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resectio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3초

Validation of the OncoHepa test, a multigene expression profile test, and the tumor marker-volume score to predict postresection outcome in small solitary hepatocellular carcinomas

  • Ha, Su-Min;Hwang, Shin;Park, Jin Young;Lee, Young-Joo;Kim, Ki-Hun;Song, Gi-Won;Jung, Dong-Hwan;Yu, Yun-Suk;Kim, Jinpyo;Lee, Kyoung-Jin;Tak, Eunyoung;Park, Yo-Han;Lee, Sung-Gyu
    •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 /
    • 제95권6호
    • /
    • pp.303-311
    • /
    • 2018
  • Purpose: OncoHepa test is a multigene expression profile test developed for assess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rognosis. Multiplication of ${\alpha}$-FP, des-${\gamma}$-carboxy prothrombin (DCP) and tumor volume (TV) gives the ${\alpha}$-FP-DCP-volume (ADV) score, which is also developed for assessment of HCC prognosis. Methods: The predictive powers of OncoHepa test and ADV score were validated in 35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hepatic resection for naïve solitary HCCs ${\leq}5cm$. Results: Median tumor diameter was 3.0 cm. Tumor recurrence and patient survival rates were 28.6% and 100% at 1 year, 48.6% and 82.9% at 3 years, and 54.3% and 71.4% at 5 years, respectively. The site of first tumor recurrence was the remnant liver in 18, lung in 1, and the peritoneum in 1. All patients with HCC recurrence received locoregional treatment. OncoHepa test showed marginal prognostic significance for tumor recurrence and patient survival. ADV score at 4log also showed marginal prognostic difference with respect to tumor recurrence and patient survival. Combination of these 2 tests resulted in greater prognostic significance for both tumor recurrence (P = 0.046) and patient survival (P = 0.048). Conclusion: Both OncoHepa test and ADV score have considerably strong prognostic power, thus individual and combined findings of OncoHepa test and ADV score will be helpful to guide postresection surveillance in patients with solitary HCCs ${\leq}5cm$.

Deep Learning-Based Assessment of Functional Liver Capacity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Hepatobiliary Phase MRI

  • Hyo Jung Park;Jee Seok Yoon;Seung Soo Lee;Heung-Il Suk;Bumwoo Park;Yu Sub Sung;Seung Baek Hong;Hwaseong R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7호
    • /
    • pp.720-731
    • /
    • 2022
  • Objective: We aimed to develop and test a deep learning algorithm (DLA) for fully automated measurement of the volume and signal intensity (SI) of the liver and spleen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hepatobiliary phase (HBP)-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DLA-assisted assessment of functional liver capac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DLA was developed using HBP-MRI data from 1014 patients. Using an independent test dataset (110 internal and 90 external MRI data), the segmentation performance of the DLA was measured using the Dice similarity score (DSS), and the agreement between the DLA and the ground truth for the volume and SI measurements was assessed with a Bland-Altman 95% limit of agreement (LOA). In 276 separate patients (male:female, 191:85;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40 ± 15 years) who underwent hepatic resectio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DLA-based MRI indices, including liver volume normalized by body surface area (LVBSA), liver-to-spleen SI ratio (LSSR), MRI parameter-adjusted LSSR (aLSSR), LSSR × LVBSA, and aLSSR × LVBSA, and the indocyanine green retention rate at 15 minutes (ICG-R15), and determin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DLA-based MRI indices to detect ICG-R15 ≥ 20%. Results: In the test dataset, the mean DSS was 0.977 for liver segmentation and 0.946 for spleen segmentation. The Bland-Altman 95% LOAs were 0.08% ± 3.70% for the liver volume, 0.20% ± 7.89% for the spleen volume, -0.02% ± 1.28% for the liver SI, and -0.01% ± 1.70% for the spleen SI. Among DLA-based MRI indices, aLSSR × LVBSA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ICG-R15 (r = -0.54, p < 0.001), with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932 (95% confidence interval, 0.895-0.959) to diagnose ICG-R15 ≥ 20%. Conclusion: Our DLA can accurately measure the volume and SI of the liver and spleen and may be useful for assessing functional liver capacity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HBP-MRI.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ight anterior section: A prospective multicenter experience with short-term outcomes

