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View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37초

사회사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도시빈민의 형성배경과 주거문화 - 개항 이후 토막민촌부터 한구전쟁 직후 판자촌까지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rban Squatter in Korea and their Housing Culture from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 전남일;양세화;홍형옥;손세관;김묘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9-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background of urban squatter and their housing state in Korea. This study was progressed on the basis of socio-historical point of view from the opening of a port to the after the Korean War. In that sense, this study considered meaning of housing for urban squatter in the Korean housing history. For this study,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urban squatter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was after the opening of a port (1876-1910) when the inflow of Japanese and their plundering from Korea started. The second was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which contribu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omak (mud hut) and made the Tomak-min's village. The third period was Korean war & postwar years (1945-1953). This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again;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1945-1950),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nd after the Korean War (1953-). The urban squatter was settled in the national land and the public land in each period and experienced the severe housing shortage. The government of the time could not protect the urban squatter from the special national states such as the Japanese rule and the Korean War.

한국과 몽골의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한 학습방안 구축 (Co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Using Korea and Mongolia Historical Heritage)

  • 오일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11-420
    • /
    • 2012
  • 우리나라에는 몽골의 영향을 받은 역사문화유산과 생활민속이 다양하게 남아있다. 그러나 한 몽 간의 국제문화 이해를 위하여 역사적 시각자료를 활용한 학습방안 및 콘텐츠 구축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오늘날 한 몽 관계의 한계와 현실 속에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서 우리나라와 몽골의 역사문화 유적을 활용한 문화사적 융복합의 학습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 몽 간의 역사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7차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국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역사와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몽골인식과 박물관을 비롯한 문화기관의 전시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의 몽골 역사문화유산과 생활민속 자료를 활용한 문화사적 학습방안 및 몽골지역의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을 활용한 몽골이해 학습방안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로 한 몽 간의 역사적 인식과 문화적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국내에 남아있는 몽골 영향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하여도 세계사적 시각에서 학습 자료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한 몽 간의 역사문화 유산을 통한 문화사적 융복합의 학습방안은 교과 교육과정의 학생이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제문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시각적 학습 뿐 아니라 양국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연구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고증 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하브루타 학습법을 중심으로- (Undergraduate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 in Historical Drama -Focused on Havruta Learning-)

  • 김장현;이유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43-353
    • /
    • 2021
  • 사극 드라마는 더욱 극적인 전개를 원하는 대중들의 취향에 따라 퓨전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고증 의상 또한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고증 의상의 현대화의 사례 탐색 및 학습자의 인식을 조명해보고, 향후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 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사례 연구 및 하브루타 학습법을 통한 서술형 설문지 응답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는 사극 드라마의 역사적 사실을 저해하는 고증의상의 과도한 현대적 변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한국 고유의 정체성 상실, 드라마의 몰입도 저하, 미디어가 갖는 교육적 영향력의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긍정적인 인식으로는 전통 문화의 인식 제고를 통한 관심 증대,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대한 절충, 대중들의 시각적 유희 증대의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효과적인 연출 방향에 대한 함의점은 사극 드라마 관계자들의 인식개선과 고증의상에 대한 의상디자이너의 철저한 사전 조사, 전통복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이고 명확한 교육적 접근, 정부의 노력과 시청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역사적 현실과 문화적 기억 : 기록 문학과 구술 문학에 나타난 표트르 대제의 형상 (Historical Reality and Cultural Memory: The Image of Peter I in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 서선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201-232
    • /
    • 2012
  • In the world history in the rein of totalitarianism cultural project of government had been activated, and consequently of it official culture had been organized. But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side of it people('narod'), who didn't have cultural means for active expression of own opinion on the reality, had expressed world-view and judgement informally in everyday language. In the literature of autocracy, subjected to censorship, had been expressed and fixed mythically idealized image of sovereign and his works. But in the folklore the image of ruler had been created by liberal fantasy of people. This article examined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texts of 18 century, when russian people suffered from rapid and dramatic changes, caused by Peter I. Although russian literature of 18 century had gone over to the new literary regime, it still accepted political mechanism as dominant of age, and consequently in the literary texts of this century Peter I was represented as ideal person and great monarch. But various images in folklore texts show that people's opinion on ruler and his activities couldn't be controlled. In other worlds, diverse images of Peter I in folklore texts reflect clear and plai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This analysis reveals not only difference between mechanism of idealization of governmen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but also meaning of cultural memory as indicator of historical reality.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 제도의 정립: 랑케, 지벨 그리고 레만과 출처주의/ 원질서 원칙 (German Historicism, Positive Historical Sci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rchival System of the 19th Century: Ranke, Sybel, Lehmann and the Principle of Provenance/Original Order)

