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atologic disease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인의 다발성골수종 환자에서 MicroRNA-221의 발현 (Expression of MicroRNA-221 in Korea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 최우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7-204
    • /
    • 2018
  • 다발성 골수종(MM)은 혈액 종양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 최근에 다발성 골수종 진단에 microRNA를 이용한 실험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우리는 다발성 골수종 진단 마커로 miR-221을 이용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른 혈액학적 질환이 없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icroRNA 추출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였다. 우리는 다발성 골수종의 microRNA 표적 유전자로 miR-15a, miR-16, miR-21, miR-181a 그리고 miR-221을 선택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fold change 값을 기준으로 1.5이상 또는 -1.5 미만의 결과를 유의성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Fold change 값은 인간 유전자 SNORD43에 의해 표준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다. Fold change 값이 1.5 이상은 "overexpression", -1.5 미만의 값은 "underexpression"으로 정의되었다. miR-221의 65.0% (13/20)에서 "overexpression"으로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형질세포가 30% 이상인 그룹과 이하의 그룹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MiR-221은 서구인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miR-221이 다발성 골수종 환자 진단에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miR-221은 한국인의 다발성 골수종 진단 또는 예후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면역기능저하 환자에서 폐진균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Pulmonary Mycoses in Immunocompromised Hosts)

  • 서지영;박상준;강경우;고영민;김태성;정만표;김호중;한정호;최동철;송재훈;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199-1213
    • /
    • 1998
  • 연구배경 : 최근 면역기능저하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에 있어서 새로 발생된 설명이 불가능한 폐침윤은 매우 흔하면서도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다. 폐진균증은 이런 임상상에서 폐침윤의 중요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0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면역기능저하 환자 중 새로운 폐침윤이 있었던 환자로 조직학적으로 폐에서 진균이 증명되었거나 정상적으로 균이 자리지 않는 부위(sterile)에서 시행한 배양검사장 진균이 배양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정, 방사선학적 소견, 진단적 검사, 치료 및 그 결과에 대해 후향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13명의 환자 (M : F=8 : 5, 연령 중앙값 47세)에서 14예의 폐진균증이 진단되었다. 진단은 asperogillosis가 12예였고 mucormycosis가 2예였다. 혈액암 환자 9명에서 10예, 장기이식 환자에서 4예의 폐진균증이 진단되었다. 3예에서는 진단당시 경험적 amphotericin B를 중앙값 9일(8-21일)간 투여받고 있었다. 혈액암군 10예 중 9예에서 폐침윤 발견당시 백혈구 감소증이 중앙값 16일동안 지속되었으며 발열(9/10), 기침(6/10), 가래(5/10), 호흡곤란(4/10), 흉통 (5/10), 악설음(4/10) 등의 증상과 징후가 흔하게 관찰되었다. 반면에 장기이식환자군에서는 증상 및 징후가 뚜렸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p<0.05). 단순 흉부촬영상으로 새로운 폐침윤은 단일 혹은 다발성의 결절(6/14)이나 경결(consolidation)(8/14)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흉부 단층촬영상에서는 간유리음영(14/14), 흉수(5/14), 동공형성(7/14)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확진한 방법으로는 개흉술이 10예, 비디오 흉강경술이 2예, 경피적침흡인술이 1예, 농양의 농 배양검사가 1예였다. 모든 환자는 amphotericin B(591-2806mg) 투여를 받았으며 1예에서 liposomal amphotericin B, 1예에서 경구 itraconazole로 치료를 부분적으로 시행하였다. Amphotericin B 투여 후 12/14예에서 폐병변의 호전이 관찰되었으며 14예중 4예에서 사망하거나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퇴원하였다. 결 론 : 혈액암의 치료로 과립구감소증이 있는 환자나 장기이식 환자에서 새로운 폐침윤이 결절이나 경결의 형태로 발현하면, 증상이 미미하거나 경험적 amphotericin B를 투여하고 있더라도 폐진균증을 의심을 해야하며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로써 예후를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페리틴혈증의 원인과 적혈구 수혈 (Causes of Hyperferritinemia and Red Blood Cell Transfusion)

