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iculter eigenmanni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Hemiculter leucisculus의 동종이명 (Hemiculter eigenmanni (Jordan and Metz, 1913), a Junior Synonym of H. leucisculus (Basilewsky, 1855) (Cypriniformes: Cyprinidae))

  • 조현근;김병직;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7-291
    • /
    • 2012
  • Hemiculter eigenmanni (Jordan and Metz, 1913)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emiculter leucisculus (Basilewsky, 1855)의 총모식 표본 2개체, H. eigenmanni (Jordan and Metz, 1913)의 완모식 표본에 대해 형태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2종의 일부 형태학적 차이점들은 한국에서 채집된 다수의 비교 표본들을 통하여 종내의 변이임이 밝혀졌고, H. eigenmanni는 H. leucisculus의 신참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잉어목, 잉어과)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Korean Sharpbelly, Hemiculter eigenmanni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
    • /
    • 2019
  • 치리 Hemiculter eigenmanni 정자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치리 정자의 미세구조는 잉어류 정자의 일반적인 구조와 유사하게 첨체가 없는 둥근두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짧은 중편 그리고 긴 단편모로 구성되어 있었다. 핵물질은 매우 농축되어 있고 핵와는 얕게 함입되어 있었다. 중편부에는 8~10개의 미토콘드리아가 2~3층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중편부의 세포질과 소기관은 비대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두 중심립 사이의 각도는 $145^{\circ}$로 나타났다. 핵과 편모는 두 중심립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었다.

임하호 탁수역에 서식하는 치리 (Hemiculter eigenmanni)의 조직과 혈장단백질 (Tissues and Plasma Proteins of Hemiculter eigenmanni in Muddy Water of Imha Reservoir)

  • 이청;신명자;이종은;서을원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13-220
    • /
    • 2006
  • 탁수가 어류의 조직과 혈장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탁수역인 임하호와 비탁수역인 안동호에 서식하는 치리 (Hemiculter eigenmanni)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탁수역에 서식하는 치리의 아가미에서는 이차새변의 만곡, 곤봉화, 부종 및 상피세포 박리 현상 등이 나타났고, 신장에서는 사구체의 크기가 다소 작아지는 수축현상과 조직의 괴사 및 공포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간세포의 수가 적어졌으며 크기가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아가미 표면을 관찰한 결과 일차새변과 이차새변 사이에 다량의 이물질과 기생충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장 단백질 중 47Kda단백질은 탁수역에 서식하는 치리에서만 확인되었고, 혈장내 ferritin은 탁수역 치리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이 Fe-3가 확인되었다.

한국산 살치속(Hemiculter) 어류의 분자계통분류학적 위치 (Molecular Phylogenetic Status of Korean Hemiculter Species)

  • 김맹진;이재성;송춘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2-78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phylogeny and genetic differences among local populations of Korean Hemiculter fishes based on their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Hemiculter leucisculus populations in China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Group 1) included the populations of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Qiantangjiang, Lingjiang, Jiulongjiang, and Minjiang rivers); the second group (Group 2) contained local populations from southern China (including the Nanliujiang, Zhujiang, Wanquanhe, Qianjiang, and Nandujiang rivers). The Korean Hemiculter eigenmanni differed in its cytochrome b gene sequence by 0.6-1.0%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Group 1), which inhabited the Yangtze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s, suggesting they were phylogenetically close and likely to be the same species.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the Chinese H. leucisculus (both Groups 1 and 2) by 8.1-9.5%, indicating a very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however, the Korean H. leucisculus differed from Hemiculter bleekeri by only 0.5-0.7%, showing intraspecific nucleotide differences. We conclude that the taxon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H. leucisculus and H. bleekeri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using type specimens.

섬진강의 유로변갱이 동진강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am Modification in the Seomjin River on the Fish Communities of the Dongjin River in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9-556
    • /
    • 1984
  • 1982년 7월부터 1984년 5월까지 동진강의 본류와 여러 지류에서 채집된 담수어류는 모두 10과 38속48종이고 기수역에서는 해산어류 17속 18종이 동정되었다. 동진강 본류의 우점종은 Rhinogobius brunneus 와 Zacco platypus이고, 각 지류에서는 Abbottina springeri, Hemiculter eigenmanni 및 Moroco oxycephalus 등이며 특히 본 조사 수역에서 Pelteobagrus nitidus 와 Lefua costata의 서식이 확인된 것은 담수어의 지리적 분포에 있어 주목되는 사실이다. 한편 섬진강 수류가 동진강에 유입되므로 인하여 섬진강에 서식하던Hypomesus olidus,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sp., Liobagrus mediadiposalis, Cobitis taenia striata 및 Lepomis macrchirus가 도입되었으나 이 어류들은 모두 생태적으 로 안정되지 않았다. 동진강 본류의 중간수역에는 섬진강에서 도입된 Cobitis taenia striata와 동진강 중하류에 서식하는 C. taenia lutheri의 2아종이 재결합하여 형성되었다고 추측되는 중간형의 많은 표본이 출현하였다. 한편 동진강 본류와 상중류에 서식하는 C. koreensis의 체측반문의 모양자 수는 C. koreensis의 다른 지리집단의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큰 차이가 있었는데, 이것도 섬진강 수류의 유입에 의한 찬 수온과 빠른 유속 등의 환경에 기인된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in Hapcheon Lake on the Hwang River)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1-141
    • /
    • 2005
  • 본 연구는 2004년 5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합천호를 중심으로 댐 내부에서 4곳, 댐 상 하류 하천에서 각각 1곳씩 모두 6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두 12과 31속 36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 기간동안에 출현한 어류 가운데 우점종으로는 H. eigenmanni로 전체 어류의 28.4%의 출현률을 나타내었고, 아우점종으로는 H. labeo가 24.1%였다. 또한 출현한 어류 중 생산량이 가장 높은 어종은 H. labeo로서 전체의 36.5%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는 H. eigenmanni 22.3%, C. carpio 7.5%, H. nipponensis 6.9%의 순이었다. 합천댐 일대에서 종별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분류군은 Cyprinidae 어류가 24종으로 전체의 66.7%였고, 그 다음으로는 Cobitidae와 Centropomidae가 각각 2종씩이고, 나머지는 1종씩이었다. 본 조사 구역에서 출현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어종은 모두 10종, A. koreensis, C. splendidus, S. gracilis majimae, S. chankaensis tsuchigae, M. yaluensis, H. eigenmanni, N. multifasciata,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 등이며, 이 중 H. eigenmanni와 C. herzi는 출현 개체수가 많았으나, 그 외의 종은 비교적 희소하였다. 본 합천댐에서 출현하는 어류 중에서 외래어종은 C. carpio (Israeli), C. cuvieri, L. macrochirus이었고, 우리나라의 다른 하천에서 유입된 P. fulviraco가 확인되었다.

