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ll-Sachs lesion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Interobserver agreement for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lkaduhimi, Hassanin;Saarig, Aimane;Amajjar, Ihsan;van der Linde, Just A.;van Wier, Marieke F.;Willigenburg, Nienke W.;van den Bekerom, Michel P.J.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2호
    • /
    • pp.98-105
    • /
    • 2021
  • Background: Our aim is to determine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for surgeons to detect Hill-Sachs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certainty of judgement, and the effects of surgeon characteristics on agreement. Methods: Twenty-nine patients with Hill-Sachs lesions or other lesions with a similar appearance on MRIs were presented to 20 surgeons without any patient characteristics. The surgeons answered questions on the presence of Hill-Sachs lesions and the certainty of diagnosis. Interobserver agreement was assessed using the Fleiss' kappa (κ) and percentage of agreement. Agreement between surgeons was compared using a technique similar to the pairwise t-test for means, based on large-sample linear approximation of Fleiss' kappa,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The agreement between surgeons in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RI was fair (69% agreement; κ, 0.304; p<0.001). In 84% of the cases, surgeons were certain or highly certain about the presence of a Hill-Sachs lesion. Conclusions: Although surgeons reported high levels of certainty for their ability to detect Hill-Sachs lesions, there was only a fair amount of agreement between surgeons in detecting Hill-Sachs lesions on MRI. This indicates that clear criteria for defining Hill-Sachs lesions are lacking, which hampers accurate diagnosis and can compromise treatment.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에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재건술 -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결과 - (Arthroscopic Stabilization Using Remplissage Technique In Recurrent Shoulder Instability with Large Hill-Sachs Lesion - Minimum Six Months Follow-Up Results -)

  • 고상훈;정광환;전형민;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47-52
    • /
    • 2010
  • 목적: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관절경 하 후방 관절낭 유합술과 극하근 건 고정술로 이루어진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 후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가가능하였던 환자들의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본원에서 시술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하였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28.6세였으며 전 례에서 남성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0개월이었다. 평가는 견관절의 운동 범위, ASES 점수, KSSI 점수, ROWE 점수, 그리고 술 후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포함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10개월에 견관절 기능적 평가에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1.4점에서 술 후 평균 76.8점으로, KSSI 점수는 술 전 평균 46.5점에서 술 후 평균 76점으로, ROWE 점수는 술 전 평균 43.5점에서 술 후 평균 76.3점으로 각각 향상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방 거상 170도 이상이었으며, 외회전은 45도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 후 6개월 이상 추시 결과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견관절자기공명관절조영술에서의 Hill-Sachs병변과 관절경에서의 Bankart병변, 견관절탈구빈도와의 상관성 (Hill-Sachs Lesion on MR Arthrography of the Shoulder: Relationship with Bankart Lesion on Arthroscopy and Frequency of Shoulder Dislocations)

  • 김지나;이민희;안중모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26-32
    • /
    • 2013
  • 목적: 견관절 전방탈구 후 Bankart 병변이 있었던 환자의 자기공명관절조영술 (MRA)에서 Hill-Sachs (HS) 병변의 유무와 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관절경에서 보인 Bankart 병변의 크기와 탈구 빈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견관절 전방탈구 후 발생한 Bankart 병변의 관절경 수술을 시행 받은 86명의 MRA를 분석하였다. MRA에서 HS 병변의 가장 큰 표면길이와, 관절경에서 보인 Bankart 병변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HS 병변 길이와 Bankart 병변 크기, 탈구 빈도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HS 병변은 78명에서 관찰되었다. HS 병변의 가장 긴 표면길이는 평균 18.8 mm (9.3 - 29.6 mm) 였고, Bankart 병변은 평균 4.25시계구간 크기 (1-6시계구간 크기) 였다. 3명은 단일탈구, 75명은 재발탈구였다. HS 병변의 크기는 Bankart 병변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 = 0.001, r = 0.37), 탈구 빈도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HS 병변은 Bankart 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흔하게 발견되었다. HS 병변과 Bankart 병변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Irreducible Elbow Dislocation Associated with Hill-Sachs-like Lesion over the Capitellum

