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related lifestyle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5초

Contribution of the MLH1 -93G>A Promoter Polymorphism in Modulating Susceptibility Risk in Malaysian Colorectal Cancer Patients

  • Nizam, Zahary Mohd;Abdul Aziz, Ahmad Aizat;Kaur, Gurjeet;Abu Hassan, Muhammad Radzi;Mohd Sidek, Ahmad Shanwani;Lee, Yeong Yeh;Mazuwin, Maya;Ankathil, Ravind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619-624
    • /
    • 2013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CRC) exists in a more common sporadic form and less common hereditary forms, associated with the Lynch syndrome,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and other rare syndromes. Sporadic CRC is believed to arise as a result of clos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and genetic predisposition factors. In contrast, hereditary forms such as those related to the Lynch syndrome result from inheritance of germline mutations of mismatch repair (MMR) genes. However, in certain cases, the influence of low penetrance alleles in familial colorectal cancer susceptibility is also undeniable. Aim: To investigate the genotype frequencies of MLH1 promoter polymorphism -93G>A and to determine whether it could play any role in modulating familial and sporadic CRC susceptibility risk. Methods: A case-control study comprising of 104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CRC patients as cases (52 sporadic CRC and 52 Lynch syndrome patients) and 104 normal healthy individuals as controls was undertaken.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and the polymorphism was genotyped employing PCR-RFLP methods. The genotypes were categorized into homozygous wild type, heterozygous and homozygous variants. The risk association between these polymorphisms and CRC susceptibility risk was calcula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riving odds ratios (ORs). Results: When risk association was investigated for all CRC patients as a single group, the heterozygous (G/A) genotyp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for CRC susceptibility with an OR of 2.273, (95%CI: 1.133-4.558 and p-value=0.021). When analyzed specifically for the 2 types of CRC, the heterozygous (G/A) genotyp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 for sporadic CRC susceptibility with and OR of 3.714, (95%CI: 1.416-9.740 and p-value=0.008). Despite high OR value was observed for Lynch syndrome (OR: 1.600, 95%CI: 0.715-3.581), the ris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253).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an influence of MLH1 promoter polymorphism -93G>A in modulating susceptibility risk in Malaysian CRC patients, especially those with sporadic disease.

한국 성인 비만 집단의 탄수화물 급원 식품 섭취 분포 및 노출 위험도: 대규모 한국인유전체 역학 자료 활용 (Distribution and Exposure Prevalence of Carbohydrate-based Food Intake among Obese Korean Adults Based on the Health Examinees (HEXA) Study)

  • 한유리;권성옥;이상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9-17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exposure prevalence of total carbohydrate intake and the carbohydrate-based foods such as rice, noodles, sweet potatoes, sweet drinks, milk and fruits and to characterize intake patterns among obese Korean adults. Methods: Subjects included 137,363 adults aged 4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Examinees (HEXA)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data fro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identified food sources of carbohydrates. Weight, height and waist circumstance (WC) were measured, and the body mass index (BMI) was calculated. Obesity was defined as $BMI{\geq}25kg/m^2$ and abdominal obesity as $WC{\geq}90cm$ and ${\geq}85cm$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Results: Obese adults appeared to have a higher total carbohydrate intake in the univariate analysis but had eaten less after adjustment for general and lifestyle factors, compared to normal weight adults (OR 0.78, 95% CI 0.73-0.82 for general obesity; OR 0.79, 95% CI 0.74-0.85, for abdominal obesity; P trend < 0.0001, respectively). Based on advance analysis for the food sources of carbohydrates, obese subjects had lower intake of rice (OR 0.86, 95% CI 0.68 -1.09 for general obesity; OR 0.87, 95% CI 0.67-1.13, for abdominal obesity; P trend < 0.0001, respectively) and higher intake of noodles (OR 1.21, 95% CI 1.16-1.27 for general obesity; OR 1.25, 95% CI 1.19-1.32, for abdominal obesity; P trend < 0.0001 respectively). With regard to other food sources of carbohydrates such as milk and fruits, intake was lower among obese compared to normal weight subjects. Conclusions: In the Korean middle-aged and older obesity groups, the intake of carbohydrates and the related foods was lower than in normal weight subjects, except for noodles. We conclude that a higher intake of noodles may enhance weight-gai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uidelines should consider the types of carbohydrate sources and the amount consumed from foods in order to provide proper guidance with regard to control and prevent obesity among Korean adults.