  • 김미선;김선형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3-281
    • /
    • 2018
  • 배경: 만성 적혈구 수혈 환자에서 철과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페리틴 검사를 시행하는데, 페리틴은 체내 저장철의 양을 반영하지만, 염증, 감염 등에서도 비특이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페리틴혈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페리틴이 증가한 원인을 분석하고 적혈구제제 수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본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페리틴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시행한 페리틴 검사에서 1,000 ng/mL이상의 결과를 보인 경우를 고페리틴혈증으로 정의하고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페리틴 검사와 함께 시행된 혈청 철, TIBC (Total iron bind capacity), CRP (C-reactive protein) 검사결과와 진단명 등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고페리틴혈증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해당 기간 동안 고페리틴혈증 결과를 보인 건은 238명 환자에서 417건이었다. 질환별로는 혈액종양질환이 31명에서 125건(30.0%)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질환이 두번째로 많았다. 철과잉이 의심되는 경우는 33명 환자에서 119건이었으며, 이 중 검사 시행 전 1년 동안 적혈구제제수혈이 8단위를 초과한 경우는 12명(76건)이었다. 결론: 고페리틴혈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실제 철과잉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저질환의 영향이 있었고 만성 적혈구제제 수혈과도 연관이 있었다. 체내 철 저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페리틴 외에 CRP, 철 포화도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습관적인 철분제제 처방, 잦은 수혈 처방시에 철과잉 발생 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아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에서 골수흡인 검사의 적응 (Indication of Bone Marrow Aspiration in Acute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n Children)

  • 김원덕;하정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39-245
    • /
    • 2001
  •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소아에서 비교적 흔한 혈액학적 질환 중의 하나이다. 확진을 위하여 대개 골수흡인 검사를 시행하는데 이는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과 같은 다른 심각한 혈액학적 질환을 배제하고 또한 스테로이드 치료를 고려할 경우 진단이 늦어 질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전형적인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 치료 시 면역글로부린 정주요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골수흡인 검사의 필요성에 대하여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질환을 의심하는 경우에 골수흡인 검사의 적절한 시행을 위한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1984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의심되어 골수흡인 검사를 시행하였던 3개월 이상 15세 이하의 환아 120명을 대상으로 내원시 진찰소견, 병력, 혈액학적 검사 소견, 말초혈액도말 검사소견을 기준으로 전형적인 경우와 비전형적인 경우로 구분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 의심되어 골수흡인 검사를 시행한 환아 120예 중 전형적인 경우가 66예, 비전형적인 경우가 54예였다. 골수흡인 검사 결과 전형적인 경우는 66예 전예에서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으로 확진되었으며, 비전형적인 경우는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 52예(96%), 재생 불량성 빈혈이 1예(2%), 골수 이형성증이 1예(2%)로 나타났으나 백혈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소아 급성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은 전형적인 병력, 진찰소견 및 말초혈액학적 검사 소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므로 확진을 위한 골수흡인 검사는 필요하지 않고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다른 혈액학적 질환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골수흡인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 PDF

종합병원 분만아의 신생아실 재원기간중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 질환발생과 제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hysical Status of New Born Babies in Nursery at a Hospital in Seoul. - For Relationship between Neonatal Diseases and risk factors. -)

