator's Placement in a Horizontal Channel)

  • 서규원;임종한;윤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39-647
    • /
    • 2019
  • 최근 전자장비의 소형화 및, 고밀도화가 되는 반도체 집적기술의 발달로 인해 칩과 모듈에서 발생되는 내부발열량을 외부로 적절히 방출시키기 위해서 열 제어시스템 적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SST k-${\omega}$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4개의 블록이 부착한 수평채널내에서 열전달 및 압력강하 특성을 고찰하였다. CFD 해석시 적용한 매개변수는 블록 폭, 블록 높이, 열원 및 난류발생기 배치이고, 해석시 기본 경계조건은 채널 입구의 온도 및 유속은 300 K, 3.84 m/s, 열유속은 $358W/m^2$으로 하였다. 그 결과로 블록 폭비율(w/h)이 증가할수록 열전달성능이 감소하는 반면에 블록 높이비(h/w)이 증가할수록 열전달특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열원의 크기배열은 낮은 열유속에서 높은 열유속으로 증가시킬수록 열원의 영향을 받아 열전달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난류발생기는 채널 입구에 가까운 블록 1번 위치의 상단에 설치했을 경우가 4개의 가열블록 전체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고, 압력강하특성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위치로 선정할 수 있었다.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인식 연구 (A Study For The Experiential Value And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안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64-370
    • /
    • 2017
  • 공연예술의 창의적 사고와 융복합적 다양성은 장르별 새로운 소통을 전제로 경험적 가치실현의 정착을 추구한다. 이러한 새로운 가치와 소통은 또 다른 의미의 시도와 함께 집단지성의 유형을 창조하며 대중의 개체소통과 수평적 사고를 토대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21세기 융복합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새로운 유형과 분석을 통해 가능하고 아울러 예술가의 수평적 창작구조로 이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융복합'의 올바른 가치개념은 장르별 예술가들의 경험적 사고능력에 따른 경험적 소통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탈장르화와 협업경향은 지적능력에 따른 협력과 장르별 수평적 소통인식에 의한다. 셋째, 협업에서 대중의 개체화된 소통능력과 보편적 소통인식이 전제되어야 하고 나아가 집단지성의 경험적 정의에 인식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융복합적 공연예술의 경험적 가치와 소통은 집단지성의 실험적 창조를 가능케 하고, 관계구조는 공연예술의 융복합적 해석과 표현의 유의미한 전이로 확장됨을 결론지었다.

우리나라 언론에 나타난 기후변화 거버넌스 연구 : 일간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Climate Change Governance in Mass Media : Focused on Daily Newspapers)

  • 홍영식;이덕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8-56
    • /
    • 2019
  • 기후변화의 지역적 광역성과 장기성으로 기후변화 문제는 일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전지구적 난제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수직적으로 전세계(global), 지역(regional), 국가(national), 지방(local) 수준의 수직적 거버넌스가 중요하다. 또한 각 수준에서 정부, 기업, 민간의 수평적 거버넌스가 조화롭게 작동할 때 복잡한 기후변화문제에 대한 해결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29년간 일간신문에서 기후변화라는 주제어를 가진 약 24,000건의 기사에 나타난 기후변화에 대한 수직적·수평적 거버넌스와 이슈트렌드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수직적 측면에서 글로벌 기후변화 이슈를 중앙정부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동북아와 같은 지역적 논의는 거의 없었다. 수평적 측면에서는 정부 중심의 논의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민간 시민단체의 참여나 기업의 참여는 부족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수직적 측면에서는 지역적 협력에 대한 논의와 함께 기후변화가 직접적으로 행동에 옮겨질 수 있는 지방수준에서 실질적인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평적인 측면에서는 개발시대의 관주도적 태도에서 벗어나 시장메커니즘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시민사회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대응 기본법 등의 제정을 통한 제도적 정비를 제안하였다.