  • Weng, Hung-Kai;Chang, Wei-Lun;Yeh, Ming-Long;Su, Wei-Ren;Hsu, Kai-L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1호
    • /
    • pp.37-39
    • /
    • 2019
  • Irreducible dislocation of the elbow is an uncommon event. We present the case of a posterolateral elbow dislocation after a fall injury in a 67-year-old woman. A closed reduction perform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unsuccessful since the limited passive range of motion resulted in difficulty to perform longitudinal traction and flexi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showed that the posterolateral aspect of the capitellum was impacted by the tip of the coronoid process, thus appearing similar to the Hill-Sachs lesion in the humeral head. Subsequent open reduction of the elbow revealed the dislocation to be irreducible since the tip of the coronoid process had wedged into a triangular Hill-Sachs-like lesion in the capitellum. The joint was reduced by providing distal traction on the forearm, and main fragments were disengaged using digital pressure. At the 3-month follow-up, the patient reported no dislocations, and had an acceptable range of motion. Thus, we propose that to avoid iatrogenic injury to the joint or other nearby structures, irreducible dislocations should not be subjected to repeated manipulation.

Multidetector CT arthrography를 이용한 견관절 병변의 진단 - MRI, MR arthrography와의 비교 - (Multidetector CT (MDCT) Arthrography in the Evaluation of Shoulder Pathology: Comparison with MR Arthrography and MR Imaging with Arthroscopic Correlation)

  • 김재윤;공현식;김우성;최정아;김병호;오주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73-8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efficacy of CT arthrography (CTA) in the assessment of various shoulder pathologies, compared with MR arthrography (MRA) and MRI with arthroscopic correlation. Materials and Methods: CTA in 84 patients, MRA in 70 patients, and MRI in 27 patients were obtained. A radiologist interpreted each image for 5 pathologies: Bankart, SLAP, Hill-Sachs lesion, full-thickness, and partial-thickness rotator cuff tear. Detailed arthroscopic reports were compared with CTA, MRA, and MRI.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redictive values, and accuracy were calculated. The agreement between each diagnostic modality and arthroscopy was calculated. Diagnostic efficacy was assessed by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Results: The diagnostic values of all three imaging groups were comparable to each other for Bankart, SLAP, Hills-Sachs, and full-thickness cuff tear lesions, but those of CTA were lower than MRI and MRA for partial-thickness cuff tears.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s for CTA, MRA, and MR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pathologies, except for partial-thickness cuff tears. Conclusion: CTA was equally competent to MRA or MRI in demonstrating Bankart, Hill-Sachs lesions, SLAP, and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but not as efficient in diagnosing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Concomitant Coracoid Process Fracture with Bony Bankart Lesion Treated with the Latarjet Procedure

  • Min, Seung Gi;Kim, Dong Hyun;Lee, Ho Seok;Lee, Hyun Joo;Park, Kyeong Hyeon;Yoon, Jong Pi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1호
    • /
    • pp.31-36
    • /
    • 2020
  • Bony lesions of the glenoid and Hill-Sachs lesions are the most common injuries after a first-time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 However, fracture of the coracoid process after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 is rare. A single, open surgical procedure could be performed by a Latarjet procedure using a fractured fragment of the coracoid process. If a fracture of the coracoid process is associated with a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the Latarjet procedure may be the most appropriate surgical option.

40세 이상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에서 관절내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연구 (Arthroscopic Evaluation on Intra-Articular Pathology in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ged Over 40 Years)

