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al Tea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Ecofriendly Pesticides Against Adoxophyes orana (Lepidoptera: Tortrididae) on Tea Tree (Camellia sinensis L.)

  • Lee, Chong Kyu;Kang, Young Mi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301-306
    • /
    • 2014
  • A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life cycle of Adoxophyes orana (Lepidoptera: Tortrididae) that inflicts tea tree leaves in Korea and selected three ecofriendly pesticides (Common name for commercial: Essential oil, Nemacatch, and Wormstop in Korean Farmers' Market) of A. orana for pest control. A. orana appeared to follow four life cycle phases a year; each presenting varying developmental periods dependent on sea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fecundity of A. orana female was $24.6{\pm}4.10$ for $1^{st}$, $36.7{\pm}12.77$ for$ 2^{nd}$, and $27.9{\pm}4.22$ for $3^{rd}$ phase during 2011, while it was $65.0{\pm}32.72$, $49.7{\pm}30.27$, $63.8{\pm}27.22$ for corresponding phases during 2012. The average longevity of adult A. orana was 7.72 days. The average number of eggs deposited by each female in this study group was 44.62 with an average of 2.47. In three selected ecofriendly pesticides, the mortality of A. orana on treating with the Essential oil [The essential oil of Chamaecyparis obtuse (100%)] and Nemacatch [Azadirachtin 800-900 ppm (75%)] were 36.67% and 43.33% after 3 days and were 48.30% and 56.67% after 7days, respectively. Besides, the mortality of A. orana on treating with Wormstop [Azadirachtin 500 ppm (5%) and Salannin+Liminoids (95%)] was 61.67% and 78.33% after 3 and 7 days,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Wormstop was the most useful to control the diseases caused by A. orana.

위암 수술 후 장마비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Treating Postoperative Ileus in Gastric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배혜리;김은지;서현식;이남헌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5-642
    • /
    • 2022
  • 목적: 본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장마비의 한의학적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22년 5월 11일까지 출판된 연구들을 6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술 후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위암 환자를 장마비 관련 지표들을 통해 관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결과: 한약,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약물 주입을 수술 후 장마비 치료법으로 사용한 27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한약, 한약과 침 병용요법,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네오스티그민 주입 치료군에서 수술 후 첫 가스 배출까지의 시간이 감소하였고 (p<0.00001), 수술 후 첫 배변까지의 시간이 한약. 한약과 침 병용요법, 침, 뜸, 전기혈위자극, 이혈요법, 족삼리혈의 네오스티그민 주입 치료군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p<0.00001). 심각한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한의학적 치료는 위절제술 후 위암 환자에게 수술 후 장마비의 예방과 치료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장마비 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한약자원을 이용한 약선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약선차의 섭취가 여대생의 혈청지질수준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에 미치는 효과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Effects of Yak-Sun Tea Prescription from Oriental Medicinal Herbs for Serum Lipid Levels and Homocystein Content)

  • 박성혜;조화은;박성진;김종대;한종현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6년도 한국약용작물학회 공동춘계학술발표회
    • /
    • pp.448-449
    • /
    • 2006
  • PDF

노지재배 감귤에서의 볼록총채벌레 발생 양상과 피해 증상 (Seasonal Occurrence of Yellow Tea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Hood (Thysanoptera: Thripidae) in Citrus Orchards and Its Damage Symptoms on Citrus Fruits)

  • 현재욱;황록연;이관석;송정흡;이평호;권혁모;현동희;김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7
    • /
    • 2012
  • 최근 들어 노지재배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해 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하게 과정부 주위를 중심으로 검붉게 그을린 증상 또는 조직이 회갈색으로 괴사되어 딱지형태가 되는 증상들이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황색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7일 마다 발생 밀도를 조사한 결과 2009년의 경우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증가하다 8월 하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2010년과 2011년의 경우 10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다. 2009년의 경우 5월부터 10월 하순까지 최소 7회의 발생 세대를 보였고 통상 7월 경부터 볼록총채벌레가 감귤원에서 우점하여 발생하였다. 과실에서 볼록총채벌레 약충들이 7월부터 발견되어 2009년의 경우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 그리고 10월 상순에 피크를 보였고 피해 증상은 9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의 경우 7월 상순에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후 9월 하순에 다시 밀도가 증가하였고 피해 증상은 7월 중하순 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피해증상은 과정부를 중심으로 회색빛으로 부스럼같이 코르크화 되거나 초기에 검은색을 띄다가 착색기에 접어들어 과피가 검붉게 변하였다.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이런 피해 증상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Puffing 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Benzo[α]pyrene 변화 (The Changes of Benzo[α]pyrene in Herbal Teas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uff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79
    • /
    • 2014
  • The following study is the result of herbal teas puffed at different temperatures between $140{\sim}220^{\circ}C$. Depending on treatment temperatures, the water contents decreased, while some carbonization occurred and crude ash contents relatively increased. Also,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experienced little changes. B(${\alpha}$)P contents (0.16~0.17 ppb) showed little change according to treatment temperatures. From this result, the B(${\alpha}$)P cont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raw materials. Solid elution rate figures of the herbal teas ranged from 0.27~0.45% (w/w) and the rate of solid elution increased along with higher puffing temperature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solid elution rates is due to the breakage of cross bridges between the raw materials in the herbal tea which are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etc. after treatments of physical changes rather than chemical ones.