  • 노명환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359-388
    • /
    • 2006
  • 본 논문은 1881년 독일 프로이센의 국립 비밀 아카이브의 보존 기록 정리를 위한 규정에서 제정된 출처주의/원질서 원칙이 일정 부분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되어 19세기 중반에 정립된 역사주의 실증사학의 학문적 목적과 방법에 근원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총체적 유기적 관계에 놓인 민족을 단위로 하는 역사의 개별성을 확인하고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역사주의는 실증사학의 연구 방법에서 이론적 토대를 얻었다. 이러한 실증사학 전통은 기록 관리의 체계적인 제도를 구축하는데 크게 이바지 하였다. 역사 사실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의 입체성을 실증적으로 인식하게 해주는 출처주의/원질서 원칙의 정립은 그 귀결이었다. 이에 대한 역사적 설명을 위해 필자는 랑케로 대변되는 역사주의 실증사학의 내용과 그 정립과정 그리고 랑케의 제자인지벨과 그의 제자인 레만의 프로이센 국립 비밀 아카이브에서의 활동을 분석 서술하였다.

Vivienne Westwood in Context and Englishness in Her Work

  • Choi, Kyung-Hee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8권2호
    • /
    • pp.61-70
    • /
    • 2005
  • A representative British designer, Vivienne Westwood's work. world from radical punk style to aristocratic historical dress is explored in context in terms of Englishness. National identity opens up into the process of mobilization of collective sentiment in the national context, unlike nationalism, and Englishness signifies the idea or emotion of England in contrast with Britishness, the political constructor influenced by geographical aspects. There is no doubt that Vivienne Westwood is central to ideas about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English design on subculture. However, in evaluating a designer and her work we should consider the entire context surrounding her from a broader view, rather than arguing only her own ingenuity. In this article, through reconsidering her originality in the historical reference as well as the resistant punk style in aspect of fluid national identity, I show a case of a constituted Englishness, forged by Vivienne Westwood as a cultural creator of national identity. Vivienne Westwood's case hints the complexities of national culture, which constantly shifts, translating her understandings of history and culture into fashion in her contemporary insight and glamorous ways.

  • PDF

복식에 있어서의 근대성의 의미 (Modernity in Costume)

  • 이재윤
    • 복식
    • /
    • 제61권1호
    • /
    • pp.124-131
    • /
    • 2011
  • Modernity is commonly defined as a reflection of the features of modern society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West. As such, modernity includes involvement with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a changing world-view, and changing trends in equality, gender roles, a desire for "the new," consumption, distribution based on mass production, and rational reform in fashion and dress. First and foremost, however, modernity in costume has been driven by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industrial capitalism. But while modernity has popularly been regarded as some sort of universal standard, in fact the West and the other societies have vastly different, unique, and particular experiences with their own respective histories of modernization. For this reason, cultural change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should be-indeed, must be-analyzed in the context of a country's own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rather than through the prism or strict adaptation of generalized Western concepts of modernization. Moreover, a "periodization" of the modernization of fashion and dress can be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in costume.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을 위한 시공간 그래프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patio-Temporal Graph to Represent Situations in the Virtual World)

  • 박종희;정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1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가상 상황속의 사건들에 역사적 맥락을 부여하기 위한 통합적 직관적 정보표현구조로서 시공간 그래프(Spatio-Temporal Graph)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공간뿐 아니라 시간을 점유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이 된다. 따라서 가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측면을 표현하기 위한 삼차원 정보구조에 시간적 측면을 더한 다차원적인 맥락에 사건들을 위치시키는 일이 핵심적 기초가 된다. 이러한 다차원적 맥락은 온톨로지 뷰, 인스턴스 뷰, 시공간 뷰, 실제 뷰 등과 같은 여러 수준에서의 통합적 직관적 지식표현수단들을 통해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된 시공간 그래프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예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기술은 지능형 교육시스템이나 차세대 시뮬레이션 게임 등에 필수적인 다양한 상황들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중심요소가 된다.

기호론적 관점에 기초한 홀로코스트 건축의 상징성 분석 - 다니엘 리베스킨드의 유대인 박물관을 중심으로 - (The symbolism analysis of Holocaust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semiotics point of view - Focus on Daniel Libeskind's Jewish Museum Berlin -)

  • 이승연;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0-274
    • /
    • 2007
  • Clearing trace of symbol which was gone with a series of pre-modern architecture history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pursuing true nature from tradition which is repeated and imitated unconsciously). That is, What is the course of deconstruction?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We still accept the necessity of decoration in spite of its existence at one time being threaten. This means, even though symbolism in architecture has relative importance by situation of Times,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add the past to current style through 'Symbol'. The history of Times, a carrier which reflects Present on New Futures, makes memory by gathering data but we can not amplify our historical imagination with only data. Data is a past memory and evidence but we can not substitute that for historical experience. And it is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who don't live through that history to change their historical recognition with recollecting memories. They have to draw history with data but it is very limited in itself. However, They can collect historical memory through symbol in architecture. In this study, We pay attention to the symbolism of a memorial hall architecture. So We'll analyze dichotomy concept of Barthes's signifiant and signifie, visual sign and course of symbolic meaning on basis of Daniel Libeskind's Jewish Muse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