  • Truong Giang Nguyen;Thanh Khiem Nguyen;Ham Hoi Nguyen;Hong Son Trinh;Tuan Hiep Luong;Minh Trong Nguyen;Van Duy Le;Hai Dang Do;Kieu Hung Nguyen;Van Minh Do;Quang Huy Tran;Cuong Thinh Nguyen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3
    • /
    • 2024
  • Backgrounds/Aims: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Ps-AH)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ight anterior section (RAS) is a new technique to avoid unnecessarily transecting too much liver parenchyma, especially in cases of major anatomical hepatectomy. Methods: We prospectively assessed 26 patients with primary hepatic malignancies having undergone major Ps-AH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AS from August 2018 to August 2022 (48 months). The perioperative indications, clinical data, intra-operative index, pathological postoperative specimen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follow-up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Among the 26 patients analyzed, there was just one case that had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The preoperative level of α-Fetoprotein was 25.2 ng/mL. All cases (100%) had Child-Pugh A liver function preoperatively. The ventral/dorsal RAS was preserved in 19 and 7 patients, respectively. The mean surgical margin was 6.2 mm. The mean surgical time was 228.5 minutes, while the mean blood loss was 255 mL. In pathology, 5 cases (19.2%) had microvascular invasion, and in the group of HCC patients, 92% of all cases had moderate or poor tumor differentiation. Six cases (23.1%)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graded over III according to the Clavien-Dindo system, including in three patients resistant ascites or intra-abdominal abscess that required intervention. Conclusions: Parenchymal-sparing anatomical hepatectomy based on portal ramification of the RAS to achieve R0-resection was safe and effective, with favorable short-term outcomes. This technique can be used widely in clinical practice.

Preoperative estimation of hemi-liver volume using standard liver volume and portal vein diameter ratio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 Sung-Min Kim;Amro Hasan Ageel;Shin Hwang;Dong-Hwan Jung;Tae-Yong Ha;Gi-Won Song;Gil-Chun Park;Chul-Soo Ahn;Deok-Bog Moon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8-312
    • /
    • 2022
  • Backgrounds/Aims: Although body surface area (BSA)-based standard liver volume (SLV) formulae have been used for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and hepatic resection, hemi-liver volume (HLV) is needed more frequently. HLV can be assessed using right or left portal vein diameter (RPVD or LPV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using portal vein diameter ratio (PVDR) for assessing HLV in living liver dono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92 living liver donors (59 males and 33 females) who underwent surgery between January 2020 and December 2020.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were used for measurements. Results: Mean age of donors was 35.5 ± 7.2 years. CT volumetry-measured total liver volume (TLV), right HLV, left HLV, and percentage of right HLV in TLV were 1,442.9 ± 314.2 mL, 931.5 ± 206.4 mL, 551.4 ± 126.5 mL, and 64.6% ± 3.6%, respectively. RPVD, LPVD, and main portal vein diameter were 12.2 ± 1.5 mm, 10.0 ± 1.3 mm, and 15.3 ± 1.7 mm, respectively (corresponding square values: 149.9 ± 36.9 mm2, 101.5 ± 25.2 mm2, and 237.2 ± 52.2 mm2, respectively). The sum of RPVD2 and LPVD2 was 251.1 ± 56.9 mm2. BSA-based SLV was 1,279.5 ± 188.7 mL (error rate: 9.1% ± 14.4%). SLV formula- and PVDR-based right HLV was 760.0 ± 130.7 mL (error rate: 16.2% ± 13.3%). Conclusions: Combining BSA-based SLV and PVDR appears to be a simple method to predict right or left HLV in living donors or split liver transplantation.

표층 확장형 조기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perficially Spreading Early Gastric Cancer)

  • 권성준;김형주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88-294
    • /
    • 2005
  • 목적: 표층 확대형 조기위암은 위벽 내로의 깊은 침윤은 없으면서 위의 표층부를 넓게 퍼져 나가는 성장형태가 특징이다. 이는 조기 위암 가운데 드문 형태로서 이들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은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규명 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고 조기위암이 확인된 38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가운데 종양의 최대 직경이 6 cm 이상이거나 종양의 면적이 $5{\times}5cm\;(25cm^2)$ 이상이었던 69명을 표층 확대형, 그 이하인 319명은 일반 형으로 정의하고 두 그룹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표층 확대형의 경우 일반형에 비하여 림프절 전이, 미만형, 림프관 침윤이 의미 있게 많았다. 표층 확대형에서 림프절 전이 위치는 위 주위와 총간동맥 주위, 좌위동맥 주위에 국한되었다. 종양의 변연부와 절제선까지의 거리가 10 mm 이하이나 절제선 내 암침윤은 음성이었던 6예는 추적관찰 기간($4 {\sim}13$년)동안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단 변량 생존 분석에서 58세 이상의 연령, 위 상부1/3 위치 암, 림프절 전이 예, 점막하층 침윤 예 등이 의미 있는 불량예후인자였다. 다변량 생존분석에서는 연령 및 림프절 전이 여부만이 독립적인 예후관련 인자였다. 그러나 표층 확대형 여부는 의미 있는 예 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표층 확대형 조기 위암은 조직학적으로 특징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으나 이의 치료 시 절제선 음성을 확인하며 위절제술을 시행하고 림프절은 $D1+{\beta}$범위에서 곽청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 할 수 있겠다.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배 이상 강력한 미백활성을 나타낸 반면, $100{\mu}M$ 농도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작용기전은 MITF 단백질을 조절함으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임상적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건측 보다 10도의 굴곡 제한이 있었다. 결론: 자가 슬괵 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재건술 시, 경골 부의 고정 시 슬관절의 굴곡 각도 따른 슬관절의 전방 안정성에 차이는 없었으나, 신전 위에서 고정하는 것이 과도한 이식 건의 장력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 PDF