부인과 암 생존자와 정상 대조군의 영양소 섭취와 식사의 질(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비교 -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용 - (A Comparisons of Nutritional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in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and Normal Women -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

  • 서보영;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6-415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of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and normal women. Methods: This study compared the anthropometric indices, dietary behavior, nutritional intake, and DQI-I in women with previous history of breast or uterine cancer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group (GCSG, n=126)] and normal women [Normal control group (NCG, n=7,011)] using the 2013~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Results: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lower in the GCSG compared the NCG.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out was higher in the NCG compared to GCSG. Energy and fat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CG than in the GCSG, whereas intake of all minerals and vitamins (excluding thiamine), and dietary fiber intake were higher in GCSG. It was observed that the fatty acid intake of the GCS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CG. The diet quality evaluation using DQI-I results showed that GCSG was higher in the "within-group" diet variety and adequacy of vegetable group than the NCG, whereas the intake level of the fruit group was higher in NCG. Besides, protein, calcium, and vitamin C intake were higher in the GCSG than in the NCG. The GCSG showed higher levels of total fat and saturated fat moderation than the NCG, whereas cholesterol moderation showed the opposite results. The results of DQI-I comparison according to the cancer survival years showed that the overall score and scores related to diet adequacy and balance were higher in the below 5-year group, whereas the over 5-year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moderation of die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hronic disease based management approach is needed in cancer survivors. The study provides important data which can help in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long-term lifestyle and diet management, in these patients.

Difference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n elderly people according to chewing difficul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6th)

  • Kwon, Song Hee;Park, Hae Ryun;Lee, Young Mi;Kwon, Soo Youn;Kim, Ok Sun;Kim, Hee Young;Lim, Young Su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2호
    • /
    • pp.139-14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Chewing difficulty is a factor contributing to a poor nutritional status in the elder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sparities in food and nutrition intakes among Korean elderly people with and without chewing difficulty. SUBJECTS/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3. The study subjects included males and females over 65 years of age who were not required to adhere to a special diet due to disease or sicknes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chewing ability. Those who found chewing "very difficult" or "difficult", were combined to form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Similarly, those who found chewing "moderately difficult", "easy", and "very easy" were combined to form the normal chewing group. RESULTS: Of the 999 subjects, 47.7% had chewing difficulties and the prevalence of chewing difficulty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P = 0.03) and higher in those 75 years of age and over than in younger individuals (P < 0.001).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P < 0.05) and lower vitamin C and potassium intake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Comparison of the percentages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in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the intake of most nutrients (energy, vitamin C, thiamin, riboflavin, niacin, calcium, phosphorus, sodium, potassium, and ir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In particular, calcium intake was inadequate (51% of KDRIs) in the chewing difficulty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chewing difficulty is closely related to food and nutrient intake in the elderly and can result in vitamin and mineral intake deficiencies. It is evident that the care of elderly subjects with chewing difficulty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한국중년층에서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둘레비, 및 허리둘레의 심장혈관계질환 위험인자 타당도 비교 (Comparing validity of using Body Mass Index, Waist to Hip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Middle Aged Koreans)

  • 문현경;김유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3호
    • /
    • pp.365-37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alidity of obese index among body mass index(BMI), waist to hip ratio(WHR), and waist circumference(WC) and to determine which is the best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middle aged Korean(40-64yr).Data from the 1998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N=3380). Anthropometric indic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measured. Chi-square test, analysis of variance follow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ROC) curv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in WHR, systolic blood pressure(SBP),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 and fasting blood sugar(FBS) with age categories of male and in BMI, WC, WHR, diastolic blood pressure(DBP), SBP, total cholesterol(T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 triglycerol(TG), and FBS with those of female. Specially female had the characteristics of upper body fat and systolic blood pressure risk(p<0.05).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ardiovascular risk in overweight or upper body fa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Higher proportions of subjects were practiced exercise in upper body fat group of male than in other groups. Among 7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BMI ha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in 6 risk factors in male, whereas WC in 4 risk factors in female. Mean of each obese index according to cardiovascular risk groups except smoker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p<0.05). These trends were shown in upper body fat group and female. In ROC analysis of 12 risk factors and health conditions, the largest area under curve among obese indices for risk factors were BMI in male and WHR in female. The optimal cutoff values of each index(BMI: WHR: WC) for one or mor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23.13: 0.89: 85.35 in male and 23.57: 0.84: 78.35 in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prevalent in middle aged Koreans within normal limits of obese indices like another Asians. For the identific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middle aged Koreans, BMI for men and WHR for women are appropriate indices. But it is recommended that BMI, WHR, and WC, all three indi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these indices.