내목도리 지지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ing Method of the Nemok-dori)

  • 허경도;정명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3호
    • /
    • pp.69-78
    • /
    • 2020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role and relation of the Nemok-dori support members in order to clearly specify the structure of the Dapogye architecture which adopts the Nemok-dori. The dori at the eaves in the Dapogye architecture was expanded to include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in cooperation with the bracket. The Oemok-dori is used to lengthen the eaves and the Jusim-dori makes the reasonable transfer of loads while the Namok-dori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through the balancing of the bracket. Nemok-dori is located higher than Oemok-dori or Jusim-dori, depending on the slope of Jangyeon and the distance of Chulmok. But as it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bracket or beam, it needs an independent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of Nemok-dori is selectively involved with Cheomcha, lower Jangyeo, support Wall and upper Jangyeo. As the time went by, the vertical height increased, thus making the omitted members les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is made in various ways. There are also special cases such as the Nemok-dori □ type chain structure for small rectangular buildings, the 'Nemok-dori = Jung-dori' type for the buildings having small sides and the 'Nemok-dori = Meongechangbang' type appearing on the lower part of the Bankanmulrim type middle height building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usually uses either the support of the Toeryang type member, the support of beam directed Hwaban or the support through overlaying of internal Jegong. As the time went by and the number and distance of Chulmok increased, th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acted together rather than as one support structure. Nemok-dori got stabilized as it has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and this support structure also has he role of decoration.

The Effect of the Impacted Position of Palatally Inverted Mesiodens on the Selection of Sedation Method

  • Soojin Choi;Jihyun So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3-73
    • /
    • 2023
  • Purpose: Hyperdontia is a developmental disorder of the oral cavity. Mesiodens refers to the hyperdontia located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the anesthetic method for pain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factors related to the surgery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impacted position of the mesiodens on the selection of sedation method and to suggest incisive foramen as a brief referen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26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extraction of mesiodens.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patients with one palatally impacted inverted mesiodens accessible from the palatal gingival margin, and those with good cooperation potential in order to control for clinical information.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vertical, horizontal, and palatal positional factors were measured, and the anesthetic method was determined by two examiners.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group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cisive foramen.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All positional factors differed between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anesthetic groups. The vertical minimum distance from the alveolar ridge to the mesiodens (Va) and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palatal surface to the crown tip of the mesiodens (Tc) were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anesthetic method. The distribu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al groups differed between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anesthetic groups. Conclusion: The incisive foramen can be used as a brief referenc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nesthetic method. Referral for inpatient anesthesia may be a priority if they are in the V2H2 group with Va ≥5 mm, and Tc ≥6 mm, and outpatient sedation may be considered if they are in the V1H1 group with Va ≤1.5 mm, and Tc ≤2.5 mm.

병원직원의 갈등과 환자에 대한 태도 (Hospital Employees' Conflict and Attitude Toward Patients)

  • 신점순;박재용;감신;주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4-136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flict between profession groups within medical institution.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based research was done with 605 persons consisting of specialists, residents, nurses, radiologic technicians, clinicopatholigic technicians, health record administrator, administrative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aegu City from February 15, 1997 to March 2, 199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 profession group against which each profession group feels the most conflict in interprofession mutual recognition relation was found out as follows; Specialists(34%) against colleague specialists, residents(54.0%) against nurses, nurses(54.8%) against residents, radiologic technicians(44.0%) against residents, and clinicopathologic technicians(34.5%) against nurses, while it was shown that health record administrator felt even conflict against residents, nurse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48.1) did against nurses. Most employee group answered that medical specialists have a one-sided and individual attitude toward all affairs, while both medical specialist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 of hospital answered that nurses are one-sided. It was shown among such groups that radiologic technicians' conflict results from their thinking which mutual dependence and cooperation are lowest while individual difference is highest, clinicopatholigic technicians' conflict from the problem in mutual communication, medical specialists' conflict from difference in goals greater than other group, respectively lower than other group. The rate of vertical conflict between groups was highest for the health record administrators and then for the radiological technicians, while it was lowest for the medical specialists and then for the nurses. In addition, the rate of horizontal conflict was high for both medical specialists and nurses, but it was low for the health record administrations and clinicopathological technicians. The group with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was the medical specialists and nurses, and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volvement in organization was the medical specialists and administrative employees. Also it was shown that both medical specialists and clinicopathological technicians show a favorable attitude toward patients.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vertical conflict included difference in goals, cooperation within group and leadership. It was shown among those factors, however, that only the leadership has an effect on all the groups evenly. The horizontal conflict was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educational level, mutual dependence, difference in goals, cooperation within group, and individual difference, when an important factor was the difference in goals for all the groups. Their attitude toward patients was influenced by the vertical conflict and age, but the vertical conflic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the medical specialists.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control properly the conflict between employees as well as between profession group and to execute good leadership, so as to improve patients' satisfaction which is the key goal of hospi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