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istorical Restoratio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환경과 건물 재생을 위한 파노라마 이미지 공간구성 방법 (A Study on the Panoramic Perception for Restoring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 전수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8-8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noramic perception and space organization for restor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Panorama is a collective visual catalogue composed by series of perspective images. It is a product from continuous movements of viewer by defamilarizing real image and structuring order between city and build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panoramic image, the viewer is able to achieve the total image of the city. For example, achieving visual perception of the city by employing the panoramic view from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es, Berlin developed its urban characteristic by rebuilding panoramic view as an aesthetic device. First, this paper mention theory of panorama as an aesthetic device for shaping the city from the building. Second, this paper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panorama and historical contexts for why those panoramic views are valuable by mentioning the Altes Museum, the Berlin National Gallery, Museum of Modern Literature, and Folkwang Museum of panoramic view.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visual perception such as panoramic view is the valuable device for organizing the image of the city's own identity. Constructing vision of each city influences not only shaping the city but also mapping the mental views of the building. Also, historical conditions and open spaces are one of the inherent elements combined with panoramic view for establishing urban identity. In search for good place mak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fabric plan in shaping how a resident sees - literally, sees- their city with buildings. Berlin serve as excellent counter example in how the valuable place making panoramic mental views of urbanities take shape.

석조문화재 보존처리에 따른 원형보존과 진정성 고찰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Authenticity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 With Focus on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Wonju Beopcheonsa Temple to the Conservation Treatment -)

  • 이태종;조하진;박희정;강산하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9-268
    • /
    • 2019
  • 석조문화재는 조성된 직후부터 복합적 훼손요인에 의해 손상되거나 본래의 역사적 진정성을 잃어버린 채 현재에 이르게 된다. 원형보존과 진정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다양한 인위적 개입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보존처리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지광국사탑의 보존처리는 해당 문화재의 연구와 보호에 기여하는 모든 과학적 기술적 수단을 확보한 후 진행하였으며, 지광국사탑의 미학적,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원 재료와 원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추진하였기 때문에 과도한 복원은 지양하였으며 원형보존과 진정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3D Datasets for Stone Pagodas by Period in Korea

  • Byong-Kwon Lee;Eun-Ji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9호
    • /
    • pp.105-111
    • /
    • 2023
  • 현재, 인공지능 학습을 이용한 콘텐츠 복원의 대부분 2D 형태의 학습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3D형태의 인공지능 학습은 기존의 2축(X,Y)에서 3축(X,Y,Z)의 많은 계산량과 학습속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으로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2차원적인 문화재 정보(이미지)를 기반을 시대별 우리나리 석탑을 분석하고 3D 모델링해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대한민국의 시대별 탑의 차이점과 특징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학습에 적합한 특징 모델링 방법을 제안했다. 문화재 복원은 다양한 자료와 전문가의 기술 및 역사적인 기록물 자료에 의존해 복구한다. 본 연구로 문화재 복원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전통 탑을 복원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기록 유산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민주도-시민참여형 생태복원 공정 - 백두대간 훼손지(강릉시 고랭지 채소밭) 시범적용과 제안 - (A Study on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cedures - Degraded Ecosystems in BaigDooDaeGahn -)

  • 이재영;안동만;김인호;김찬국;김성진;채혜성;이영;이재원;김민우;신민종;박효인;조경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16
    • /
    • 2011
  •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suggest 'residents-driven and citizen-participatory restoration procedures' for degraded ecosystems in BaigDooDaeGahn. With some concerns of current engineering-focused restoration approach for damaged ecosystem, the proposed procedur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several case studies on citizen participatory projects such as the Habitat Movement, the Taean tidal wetland restoration effort in Korea, and some historical and innovative case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suggested procedures were considered to be a dialectical spiral model which was consisted of two goal axis, six system elements, four developmental stages, and five restoration steps. The new system and procedures were applied to damaged farmland areas (about 0.3 ha) on the top of BaigDooDaeGahn, Kangneung city with participation of more than 100 local residents and a dozen of citizen from Seoul. Both high level of possibilities and some barriers for future extended application were identified and adopted for the final version of the proposed procedur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경관 변화와 시사점 (Changes and Implications of Landscape by Historical Transition of Suncheon Hwanseonjeong Pavilion)