  • 민우기;김주은;조환성;김풍택;전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목적: 40대 이상의 환자의 외상성 견관절 재발성 전방 탈구에서 관절 내 병변 구조물을 조사하고, 그 발병 기전 및 향후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임상적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재발성 견관절 전방 탈구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수술 당시 나이가 40세 이상인 16명의 환자 (평균 나이 52.7세)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와 순, 관절막, 회전근 개, 골병변 등의 관절 내 구조물에 대한 관절경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한 16례의 모든 환자들에서 상완 골두의 Hill-Sachs 병변이 보였으며, 골성 Bankart 병변 3례 (19%), 관절와 순 파열 6례 (38%), 관절막 파열은 15례 (94%)에서 발견 되었다. 12례 (75%)의 환자에서 극상건 파열이 발견되었고, 견갑하근 파열은 5례 (31%)에서 발견되었다. SLAP 병변은 1례 (6%)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40세 이상 견관절 재발성 탈구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기와 달리, 장년층 이상의 환자에서는 관절막 및 회전근 개 손상에 대한 수술 전 대비가 요구된다.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 술기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고상훈;박기봉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102-108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동반되면 관절경 하 재건술에서 실패 요인이 될 수 있다. 외상성으로 발생하는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에서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해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골 결손이 동반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재건술의 수술 술기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최근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관절경적 수술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재발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전하방 관절와의 골 결손과 후외방 견관절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수술 방법에 대하여 논문 고찰과 저자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방 불안정성에서 발생하는 골 결손에는 관절와의 전하방 골 결손과 Hill-Sachs 병소가 있다. 이러한 골 결손은 현재까지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다. 결론: 의미 있는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을 가진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개방적 수술이라고 할 수 있으나, 관절경적인 접근법으로 개방적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주목되고 있다.

견관절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에 대한 Bio-knotless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Bankart 병변 봉합술 (예비 보고) (Arthroscopic Bankart Repair in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Bio-knotless Anchor (Preliminary and Technical Report))

  • 염재광;성기혁;신용운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1호
    • /
    • pp.105-11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results of the arthroscopic Bankart repair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with bio-knotless anchor. Materials and Methods: 21 cases of 21 patients (20 male and 1 femal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was 24.8 years old and the period from the first injury to operation was average 37.2 months. All cases had Bankart lesion and 12 cases had Hill-Sachs' lesion. The SLAP lesion was associated in 6 cases. Preoperative Rowe score was average 29.1.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bio-knotless anchor were performed in all cases; 3 anchors at 3, 4, 5 O'clock position of the glenoid were used in 11 cases and 2 anchors at 4, 5 O'clock position were used in 10 cases. All the associated SLAP lesions were repaired arthroscopically with bio-knotless anchor. Thermal capsular shrinkage at the anterior and inferior shoulder capsule after the Bankart repair was performed in 3 cases.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0.2 months. Results: The Rowe score improved to 92.8, excellent in 17 cases and good in 4 cases, at last follow up period and 20 cases had full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1 case had mild limited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150 degrees in flexion, 60 degrees in external rotation and T12 level in internal rotation) without any problem in normal activity. The arthroscopic revision surgery of the shoulder was performed in 1 case because of multiple traumatic injuries of the shoulder with pain postoperatively. Conclusion: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ith bio-knotless anchor in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is one of the good methods because of the good clinical results.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이용한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 (Medial Anterior-inferior Capsular Shift in Multidirectional Shoulder Instability)

  • 정수태;박재형;김형수;유정현;김주학;지정민;조환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33-41
    • /
    • 2007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다방향견관절 불안정증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을 시행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5례에서는 반복적인 탈구를 경험하였으며, 양측성 견관절에서만 이완을 보인 경우가 8례(42.0%), 견관절을 포함한 전신 인대 이완은 11례(58%)였으며 수의성 아탈구가 2례(10.5%)가 있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개월이었다(범위: 9-32 개월) 결과: 19례중 18례에서 통증이 호전되었으며, 평균 10도 정도의 외회전 감소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제한은 없었다. 술 후 모든 예에서 재탈구나 아탈구는 없었으나 2례에서는 스포츠 활동에서 불안감을 호소하였다. Rowe점수에서 모든 환자에서 최우수 또는 우수로 나타났으며 혈종 1례 및 가벼운 국소 피부 감염이 1례에서 있었으나 추후 모두 치료되었다. 결론: 다방향 견관절 불안정증에서 내측 전하방 관절낭 이동술은 통증감소, 환자의 만족도 및 견관절 안정성에 있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다. Hill-Sachs병변 및 Bankart병변이 일부 있었으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