간외담도종양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 신현수;김귀언;이형식;서창옥;노준균;이종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53-263
    • /
    • 1991
  •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연세대학교,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 내원하였던 27명의 간외담도종양환자를 대상으로 외부방사선조사 및 관내 근접조사(intraluminal brachytherapy)를 병용하였을 경우 적절한 국소관해율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방법에 대한 결과를 불완전한 절제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의 치료성적과 비교분석하였다. 16명은 남성이었고 11명은 여성이었으며, 평균나이는 58세($34\~70$세)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Linear Accelerator, 4 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고 총 조사량은 $45\~55$ Gy이었다. 관내 근접조사는 외부방사선조사후 시행하였고 Ir-192를 사용한 고선량치료기기인 Gamma-Med 12i를 이용하여 총 15Gy를 조사하였다. 최소 추적조사기간은 12개월이었다. 치료방법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대별해 보았는데, 1군(6명)은 불완전 절제술후 미시적 잔류암존재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했던 경우이고 2군(13명)은 수술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하였던 경우이며, 3군(8명)은 외부방사선조사와 관내근접조사를 병용하였던 경우로 분류하였다. 치료실패요인은 대부분 국소실패였고 원격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중앙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고 2년 생존율은 $30\%$이었다. 각 치료군에 따른 치료실패율은 1군 $67\%(4/6),\;2군\;79\%(10/13),\;3군\;38\%(3/8)$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 6개월, 10개월이었다. 또한 2년 생존율은 각각 $56\%,\;18\%,\;50\%$로서 종합적으로 1군과 3군간의 생존율과 중앙생존기간은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간외담도종양 환자의 경우 외부 방사선치료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외부방사선 치료와 관내근접조사를 병용하였을 경우 수술적 절제술이 시행되었던 경우와 비슷한 치료성적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향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방사선치료 방법이 모색되어야 하리라 생각하는 바이다.

  • PDF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의 초기 경험: 복강경 보조 원위부 위절제술 후 Billroth-I 재건술과의 비교 (The Early Experience with a 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A Comparison with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with Billroth-I Reconstruction)

  • 박종익;진성호;방호윤;채기봉;백남선;문난모;이종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1호
    • /
    • pp.20-26
    • /
    • 2008
  • 목적: 유문부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은 유문륜을 보존하여 잔위의 배출기능을 보존하고 담즙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보존 수술법으로 조기위암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강경 보조 유문부보존 위절제술(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LAPPG)의 초기 경험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원자력병원 외과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조기위암 환자 중 LAPPG (n=9)와 LADG 후 Billroth-I 재건술(n=18)을 시행 받은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양 군간의 임상병리학적 변수를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LAPPG 시행 중 유문하동맥, 우위동맥, 미주신경 간지, 유문지 및 복강지를 보존하였으며, 림프절 절제술은 우위동맥 림프절(No. 5)을 제외한 D1+$\beta$술식을 시행하였고, 유문륜 상방 $3{\sim}4\;cm$에서 원위부 위절제를 시행하였다. 결과: LAPPG을 시행 받은 환자 9명의 평균 연령은 $59.9{\pm}9.4$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1.3 : 1.0 (남자 5명, 여자 4명)이었고, LADG 후 Bill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명의 평균 연령은 $64.1{\pm}10.0$세였으며 남녀 성비는 2.6 : 1.0 (남자 13명, 여자 5명)이었다. LAPPG 군과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각각 $28.3{\pm}11.9$$28.1{\pm}8.9$개, 수술 시간은 각각 $269.0{\pm}34.4$분, $236.3{\pm}39.6$분, 술 중 출혈량은 각각 $191.1{\pm}85.7\;ml$, $218.3{\pm}156.6\;ml$, 술 후 첫 가스 배출은 각각 $3.6{\pm}0.9$일, $3.5{\pm}0.8$일에 있었고 술 후 첫 유동식은 각각 $5.1{\pm}0.9$일, $5.1{\pm}1.7$일에 섭취하였고 술 후 재원 기간은 각각 $10.1{\pm}4.0$일, $9.2{\pm}3.0$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술 후 합병증은 LAPPG 군에서 위저류증 1예와 창상 장액종 1예가 발생하였고, LADG 후 Biliroth-I 재건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는 좌외측간엽경색 1예가 발생하였다. 결론: 조기위암의 치료에 있어서 LAPPG는 기능 보존 수술 법으로 적용 가능하며, 적절한 적응증을 사용하면 임상종양학적 측면에서도 LADG 후 Billroth-I 재건술과 동등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