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Shock Protein 64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의 피부 열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Dunaliella salina Extracts on Thermally-Induced Skin Aging)

  • 주지혜;석지현;홍인기;김남경;최은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7-64
    • /
    • 2016
  • 자외선과 유사하게 열에 의한 콜라겐 분해와 비정상적인 탄력섬유의 축적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열노화라 칭한다. 두날리엘라 살리나는 녹조류로 베타카로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노화에서의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두날리엘라 살리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열노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열을 가한 피부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MP-1과 type I procollagen 발현을 ELISA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증가된 MMP-1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키며, type I procollagen 단백질 발현량은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에 의해 콜라겐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HSP47 mRNA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염증매개인자(TGF-${\beta}$, IL-12 등)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탄력섬유의 구성성분인 tropoelastin과 fibrillin-1 단백질 발현과 MMP-12 발현 조절을 통해 열에 의해 유도된 일광탄력섬유증을 조절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두날리엘라 살리나 추출물이 열에 의해 유도된 피부열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을 확인하였다.

잎들깨 수량과 단백질체 발현에 미치는 UV-B의 영향 (Effect of Elevated Ultraviolet-B Radiation on Yield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ome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홍성창;황선웅;장안철;신평균;장병춘;이철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UV-B 선량이 적고 외기와 차단되어 노지와 다른 생육환경 하에서 작물이 생육하게 된다. 본 연구는 UV-B 저선량 상태인 비닐하우스 재배 잎들깨에 UV-B를 처리하여 수량과 생리변화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UV-B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잎들깨 수관으로부터 150, 120, 90 cm에서 처리하여 각각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50% 증가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을 다른 광의 간섭이 없는 밤 9시부터 2시간씩 30일간 처리하였다. UV-B 처리에 의한 잎들깨 수량은 비닐하우스, 노지 자연량 150% 증가량,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 처리 순이었다. 7월 20일의 자연 UV-B 선량은 노지 13.6 kJ/일, 비닐하우스 4.9 kJ/일로 비닐하우스의 UV-B 선량은 노지보다 64%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UV-B가 균일하게 처리된 잎들깨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2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이미지분석하여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UV-B에 의해 33개의 단백질 발현이 변화되었으며 이중 10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단백질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광합성과 관련된 것이 40%,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것이 60%였다. UV-B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단백질은 광합성과 관련된 ATP synthase CF1 alpha chain이었고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protein recF, Heat shock protein 21, Catalase, Galactinol synthase, S-adenosyl-L-methionine,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CDPK)-like 로 주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단백질들로서 UV-B는 잎들깨 세포내 DNA와 광합성기구를 손상시켜 광합성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여 수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임상에서 분리된 희귀 비결핵 마이코박테리아 5종 (Five Rare Non-Tuberculous Myco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박영길;이영주;유희경;정미영;류성원;김창기;김희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5호
    • /
    • pp.331-336
    • /
    • 2010
  • Background: Recently, the rate of infection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Precise identification of NTM is critical to determination of the pathogen and to target treatment of NTM patients. Methods: Sixty-eight unclassified mycobacteria isolates by rpoB PCR-RFLP assay (PRA) collected in 2008 were analyzed by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search after sequencing of 16S rRNA, hsp65, rpoB genes. Results: Nineteen strains of 68 isolates were specified as species after sequencing analysis of 3 gene types. We found 3 M. lentifulavum, 5 M. arupense, 4 M. triviale, 4 M. parascrofulaceum, and one M. obuense. One M. tuberculosis and another M. peregrinum were mutated at the Msp I recognition site needed for rpoB PRA. The remaining 49 isolates did not coincide with identical species at the 3 kinds genes. Conclusion: Sequencing analysis of 16S rRNA, hsp65, rpoB was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NTM unclassified by rpoB PRA.

The Restorative Effect of Gallic Acid on the Experimental Sciatic Nerve Damage Model

  • Gurkan, Gokhan;Erdogan, Mumin Alper;Yigitturk, Gurkan;Erbas, Oyt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6호
    • /
    • pp.873-881
    • /
    • 2021
  • Objective : Peripheral nerve injuries occur mostly as a result of mechanical trauma. Due to the microvascular deterioration in peripheral nerve damage, it becomes challenging to remove free oxygen radicals. Gallic acid is a powerful antioxidant with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a free radical scaveng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that gallic acid contributes to the restorative effect in mechanical nerve damage, considering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Methods : Thirty male Sprague Dawley albino mature ra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en of them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10 out of 20 rats for which sciatic nerve damage was caused, constituted the saline group, and 10 formed the gallic acid group. Post-treatment motor functions,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of the rats were evaluated. Results : Compared to the surgery+saline group, lower 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MAP) latency, higher CMAP amplitude, and higher inclined plane test values were found in the surgery+gallic acid group. Similarly, a higher nerve growth factor (NGF) percentage, a higher number of axons, and a lower percentage of fibrosis scores were observed in the surgery+gallic acid group. Finally, lower tissue malondialdehyde (MDA) and higher heat shock protein-70 (HSP-70) values were determined in the surgery+gallic acid group. Conclusion : Gallic acid positively affects peripheral nerve injury healing due to i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It has been thought that gallic acid can be used as a supportive treatment in peripheral nerve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