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24초

고등학교 학생의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0
    • /
    • 2015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사서 및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이하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장으로 생각되는 기관에 대해 공공도서관,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순으로 응답하였으나,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방송국 자료실, 국가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포털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는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정보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학생들이 문헌정보학과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 and Chemistry Teacher Perceptions and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Related to the Effect of Water Vapor in the Air on Evaporation and Boiling)

  • 백성혜;조미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73-786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과서의 서술에서 증발과 끓음은 기화라는 개념으로 연결되어 제시되고, 끓음은 증기압과 대기압의 관계로 설명되며, 증기압은 증발로 형성된 공기 중의 수증기 개념으로 연결되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간의 연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식들을 고등학생들의 경우와 화학 전공 교사들의 경우로 구분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다양한 인식들이 형성된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학생들이 공기 중의 수증기량과 증발 및 끓음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거시적인 수준에서 설명되는 증발 현상과 미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물 입자들의 증발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기압과 끓음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다. 교사들의 경우에는 과학적 개념의 형성 비율이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많은 교사들이 학생들과 유사하게 증발과 끓음에 대해 다양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교과서에서는 보편적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증발과 끓음의 현상을 설명하였으며, 미시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경우에도 개념들간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등학교 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도(槪念圖) 속성: 현장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분석적 근거 (Teachers' conceptual maps on health education topics for high school students: Analytic evidences for field-based curriculum development)

  • 박경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9-113
    • /
    • 2008
  • Background: School is a primary health education setting for students and the related continuous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renovate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consistent to socio-cultural changes in Korean society.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incipals' and teachers' needs and perceptions of health education topic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ir conceptual map for health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n high school. Methods: The sample size of the preliminary survey was 77 and that of the main survey was 276 who successful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the high school teachers selected from the stratified sampling over Korea. The self-administered mailing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health education topics and to analyze the conceptual properties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in SPSS 12.0. Results: A total of 31 health education topics were genera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The five factors were determined: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anagement', 'injury and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bulling and aggression prevention', 'public regularity and safety perception' and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The mean score of health education needs was between medium to high and 'public regularity and safety perception' had the highest score of education need. The two-dimensional cooperates were generated for the 31 health education topics and the two dimensional properties which divided the conceptual space were 'disease-injury' for one and 'public/environmental/individual/personal' for the other. Conclusions: Health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eachers' needs and field environments for health education in every school. Therefore developing field-bas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should be the essential key to realize problem-solving health education for youth in real school fields.

  • PDF

Student Perceptions of Different Feedback Givers' Written Responses

  • Kim, Jeong-Ok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45-68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opinions about feedback given to high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writing.18 students in the Gifted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rough their presurvey answer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 and genders. Students language self-assessment was compared with achievement as well. Three times of students' written work were collected. They then received feedback from the teacher and their two peers respectively. With the teachers' and peers' feedback, they completed their final draft. The study then examines how much the students take feedback practically from the different feedback givers. Examples of formative and corrective feedback were arrang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ractice when giving and taking feedback. These Gifted class students showed that they didn't care much about who gave them the feedback, instead they cared more about how much language competence they presumed the feedback giver ha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future study is suggested.

  • PDF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 강성주;김현주;이길재;권영식;김명희;김연숙;김윤화;신호심;임희영;하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26-6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에 참여한 2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R&E의 목적, 주제 선정 과정, R&E의 장단점에 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R&E의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 학생들은 '예비 과학자로의 자질 함양, '연구 기회 제공', 탐구 수행 능력 신장'으로 인식하였으며, 단점으로는 '연구에 소비된 시간', '타율적 참여', '연구 내용의 어려움' 등을 언급하였다. R&E 프로그램은 정해진 주제 제시된 실험과정 문제 발생 시 전문가의 도움으로 진행되는 기술적 도제과정이 대부분이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보다는 새로운 실험 장비나 첨단 기술을 접하는 기회 제공 차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 프로그램에서 멘토의 역할이 중요하며, 멘토의 역할은 학생들의 생산적 참여 정도와 과학 및 과학자의 인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보상 제공 방법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Reward Methods in Cooperative Learning)

  • 노태희;윤선애;한재영;이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25-6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 보상 제공 방법의 효과를 학생들의 성취도, 학습 동기,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보상 제공 방법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 남녀 공학 중학교에서 1학년 61명을 선정하고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 운동'',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단원에 대하여 14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보상 제공 방법은 과제 지향 보상과 수행 지향 보상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학생들은 과제 지향 보상 집단에서, 허위 학생들은 수행 지향 보상 집단에서 성취도 중 적용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과제 지향 보상 집단이 학습 동기 중 주의집중과 관련성,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중 과제 지향성, 참여도, 질서와 조직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고등학생들의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on Theory and Data, Science Process Skills, Perceptions of Preferred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Laboratory Work)

  • 한수진;이인혜;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43-64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모든 하위 범주(응집성, 개방성, 통합성, 준칙성, 물리적 환경),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는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과학 과정 기술, 선호하는 실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의 하위 범주 중 개방성과 물리적 환경, 실험 수업에 대한 태도가 이론과 자료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생각하는 과학' 활동이 중학생들의 기체 분자 운동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그 활동에 대한 인식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as Particles Behavior Concepts in 'Thinking Science' Activ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cognition on Its Activities)

  • 이상권;김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68-7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형식적 사고를 요구하는 '기체 분자운동'의 개념 이해에 형식적 조작기로의 인지가속을 목적으로 하는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사전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이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하여,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필요한 논리적 요소로 변인, 비례, 보상, 형식적 모형 등의 4가지 논리를 추출하였다.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 4가지 논리와 관련된 9개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처치한 후에 기체 분자 운동의 수업을 실시하고, 기체 분자 운동의 개념 이해에 대한 성취도 평가를 하였다. 기체 분자 운동 개념에 대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성취도는 t-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성 별 분석에서는 사전 인지 수준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 결과 실험 집단의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성취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도 평가의 논리 별 정답률에서는 변인 통제, 보상, 형식적 모형논리의 정답률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비례 논리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험 집단의 '생각하는 과학' 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활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적 사고력과 태도 영역이 기체 분자 운동의 성취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구체적 조작기 후기(2B)의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취도도 높았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와 있지 않는 실험 소재를 다루게 되어 흥미로웠으며 실험 후 토론 시간을 가지면서 연구자가 된 듯한 느낌을 갖게 되어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통해 자신의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된 것 같다고 답변하였다.

  • PDF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 대비한 중등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특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Literacy for Global Science-Technology-Societ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유효숙;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50-86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해 과학에 대한 태도(Orientation)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 관련 지식(Scientific knowledge)과 탐구와 문제해결능력(Habits of mind)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학생의 경우 다수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태도만큼이나 과학 지식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중 고등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과학 지식을 알고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이나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 및 기술의 발달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 아는 것도 매우 중요 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이나 다양성에 대한 존중, 공동체 의식 등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를 위한 과학적 소양 교육에 더욱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교사의 훈육유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지각 일치도에 따른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 Focused on Special high school -)

  • 구경호;유순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977-98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eachers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by comparing between the practical data of a group which have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ith another group which have a dis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For this study, 1460 second grade special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were selected. And 1273 students and 56 teacher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while 5 questionnaires went uncomplet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compiling statistic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about the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between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were different. Second, the levels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s were different by two group. A group which has an accordant perception for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perceived by teacher him/herself and student shows the high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an B group which has an discordant perception. Last, class teacher's discipline style which affects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ifferent by the two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increase the level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class teachers have to a mutual understanding first, and then approach their students with different discipline style by the level of their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