  • 박애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98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e out the general physical status of the neonate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the mothers and the neonates whic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eonatal diseases during hospitalizatio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clinical records of 1098 neonates born in Seoul Red cross Hospital between January 1st of 1984 and December 31th of 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nal group. 1) The average of maternal age was 26.6 years, the $91.7\%$ of the mothers de liveried at the age of 20-34 years old. 2) The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delivey were as follows : spontaneous delivery $39.9\%$, cesarean section $32.4\%$, vaccum extraction $25.7\%$, and breech delivery$2.0\%$. 3) The $40.3\%$ of the total de liveried mother had experienced abortion. 4) The $42.3\%$ of the total deliveried mother had one or more obstetric risk factors.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eonatal group. 1) In the distribution of sex, male was $49.4\%$, female $50.6\%$. 2) The average of birth weights was 3,020gm. The distribution of birth weight were as follows; nomal weight $85.5\%$, low birth weight $12.7\%$ and high birth weight $2.5\%$. 3) The average of gestational age was 39.2 weeks. The distribution of gestational age were as follows; full term $77.4\%$, preterm $13.7\%$, and postterm $8.9\%$. 4) The average of Apgar Score was 9.0 at one minute and 9.6 at five minutes. 5) The $5.7\%$ of the neonates had one or more neonatal risk symptoms and signs at birth. 3. Apgar Score by the maternal and neonatal factors. In Apgar Score at one minute,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abnormal group. Apgar Score at five minute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at one minute. 4. The distribution of the maternal risk factors and the neonatal risk factors. 1) The total numbers of the maternal risk factors were 1376. The distribution of the maternal risk factors were as follows: obstetric factor $33.7\%$, abortion $32.2\%$, breech and cesarean section delivery $27.5\%$ and maternal age under 19 years and over 35 years $6.6\%$. 2) The total numbers of the neonatal risk factors were 517. The distribution of the neonatal risk factors were as follows: gestational age under 37 weeks and over 42 weeks $48.0\%$, birth weight under 2500gm and over 4000gm $12.2\%$, Apgar score under 4 at one munute $6.4\%$ and Apgar score at five munutes $2.7\%$. 3) The total numbers of the obstetric risk factors were 661. The types of the obstetric risk factors were meconium stained amniotic fluid $22.0\%$,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17.5\%$. absence prenatal care $14.1\%$, unmarried pregnancy $10.3\%$, placenta problem $9.0\%$, toxemia $8.0\%$. 4) The total numbers of the neonatal risk symptoms and signs at birth were 83. The types of the neonatal risk symptoms and signs were respiratory distress $65.1\%$, neonatal apnea $14.4\%$, convulsion $13.3%$,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4.8\%$, cyanosis $2.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risk factors and the neonatal risk factors. 1) Maternal age under 19 years or over 35 yea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pgar Score under 4 at 5 minutes. 2) Breech delivery or cesarean se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neonatal risk factor at birth such as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Apgar Score at one minute and at five minutes. and neonatal risk symptoms and signs. 3) Obstetric risk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eonatal risk factors at birth. 4) Abortion was not related to the neonatal risk factors. 6. The relationship between neonatal diseases during hosptalization and the maternal or the neonatal risk factors. 1) The total numbers of neonatal diseases during hospitalization were 281. The distribution of neonatal diseases were as follows: birth trauma $38.1\%$, infectious disease $31.3\%$, hematologic disease $21.4\%$, respiratory disease $6.0\%$, neurologic disease $2.5\%$. cardiovascular disease $0.7\%$. 3) Most maternal risk factors except abor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eonatal diseases. 4) Most neonatal risk factors at birt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eonatal diseases.

  • PDF

석고(石膏)가 만성 신부전 Rat의 신기능 보호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ypsum Fibrosum on Renal Functional and Histopathological Disorder in Chronic Renal Failure Rat Model)

  • 변상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71-886
    • /
    • 2008
  • Objective : Gypsum fibrosum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treatment of febrile diseases and recently been shown to have anti-inflammatory effect. Chronic renal failure has a serious clinical symptoms including proteinuria, azotemia, anemia, and hyperlipidemia and has characteristic histopathological changes, glomerular hypertrophy,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crescentic sclero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ypsum fibrosum on renal functional and histopathological disorder in chronic renal failure rat model induced 5/6 nephrectomy. Methods : Using Sprague-Dawley rats, CRF was induced by 5/6 nephrectomy. The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conrol, and gypsum administered orally with gypsum fibrosum 500mg/kg/day. Body weight, 24 hr proteinuria, hematologic analysis, and histological morphologic changes were followed up after 8 weeks. The glomerular macrophage/monocyte infiltration, $TGF-{\beta}_1$, type IV collagen, and angiotensin II type1 receptor($AT_1$)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Resuls : In the CRF control group, functional parameters and histopathologic changes clearly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CRF. 24 hr proteinuri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RF control group over the normal group, and serum creatinine level was lower in the gypsu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L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ypsu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showed a variety of characteristic features of CRF, glomerular hypertrophy, increasing cellular density of glomerulus, de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fibrotic change, and glomerular sclerosis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gypsum group, these features diminished significantly. In observation of renal type IV collagen and $AT_1$ expression, positive are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over the normal group, and i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ypsu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gypsum fibrosum inhibits $AT_1$ and type IV collagen expression in renal tissues and attenuates progression of glomerulosclerosis and interstitial fibrosis in chronic renal failure rats, which lead to amelioration of renal func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ypsum fibrosum may have renoprotective effects and could be a useful remedy agent for treating chronic renal failure.

  • PDF

Is Early Detection of Colon Cancer Possible with Red Blood Cell Distribution Width?