임하호의 탁수가 어류상 및 어류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ddy Water in Imha Reservoir on the Ichthyofauna and Fish Growth)

  • 한승철;이학영;서을원;심재헌;이종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04-1110
    • /
    • 2007
  • 2005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안동호와 임하호의 어류상과 서식하는 어종인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백조어(Culter brevicauda) 그리고 치리(Hemiculter eigenmanni)의 길이-무게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 결과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안동호와 임하호 각각 7과 20종 2,540개체, 4과 11종 850개체였으며, 끄리, 백조어, 치리의 개체수는 안동호에서 총 486개체, 임하호에서는 총 124개 체로 조사되었고, 이들 공서 어류는 길이가 비슷한$({\pm}2.5$ mm) 171개체를 비교하였다. 안동호에 서식하는 끄리, 백조어, 치리의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각각 TW = $0.000007TL^{3.0543}$, TW = $0.0000009TL^{3.3654}$, TW = $0.000001TL^{3.3872}$로 나타났으며, 임하호에서는 각각 TW = $0.00002TL^{2.8493}$, TW = $0.00001TL^{2.8744}$, TW = $0.000004TL^{3.1082}$로 나타났다. 비대지수에서는 안동호에서는 3종 모두 기울기가 양의 값으로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하호에서는 치리를 제외한 2종에서 기울기가 음의 값을 나타내어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비대지수를 알아본 결과 끄리와 백조어에서 안동호의 개체가 임하호의 개체보다 비대한 경향을 보였으며, 치리는 임하호의 개체가 더 비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천의 서식처별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징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by Habitat Type and Population of Zacco platypus in the Tan Stream)

  • 최준길;장창렬;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0
    • /
    • 2011
  • 2009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탄천 9개 미소서식지에서 어류상과 피라미 개체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한 어종 중 한국고유종은 Hemiculter eigenmanni와 Odontobutis interrupta로 2종(11.8%)이었으며 국외도입종은 Microterus salmoides 1종 이었다. 우점종으로는 Zacco platypus, 아우점종으로는 Carassius auratus 이었다. 서식처별로는 댐형 웅덩이, 사행형 웅덩이, 평여울, 거석형 웅덩이 등에서 Carassius auratus가 우점하였고, Pseudogobio esocinus는 샛강, Rhinogobius brunneus는 급여울, Z. platypus 는 개방형 하도습지, 낙차형 웅덩이, 폐쇄형 웅덩이 등에서 우점하였다. Z. platypus의 성장도와 비만도의 회귀계수 b값이 3.29의 값으로 나타났고 PCA 분석 결과 탄천에서 크게 3개의 Group으로 나누어졌다. 탄천의 서식처 별 Bray-Curtis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차형 웅덩이와 폐쇄형 하도습지가 65.9%로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4%로 댐형 웅덩이와 급여울이 가장 대조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상북도 포항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 유동재;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이진희;강경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3-370
    • /
    • 2008
  • The ichthyofauna of certain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were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7-19,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9,480 individuals (ind.) belonging to 22 species, 17 genera, 8 families and 4 orders were collected. Of these, 11 species were cyprinidae fishes,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47.14%). There were six Korean endemic species (289 ind., relative abundance 3.04%), including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mulimaculatus, Hemiculter eigenmanni, Iksookimia yongdokensis and Coreoperca herzi, and the dominant Korean endemic species was Pseudobagrus brevicorpus (relative abundance 3.04%) collected in Hoehakji, Cheonggyeji, Ahnsimji and Mabukji. There were five introduced species. Three species, including Hemiculter eigenmanni, Pseudobagrus fulvidraco and Hypomesus nipponensis, were introduced from other native stream systems, and two species, including Carassius cuvieri and Lepomis macrochirus, originated in foreign countries. Of these, Lepomis macrochirus (l,521 ind., relative abundance 16.05%) was collected at the all reservoirs except at Gidongji.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otic fishes in question have been widely dispersed within the reservoirs in Pohang-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