  • 김순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45
    • /
    • 2022
  • 본 연구는 순천 환선정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과거 본래의 환선정의 경관과 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파악한 후, 이를 현존하는 죽도봉 환선정의 경관과 비교함으로서, 현재의 복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복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환선정은 관아의 원림 건축으로 1543년 당시 순천부사로 있던 심통원에 의해 창건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되면서 과거 선향 순천을 대표하는 누정으로서 동천과 맞은편 죽도봉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위치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호수와 다른 원림 요소들과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도 무사히 유지되어온 환선정은 1968년 8월 28일 순천에 큰 수해가 나면서 유실되었다. 환선정이 다른 소실된 누정과 다른 점은 소실되기 이전인 1935년 환선정의 사정 역할을 분리한 또 다른 환선정을 죽도봉에 지었고, 해당 누정이 1988년 현재 위치로 이동되면서 현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선정의 복원 사례는 누정 복원에 있어 중요한 다음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누정의 가치는 건축물 그 자체가 아닌, 누정을 둘러싼 주변 경관과의 관계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누정의 복원은 단순히 건축물의 복원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되며, 누정의 복원은 기존의 경관 가치를 이해하고 건축물과 함께 경관 요소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환선정과 함께 인공적으로 조성된 남북으로 긴 형태의 호수가 매우 중요한 경관 구성요소이자 경관 유람의 방법을 제공하는 수단이었다. 환선정의 문화적 맥락에서의 복원을 위해서는 과거 환선정에서 이루어진 문화적 행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인 고증과 복원을 통해 문화적 행위에 대한 체험 등을 복원하는 노력 또한 요구된다. 셋째, 현존하는 환선정은 과거 본래의 환선정과 비교하여 건축물 복원에서도 과거와는 다른 형태 및 구성, 규모, 색채 등을 보인다. 건축물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도 더욱 정확한 고증과 연구, 조사 등을 통해 복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 전통 도시형주택의 재생 및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 : 교마치야를 중심으로 (Study on Regeneration and Utilization Method of Japanese Traditional Urban Housing : The Case Study of Kyo-Machiya)

  • 김도연;오혜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3
    • /
    • 2009
  • The importance of the historical sites in cities has risen, an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methods to feasibly manage such sites. In line with the purpose, this study analytically reviews Japan's Kyo-machiya Restoration Policy, which has been systematically carried out under civil-official cooperation, and related policies. For reference, Kyo-machiya is the Kyoto-style wooden house. The results are derived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Kyo-machiya Restoration Policy was focused not only on traditional wooden houses but on residents and other buildings as well, and carried out under the cooperation among residents,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enterprises. Kyoto citizens established their own ordinances that are suitable to each area so that historical sites may be managed in accordance with city planning. Also, the think tank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municipal ordinances. Lastly, the policy was behind local residents and civic organizations so that they would continuously pay respect to historic sites in cities.

서울 서촌지역의 역사문화경관 보존 및 복원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n Seochon in Seoul)