  • Ay, Serden;Eryilmaz, Mehmet Ali;Aksoy, Nergis;Okus, Ahmet;Unlu, Yasar;Sevinc, Bari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753-756
    • /
    • 2015
  • Background: 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 is one of the standard parameters with blood cell counts. Much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it increases in cases of systemic inflammation or cardiametabolic incident. However, information on the relation of RDW with solid tumors causing systemic inflammation is limited. In the present research, we examined the relation of RDW with malignant and benign lesions of the colon. Materials and Methods: 115 patients with colon polyps (group 1), and 30 with colon cancer (group 2) who were diagnosed histopathologically in our clinic between January 2010-January 2013 were scann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anemia, hematologic diseases and active inflammation were excluded. RDW, mean corpuscular volume (MCV), hemoglobin (Hgb) and platelet (Plt) measurements were recorded and their relations with the malignant and benign lesions of the colon were examined. Results: Both groups were similar in age and gender distribution. RDW values of patients with colon canc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atients with colon polyp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MCV and Plt values (p>0,05). Conclusions: RDW can be used as an early warning biomarker for solid colon tumors. Further prospective research is required on the relations of cheap and easily measured RDW parameters with colon malignancies.

Inhibition of MicroRNA-221 and 222 Enhances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via c-KIT Upregulation

  • Lee, Ji Yoon;Kim, MyungJoo;Heo, Hye-Ryeon;Ha, Kwon-Soo;Han, Eun-Taek;Park, Won Sun;Yang, Se-Ran;Hong, Seok-H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1호
    • /
    • pp.971-978
    • /
    • 2018
  • The stem cell factor (SCF)/c-KIT ax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PSCs), but its regulatory mechanisms involving microRNAs (miRs) are not fully elucidated. Here, we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with SCF increases the hematopoietic differentiation of hPSCs via the interaction with its receptor tyrosine kinase c-KIT, which is modulated by miR-221 and miR-222. c-KIT is comparably expressed in undifferentiated human embryonic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e inhibition of SCF signaling via treatment with a c-KIT antagonist (imatinib) during hPSC-derived hematopoiesis resulted in reductions in the yield and multi-lineage potential of hematopoietic progenitors. We found that the transcript levels of miR-221 and miR-222 targeting c-KI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luripotent state than they were in terminally differentiated somatic cells. Furthermore, suppression of miR-221 and miR-222 in undifferentiated hPSC cultures induced more hematopoiesis by increasing c-KIT expression. Collectively, our data implied that the modulation of c-KIT by miRs may provide further potential strategies to expedite the generation of functional blood cells for therapeutic approaches and the study of the cellular machinery related to hematologic malignant diseases such as leukemia.

성장 장애를 보인 영아에서 발현된 주폐포자충 폐렴 1례 (A Case of Pneumocystis carinii Pneumonia in an Infant with Failure to Thrive)

  • 공선희;이호준;김수연;김학성;이동우;김재윤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95-99
    • /
    • 2005
  • 주폐포자충 폐렴은 면역 기능이 억제된 환자군에서 발병률이 높은 감염성 질환으로 특히, 후천성 면역 결핍증이나 백혈병 등의 혈액 종양 환자군, 심한 영양 결핍 환자군, 장기 이식 환자군, 고용량의 부신 피질 호르몬 사용 환자군 등이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차성 면역 결핍증에 이환된 환아에서 주폐포자충 폐렴의 증례가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상기 위험군에는 속하지 않으나, 10여일 정도의 수유부진 후 빈호흡을 보인 영아에서 흉부 방사선 소견상, 폐양측에 간질성 침윤이 관찰되었고 기관지내 삽관으로 흡인한 객담의 Gomori-methenamine silver 염색 검사상 주폐포자충이 검출되어 주폐포자충 폐렴으로 확진 후 TMP-SMX 14일 투여로 호전을 보인 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2례 (Two Cases of Acute Renal Failure Complicating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in Children)

  • 류정민;안요한;이소희;최현진;이범희;강희경;강형진;신희영;하일수;정해일;안효섭;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21-226
    • /
    • 2008
  • PNH는 혈관내 용혈, 야간 혈색소뇨, 혈전증, 골수부전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적 질환이며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급성 신부전은 PNH의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 소아에서의 보고는 아직 없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PNH로 인한 급성 신부전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용혈을 동반한 소아의 급성 신부전의 감별 진단에서 PNH가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