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rised Building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수도 서울에서 정부종합청사의 입지와 건립 (Site and Erection of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in Capital Seoul)

  • 이수민;우동선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51-62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site and erection of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which was a project attempted to assemble dispersed government buildings in a certain place. The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roject is situated between the 1960s' making of capital Seoul and Seoul urban planning, and the way how the project achieved symbolism in capital Seoul. The project, one of the 1960s' Major Government Buildings, led both plan of capital Seoul and transforming city Seoul. The 1960s' Major Government Building Plan had identical drive with the 1950's Major Government Building Plan, however the 1960s' had additional layer: Seoul urban planning. After restoration of the Capital building, Sejongro the capital street was planned to the site arranging government offices.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was set to be a modern building on a site with historical context according to the plan. Because of the site,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was constructed in aware of other buildings that represented a competitive high-rise atmosphere in the late 1960s, including the Capital building nearby. PAE International's plan was completed through a series of design modification, and it boasted a vertical aspect, unlike the horizontal-looking plan that was already won after the design competition. The Government Complex Seoul tried to acquire the symbolism in the central space of the capital Seoul and high-rised city Seoul. "The new construction method" was a requirement to achieve the height.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molition Costs)

  • 신동욱;조규만;이웅균;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99-506
    • /
    • 2018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대량으로 건설된 중 고층 건물이 사회적, 구조적으로 노후됨에 따라 해체공사가 대거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해체공사비 예측을 위한 이론적 접근이나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그룹의 자문을 바탕으로 14개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공사, 구조물 해체, 폐기물처리, 전체공정별 중요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체공사비의 변동은 해체현장의 환경적 요인들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체공사 발주단계에서 개략공사비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압축강도 1800kg/$\textrm{cm}^2$의 초고강도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제1보 실험계획 및 예비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e Ultra-High Strength Concrete of 1800kg/$\textrm{cm}^2$ Compressive Strength (Part I The Experimental Program and Preliminary Experiment))

  • 김규용;김진만;이상수;남상일;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7-170
    • /
    • 1994
  • To reduce the size of structural members, high strength concrete has recently been utilized for structure such as ultra-high-rise buildings and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in North America, and its compressive strength has gone up to 1300kg/$\textrm{cm}^2$. In Japan, research on high-strength concrete has been undertaken on a large scale by the national enterprise so-called New RC Project. And high-strength concrete with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ver 450kg/$\textrm{cm}^2$ has recently been employed for high rised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s a result of the serious land availability situation of metropolitan areas in the world, buildings will become taller, and even higher strength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the utilization of high-strength concrete will spread wid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structural concepts, application of steels of a higher yield stress, silica fume, and other new materials.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 the aim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ultra-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ver 1800kg/$\textrm{cm}^2$ with domestic current materials. There are so many factors which influence the manufacturing of ultra-high-strength concrete. The experimental factors selected in this study are mixing methods, curing methods, water-binder ratio, maximum size of coarse by silica fum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ultra-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ver 1700kg/$\textrm{cm}^2$ at 28days, 1800kg/$\textrm{cm}^2$ at 56 days.

  • PDF

압축강도 1800kg/$\textrm{cm}^2$의 초고강도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제2보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제조에 관한 실험)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e Ultra-High Strength Concrete of 1800kg/$\textrm{cm}^2$ Compressive Strength (Part 2 The Experiment on the Manufacture of the U.H.S Concrete))

  • 남상일;김진만;최민수;김규용;최희용;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174
    • /
    • 1994
  • To reduce the size of structural members, high strength concrete has recently been utilized for structure such as ultra-high-rise buildings and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in North America, and its compressive strength has gone up to 1300kg/$\textrm{cm}^2$. In Japan, research on high-strength concrete has been undertaken on a large scale by the national enterprise so-called New RC Project. And high-strength concrete with a design compressive strength over 450kg/$\textrm{cm}^2$ has recently been employed for high rised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s a result of the serious land availability situation of metropolitan areas in the world, buildings will become taller, and even higher strength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the utilization of high-strength concrete will spread wid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structural concepts, application of steels of a higher yield stress, silica fume, and other new materials.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 the aim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ultra-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ver 1800kg/$\textrm{cm}^2$ with domestic current materials. There are so many factors which influence the manufacturing of ultra-high-strength concrete. The experimental factors selected in this study are mixing methods, curing methods, water-binder ratio, maximum size of coarse by silica fum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ultra-high-strength concrete with compressive strength over 1700kg/$\textrm{cm}^2$ at 28days, 1800kg/$\textrm{cm}^2$ at 56 days.

  • PDF

고층건물 수직·수평 요소기반 골조공사 개산견적 모델 (A Schematic Estimation Model for Structure Costs of High-rise Buildings based on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s)

  • 남동희;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3-10
    • /
    • 2014
  • 고층건물은 공사비 규모가 크고 어느 건설사업보다 공사비 리스크가 높다는 점에서 면밀하고도 철저한 공사비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비 관리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세부적인 요소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예산을 수립하고 설계 진행 단계별로 공사비의 추적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차기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시 오차범위를 줄이고, 설계단계별 추적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층건물의 골조공사비를 대상으로 수직 수평 요소(Element)를 기반으로 한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한다. 사례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예측모델은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주자의 요구사항반영, 기타요인에 의한 설계변경 등의 추적 관리가 가능하고, 향후 제시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축척하고 활용함으로써 골조 물량 및 골조공사비의 대비 오차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구조물의 지진동제어를 위한 TMD의 최적설계 (Optimal Design of Passive TMD for Seismic Behavior Control of Spacial Structures)

  • 김기철;강주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1-88
    • /
    • 2011
  • 구조물에 대한 진동제어 기술은 지금까지 일반 라멘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공간구조물은 일반 라멘구조물과는 다른 동적응답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 라멘구조물을 대상을 개발된 진동제어 기술을 공간구조물에 적용시키기에는 불확실한 요소가 존재하게 된다. 본 논문은 대공간구조물 중에서 자중이 비교적 커서 지진응답이 크게 나타나는 트러스 형태의 아치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수동형 TMD 설치 위치 및 질량비에 따른 제어성능을 분석하였다. 예제 아치구조물의 TMD 설치 위치에 따른 진동응답 분석결과, 모드벡터가 가장 큰 위지에 TMD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제어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MD 의 질량비 변화에 따른 진동응답 분석결과, 질량비가 약 2%인 경우에 가장 효율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FID 기술적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각 공종별 주요자재 특성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Work Items for RFID Technology Application Possibility Valuation)

  • 구도형;윤수원;진상윤;김예상;권순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9-169
    • /
    • 2008
  • 최근 국내 건설 프로젝트는 점점 고층화, 대형화, 복잡화되어 다양한 관리 이론의 적용을 통한 물류 및 진도관리방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첨단 기술의 발달은 이런 관리방안을 실제로 수행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기존 물류 및 진도관리 연구는 단일공정이나 주요 자재에만 적용되어 전체적 관점에서 프로젝트관리연구는 전무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건축프로젝트의 물류 및 진도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건설 물류 및 진도관리 통합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각 공정별 주요자재에 RFID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공정 및 자재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RFID를 이용하여 자재를 추적할 수 있는 자재와 다른 방법론이 필요한 자재, 미래기술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 자재, 당분간 RFID 기술 적용이 불가능한 자재 등으로 분류하여 건설프로젝트에 RFID 기술을 적용한 물류 및 진도관리 통합체계 도출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건설프로젝트에 가장 최적인 RFID 기술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건설물류 및 진도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RFID 기술 적용이 어려운 자재들을 대상으로 특정한 대안의 개발을 통하여 RFID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