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etal Pollution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1초

Evaluation of Electrokinetic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Tailing Soils

  • Kim, Soon-Oh;Kim, Kyoung-Woong;Yun, Seong-Tae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40-43
    • /
    • 2002
  • Electrokinetic remediation was studied for the removal of toxic heavy metals from tailing soils. This study emphasized the dependency of removal efficiency upon heavy metal speciation, as demonstrat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sequential extraction, total digestion, and 0.1 N HC1 extraction). The tailing soils examined showed differ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view of initial pH,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major mineral constituents, and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target metal contaminants in various forms. The electrokinetic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partitioning prior to treatment, and by the pHs of the tailing soils. The mobile and weakly bound fractions of heavy metals, such as exchangeable fraction, were easily removed by electrokinetic treatment (more than 90% in removal efficiency), whereas immobile and strongly bound fractions, such as organically bound and residual fractions, were not effectively removed (less than 20% in removal efficiency).

  • PDF

구봉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nd cyanide in tailings, soils, and stream sediments around Gubong disused mine)

  •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7
    • /
    • 1999
  • 구봉광산의 광미와 주변 밭과 논의 토양 및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분포 및 오염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광미 중의 As, Cd, Cu, Hg, Pb, Zn및 CN ̄의 평균농도는 각각 6.93$\times$$10^{3}$, 56.9, 209, 5.03, 3.25$\times$$10^{3}$, 1.89$\times$$10^{3}$, 21mg/kg이었고 Kloke가 제안한 허용기준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오염지수는 42~95이었으며 pH는 약알칼리성이었다. 광산과 인접한 밭 토양 중의 중금속과 시안 함량은 논 토양보다 높았다. 하상퇴적물 중의 중금속과 시안 함량은 광미 중의 분석치정도로 많이 검출되었다.

  • PDF

Peat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Cd, Cu, Zn의 흡착(吸着) (Adsorption of Heavy Metals Cd, Cu and Zn on Peat)

  • 한강완;최현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0
    • /
    • 1992
  • 매장량(埋藏量)이 풍부한 peat를 중금속(重金屬) 흡착제(吸着劑)로서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확인(確認)하기 위한 실험(實驗)을 행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았다. Peat의 입자(粒子)가 적을수록 중금속(重金屬) 흡착(吸着)이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동일(同一) 농도용액(濃度溶液)에서 중금속(重金屬) 흡착량(吸着量)은 $Cu^{2+}$ > $Cd^{2+}$ > $Zn^{2+}$순(順) 이었다. Peat는 pH $4{\sim}5$사이에서 중금속(重金屬)의 최대흡착(最大吸着)이 일어났다. 중금속(重金屬)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중금속(重金屬)의 흡착량(吸着量)의 증가(增加)되었으나 흡착율(吸着率)은 감소(減少)되었다. Peat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이온흡착은 Freundlich 흡착등온식(吸着等溫式)에 잘 적용(適用)되므로 효과적(效果的)인 흡착제(吸着劑)로 생각되며 peat에 PEI(polyethylenimine)를 처리(處理)하면 중금속(重金屬)의 흡착량(吸着量)이 증가(增加)하여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중금속(重金屬) 흡착후(吸着後) peat의 처리방법(處理方法)은 열량(熱量)이 풍부하여 연료원(燃料源)으로 사용후(使用後) 용량(容量)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經濟的)인 처리방법(處理方法)으로 생각된다.

  • PDF

낙동강 본류에 분포하는 표층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Main Stream)

  • 김신;이권철;김주언;정강영;안정민;김형근;이인정;신동석;양득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1-324
    • /
    • 2017
  • To certificate change i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ain stream of the Nakdong River, surface sediments from 12 sampling sit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half year (total 24 sampling si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and heavy metal content. Surface sediments mainly composed of sand (coarse and medium sand) and fining changed from the first half to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and heavy metals content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Some heavy metals (Zn, Ni and Cu) were found to be at the lowest effect levels according to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Additionally, most heavy metals were found to be at the non polluted level and level I according to USEPA sediment quality standards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sediment pollution evaluation standard, respectively. The enrichment factor (< 1) and index of geoaccmulation (< 0) were non polluted in the study area.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and heavy metal conten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grain size. Regarding changes i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grain size fine and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 content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year. Nonetheless these results indicated pollution levels that did not adversely affect the benthos.

Detection of Heavy Metal Ions in Aqueous Solution Using Direct Dye Chemosensors

  • Heo, Eun-Yeong;Ko, Young-Il;Bae, Jin-Seok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57
    • /
    • 2009
  • Since heavy metal pollution is a significan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and very dangerous to human health, the improved methods for detecting heavy metals are required recently. Colorimetric chemosensors are now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alytical method used in the environment monitoring. New direct dyes having the function of colorimetric chemosensors were synthesized. When metal ions such as $Al^{3+}$, $Ca^{2+}$, $Cd^{2+}$, $Cr^{3+}$, $Cu^{2+}$, $Fe^{2+}$, $Fe^{3+}$, $Hg^{2+}$, $Li^+$, $Mg^{2+}$, $Na^+$, $Ni^{2+}$, $Pb^{2+}$ and $Zn^{2+}$ were added each solution of new direct dyes, the color of solution was changed and can be easily detected with naked eyes without expensive experimental equipment such as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AS) or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er (ICP-MS). The new benzidine analogues were diazotized and reacted with couplers such as H-acid, J-acid, Chromotropic acid, Nevill-winther acid and gamma acid to synthesize new direct dyes. The structures of the new direct dyes were confirmed by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er (FAB ionization) and evaluated with UV-Vis spectroscopy. The UV-VIS spectroscopy was measured for the dye solutions by add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metal 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absorbance in UV-Vis spectra was changed as the heavy metal ions were added.