제주에서 적산온도를 이용한 볼록총채벌레 세대별 발생최성기 예측모형 (Models of Forecasting the Generation Peak Time of Scirtothrips dorsalis (Thysanoptera: Thripidae) adults Based on Degree-days on Jeju Island, Korea)

  • 황록연;현재욱;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15-425
    • /
    • 2013
  • 볼록총채벌레는 제주도 감귤에서 경미한 피해만 보고되다가 2007년부터 다발생하여 그 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볼록총채벌레 각 발생세대의 발생최성기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볼록총채벌레 성충 발생세대수를 독립변수(x)로 취급하고 세대별 발생최성기의 적산온도를 종속변수(y)로 취급하여 직선 회귀식을 추정하였다. 감귤원에서 유살된 자료와 녹차 또는 키위과원에서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각각 감귤기반모형(y = 310.9x + 69.0, $r^2$=0.99) 녹차기반모형(y = 285.7x + 84.1, $r^2$=0.99)을 개발하였다. 각 모형의 예측값과 독립된 포장 실측자료와의 잔차자승합을 토대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으며, 녹차기반모형의 적합력이 좋았다. 본 예측모형을 통한 계산값과 실측치의 불일치에 대한 원인과 모형의 포장 활용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가공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Properties in Herbal Tea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rocess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4-540
    • /
    • 2014
  • 가공조건 차이에 따른 한방차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 팽화공정 처리한 것은 볶음공정을 한 것보다 조회분, 수분, 조단백질, 고형분 용출율이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소폭 감소하였다. 벤조피렌[$B({\alpha})P$]함량은 0.35 ppb에서 0.18 ppb로 크게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심한 열처리 과정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B({\alpha})P$이 검출된 이유는 식품 중 $B({\alpha})P$는 주로 음식을 조리, 가공할 때 식품의 주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기 때문이다. 한방차에서 맛, 향, 색상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다소 텁텁한 느낌이 강하고, 시큼한 맛이 강하여 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함유 카테친 및 카페인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 (Optimal HPLC Condition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Extracts)

  • 정명근;이민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24-232
    • /
    • 2008
  • 고 기능성 유용 차나무 품종육성 및 녹차의 이용성 증진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녹차 함유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재현성 및 검출 감도가 증진된 최적의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의 동시분석을 위한 최적 HPLC 분석 조건을 검토한 결과 컬럼은 YMC-pak ODS-AM 303(25 cm)컬럼을 이용하고, 검출파장은 280 nm, 컬럼온도를 $30^{\circ}C$, 분당유속은 1 mL, 이동상 용매로는 A용매로 0.1% 인산 - 증류수, B용매로 100% MeOH를 사용하여 농도구배 조건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분석법으로 조사되었다. 2. 녹차에 함유된 catechin 화합물 및 caffein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최적 HPLC분석조건의 재현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머무름 시간(Rt.)의 변이계수는 최대 1.23% 미만, peak area의 변이계수는 최대 5.13% 미만을 나타내어 확립된 녹차 함유 catechin 9종 화합물 및 caffeine의 HPLC 정량분석법은 재현성이 높은 분석법으로 확인되었고, 각 cafechin 화합물 및 caffeine 성분의 최소 검출한계는 최소 50ppb(0.050 ppm, 50 ng/mL)이하로 조사되어, 확립된 HPLC 분석법은 녹차의 작물학적 특성 평가용으로 활용하기에 전혀 무리가 없는 분석법으로 판단되었다.

고혈압 환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방 다류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s for Hypertension Patients with the Mixed Medicinal Herbal Extracts)

  • 안병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049-1053
    • /
    • 2009
  • 본 연구는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가 고혈압 질환자의 혈압, 혈청지질 및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한방 혼합 다류를 시험 4주간 복용한 그룹과 시험 전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 혈압은 167.14 mmHg에서 134.86 mmHg로, 이완기 혈압은 100.00 mmHg에서 87.10 mmHg로 뚜렷하게 저하되었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의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AI)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한방 혼합 다류를 복용 시 중성지방(TG) 농도가 237.10 mg/dL에서 145.00 mg/dL로 강하게 감소되었다. 시험 4주 후와 시험개시 전의 혈액학적 지표(적혈구, 백혈구,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소판 및 호모시스테인)를 비교한 경우, 유의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MCHC)는 유의적으로 2.70%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두충을 주 원료로 고안된 한방 혼합 다류는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추정하며, 평균 적혈 수혈 색소 농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중국.일본 한약재 포장 및 유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Herbal Medicine Packaging and Currency in Korea, Japan and China)

  • 이준경;유영법;황대선;배순희;하혜경;김호경;서영배;신현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17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packaging of herbal medicines by analyzing papers. We investigated the packaging materials, packaging methods and expiration date of herbal medicines by analyzing papers of the Korea, Japan and China. Methods : We survey herbal medicine-related law and crude drug monograph of compendium in each three country, we purchased herbal medicine of the Korea, Japan and China in the market and verify the expressed-item in packing paper. In case of Japan, we examine packaging materials, packaging methods, and expiration date of herbal medicine in pharmaceutical company. Results : The pharmaceutical company in japan used the methods of nitrogen gas pouring, vacuum packing for the herbal medicine packaging. The expiration date of the herbal products in Japan is generally 3 to 5 year after packaging. And packaging materials were aluminium and polyethylene. In Korea, pharmaceutical company used airtight packing for the herbal medicine packaging and expiration date of the herbal product were generally 3 year after packaging. Packaging materials were polyethylene, nylon or polyethylene-nylon mixed materials. In China, pharmaceutical company also used airtight packing for the herbal medicine packaging, and the expiration date were generally 5 year after packaging. Packaging materials were polyethylene, wrapping paper-used parcel or tea leaves filter paper. Conclusion : This results can present the basic data for expiration date and preservation methods of the herbal root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