  • 이진향;김선화;서우현;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8-110
    • /
    • 2011
  • 서촌은 서울 도심에 위치하며 인왕산을 배경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역사와 문화적 자원이 풍부한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문화경관 지역이다. 하지만 시대의 변천과 함께 변화를 거듭해온 현재 서촌의 모습은 서촌이 지녔던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서촌만이 간직한 장소성이 경제적 논리에 밀려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서촌 경관에 녹아있는 역사 문화의 잠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경관의 보존과 보호를 위하여 경관 변화의 기준이 될 수 있는 경관은 무엇이며,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경관이 변화되어 왔으며, 복원 시 기준이 되는 경관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관 텍스트로 시, 유산기를 비롯한 문학작품, 회화, 경물의 명칭을 설정하여 고문헌과 현대문헌, 근 현대 지도, 회화작품 등을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서촌의 경관은 자연경관의 원형이 잘 보전되어 있으며, 인문 사회적 장소성을 지닌 조선 후기 경관을 원형경관으로 규정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경관변천의 원인이 되는 사회 문화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서촌은 서울을 대표할 수 있는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지닌 곳으로 서촌만이 가진 정체성을 지닌 보존이 요구된다. 특히 산맥과 물길 명소별 보존을 위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백사 이항복과 권율 장군의 집터였던 필운대는 조망권 확보 및 주변 암반 보호를 위한 문화재 복원을, 안평대군의 비해당이 있었던 수성동은 현재 복원 중인 공원화 사업을 중심으로 복원지역의 확대를, 안동 김씨의 세거지이면서 위항문학의 산실이었던 청휘각과 송석원과 선원 김상용의 별서지였던 청풍계 지역은 인물과 연계된 물길의 복원이 요구되며, 조망경관이 우수하고 현재 녹지의 보전이 비교적 양호한 세심대와 백운동 계곡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 설정이 요구된다.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in 20th Century Paintings for Selected Historical Churches of the Bohol, Philippines

  • Roxas, Gracile Celine;Han, Min Su;Moon, Dong Hyeok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7-518
    • /
    • 2017
  • Through a combination of scientific analytical methods, the coloring materials used in $20^{th}$ century paintings in historical churches of Baclayon, Dauis and Loay, which are municipalities in Bohol, Philippines, were studied. Inorganic pigments were identified using SEM-EDS and XRD. Iron-based pigments were commonly found in the paintings, yielding dark yellow and brown colors. Zinc oxide was identified as the white pigment in the ceiling paintings of Dauis Church and Loay Church, while titanium dioxide was detected in the column painting in Baclayon Church. Organic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Pigment Yellow 3, a synthetic organic pigment. Paint layers, as well as other components of the samples such as grounds and metal leaves,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It was observed that different types of grounds were applied on different types of surfaces. Moreover, organic pigments were found in combination with white extender materials. Microscopic examination also revealed alterations in the artworks, such as the overpaint layer found in the samples from Baclayon Church cornice and the imitation metal leaf layers applied over the original gilt surface in the Loay Church retablo.

최종준(崔宗峻)의 년표(年表) 작성(作成)을 위한 역사적 고찰 - "어의촬요방(御醫撮要方)"의 복원을 위한 선행과제 - (A Historical Study for making a Chronological table of Choi Jongjun - A preceding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Eouichwaryobang" (The Royal Physician's Essential Prescription) -)

  • 하정용;이민호;권오민;안상영;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1-22
    • /
    • 2008
  • The prime minister(樞密相公) Choi jongjun writes"Eouichwaryobang(御醫撮要方)"A.D. 1226 that is a Goryeo Period (A.D.$918{\sim}1392$). But today that has vanished, now. Inspite of the important worth of that book in Korea Traditional Medicine, there is no study about writer. So I research all the historical source about him. And I confront a historical source with the era for making a chronological table of Choi jongjun. I beliebe this survey mak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the historical research of KTM. Now to conclude, In A.D. 1226, Choi Jongjun was Jung chuwonbusa(中樞院副使) or Chumseowonsa(簽書院事).

  • PDF

증강현실 활용 전시를 위한 문화 유물 디지털 3D 복원 (3D Restoration of Cultural Remains for Exhibiting Augmented Reality)

  • 정미영;유석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49-554
    • /
    • 2017
  • 최근 국내에서 각종 사회 이슈와 미디어, 언론인 등을 통해 역사의 중요성이 동시대 중요 가치의 하나로 이어지고 있다. 문화 콘텐츠 산업에서의 역사 유물은 핵심 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선명히 보여주는 중요한 존재이다.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D 모델링 등 디지털로 복원하여 문화 콘텐츠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 현실을 활용하여 유물 복원을 통해 아동들의 유물체험에 있어서 더욱 풍부한 경험과 체험적인 학습교재를 제안할 수 있는 융합 디바이스와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박물관 전시에서의 유물 이해를 도와주면서 재미를 더해줄 수 있는 교육용 게임콘텐츠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