진곡광산 광미와 주변 토양의 오염조사 (Analysis of mine tailings, field soils, and paddy soils around Jingok abandoned mine)

  •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5-183
    • /
    • 1999
  • 진곡광산의 광미와 주변 밭과 논의 토양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오염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광미 중의 As, Cd, Cu, Hg, Pb, Zn및 CN ̄의 평균농도는 각각 3.94$\times$$10^3$, 14.3, 266, 6,13, 4.07$\times$$10^3$, 2.51$\times$$10^3$, 1.19mg/kg이었고 Kloke가 제안한 허용기준치를 이용한 오염지수는 32~58 이었으며 pH 는 약산성이었다.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한 중금속 농도는 광미와 인접한 일부 토양만을 제외하고는 토양환경보전법의 농경지 우려기준이하였다.

  • PDF

폐광산지역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존재형태와 토양오염평가 (Fraction and Soil Pollution Asse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cultivated land soils near the abandoned mine)

  • 김휘중;양재의;이재영;최상일;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4호
    • /
    • pp.53-63
    • /
    • 2003
  • 연구의 목적은 옥동천 유역 토양의 중금속의 존재형태와 존재형태에 따른 중금속의 오염지수를 산정하는데 있다. 토양채취는 경작지 토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토양은 물리적 특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작지 토양의 pH는 5.2에서 7.6을, 총질소 함량과 loss on ignition은 각각 0.6∼2.5%, 1.9∼12.9%를 나타냈다.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농도는 폐광된 탄광지역의 논토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중금속의 농도는 Zn > Pb > Ni > Cu > Cd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환경기준치와 비오염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농도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중금속 중 일부분이 이동 가능성이 있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 평가지수(SPAI)는 조사지 토양에서 Non polluted와 Moderately polluted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 이동성 형태보다는 이동성 형태의 값이 났게 나타났다. 경작지 토양에서 중금속 존재형태와 SPAI 값은 중금속에 의한 오염과 식물체에 미치는 잠재적인 유해한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서 결과에서 보여진 폐탄광지역의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서 신속한 대책이 필요하다.

통계지표를 활용한 부산지역 조선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조사 연구 (A Geo-statistical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oil Around a Ship Building Yard in Busan, Korea)

  • 최정식;전수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07-915
    • /
    • 2018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중금속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 지수는 배경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중금속 오염농도를 정규화 시킴으로써 토양 오염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단계 별로 오염 정도를 판단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축인자(Enrichment factor, EF), 축적 계수(accumulation index), 잠재적 생물학적 위험 지표(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등을 이용하여 중공업 근처 토양 내 중금속 오염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금속의 오염 정도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특정 위치에서 아연, 구리, 납 등의 중금속 오염이 관찰 되었다. 농축인자, 축적계수, 생물학적 위험 지표를 통해 일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우려할 수준이며, 주변에 존재하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추가 시료채취 및 추정되는 오염원의 시료 확보 후, 동위원소 분석 및 x-ray 기반 분석을 통해 오염원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분에 의한 납의 오염도 분석과 그 방제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and Control of Pb Pollutions of Soils by Pollens)

  • 장남기;고영현;홍순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48
    • /
    • 1998
  • In this paper, pollen types of plants and Pb, N, P, K, Ca and Na in pallens of trees were investigated to control the air and soil pollutions. Morphological types of about 500 species of plants were identified to make the best use of paleontology, medicine and pharmacy. There were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b, N, P, K,Ca and Na contents in pollens and soils, respectively. A heavy metal, Pb, contained in pollens was not absorbed by rats. This fact should be utilized to purify air and soils polluted by Pb. Key words: Pb, Pollen, Pollution, puripication, Control.

  • PDF

대전시의 가로수 수피 및 표사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s and Barks of Roadside Trees in Taejon)

  • 오인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9-24
    • /
    • 1992
  • 대전시 도로변의 대기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간선도로변, 외곽의 도로변 및 보문산의 가로수 중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은행나무 (Ginkgo biloba) 및 백합나무(Lirodendron tulipifera) 를 선택하여 그 수피내의 납과 카드뮴의 축적량을 측정하고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피내의 납 축적량은 가로수의 수피에서는 2-1109ppm 으로 보문산 지역의 수피내의 함량이 5-11ppm 인데 비하여 지역에 따라 차이도 심하고 농도가 높았다. 또한 교통량과의 관계는 차량통행량의 증가에 따라, 특히 병목 현상이 심한 지역에서 납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차량 통행량 증가에 따라 수피내의 중금속의 최대 축적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비하여 가로수 수피내의 카드뮴 축적량은 보문산 수피내의 축적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변이가 적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