  • PDF

울산지역 대학생의 성별과 체중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지식, 식습관 및 혈액성분의 비교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 김혜경;김진희;정현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36-346
    • /
    • 2012
  • 본 연구는 울산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 324명을 대상 (남자 144명, 여자 180명)으로 성별과 체중상태에 건강관련 생활습관, 영양지식 및 식습관 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이 중 일부 학생들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75.60 cm, 68.98 kg, 162.30 cm, 52.99 kg로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BMI는 $21.10kg/m^2$ (남학생 22.35, 여학생 20.11)로 정상으로 나타났으나 BMI 분포를 보면 정상체중 63.0%, 과체중 21.6%, 저체중 1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체형인식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정상체중군의 47.9%가 말랐다고 인식한 반면 여학생의 40.0%가 뚱뚱하다고 인식하여 남 녀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의 50.9%는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이 있으며, 61.2%가 미용상의 목적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하였으며, 저체중은 미용 상의 목적, 비만은 건강과 기타의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p < 0.001). 체중조절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경우 저체중군은 25.8%, 과체중군은 55.8%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저체중군과 과체중군 모두 운동을 통한 체중조절을 가장 많이 시도하였다. 3) 조사대상자의 아침결식비율이 점심과 저녁보다 높았으며 체중상태에 따라서는 과체중군의 아침결식비율이 낮게 나타난 반면 점심과 저녁은 높게 나타났다. 식사속도에서는 과체중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빠르게 나타났다. 식사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은 15~20분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4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분 미만은 저체중군의 26.0%, 정상체중군의 36.8%, 과체중군의 51.4%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 < 0.05). 건강관심도는 과체중군과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보다 많았으며, 운동정도는 과체중군이 저체중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69.1%가 7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하였고, 과체중군이 저체중군보다 수면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4) 조사대상자의 평균 영양지식점수는 15점 만점에 전체 $6.73{\pm}1.60$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체중상태와 성별에 따른 영양지식 평균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식습관 점수는 $39.71{\pm}6.29$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체중상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군에서 식습관 점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5) 일부 조사대상자의 혈액성분 분석 결과 헤모글로빈과 HDL은 남 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헤모글로빈은 생리적인 특성상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p < 0.001), HDL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1). 각 지표들의 위험군의 비율을 보면 HDL (72.1%)과 헤모글로빈 (45.9%)이 높게 나타났고 총 콜레스테롤 (9.8%)과 중성지방 (4.9%)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들의 체중상태는 과체중과 저체중이 함께 나타나고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올바른 체형인식과 함께 건강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균형잡힌 식습관과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영양지식의 향상과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골밀도 영향 요인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 김경희;이정희;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7-168
    • /
    • 2015
  • 본 연구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식습관, 여성건강행태 및 신체조성에 따른 대퇴골전체, 대퇴골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 차이가 존재 하는지 규명하여 골밀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제4기(2008년~2009년), 제5기(2010년~2011년)에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30세 이상 폐경 전 성인여성 38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에서 골밀도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여 치료하는데 필요한 권고사항이나 지침을 마련하고, 젊은 성인여성의 골밀도를 올바르게 평가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자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대퇴골전체에서 40~44세, 요추에서 35~39세에 골밀도가 높았다. 교육수준은 고졸에서 골밀도가 높았고, 여성건강행태 중 초경연령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높았다. 생활 습관은 흡연경험이 없고 걷는 시간 및 운동 빈도가 규칙적일수록 골밀도가 높았고, 식습관은 햄버거와 피자 섭취를 하지 않을 경우 골밀도가 높았다. 신체조성 중 비만유병여부는 비만일 때 골밀도가 높았고 저체중일 때 골밀도가 낮았다. 복부비만 및 체중조절경험이 있는 사람이 골밀도가 높았다. 총체지방률, 총지방량 및 총근육량은 제1사 분위(Q1)에서 제4사 분위(Q4)로 갈수록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비만유병여부, 총지방량 및 근육량이 골밀도 간에는 매우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젊은 여성들은 골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자신의 체형에 맞는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야하며 정상적인 BMI를 유지 할 필요가 있음을 알았다.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성장기부터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 등의 올바른 생활습관과 젊은 시절부터 적절한 체중조절을 통해 최대 골질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중장년 한국 남성의 좌식 시간에 따른 영양, 식이 및 건강행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Study on nutrition, dietary and health status of middle-aged Korean men according to sedentary hours: based on the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다정;이지현;윤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59-375
    • /
    • 2022
  • 성인 남성은 주된 경제활동 인구로서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이들의 좌식 시간과 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남성의 좌식 시간과 영양, 식이 및 건강 행태의 차이와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건강 위험 요인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피험자 (n = 1,068)는 평소 하루 앉아서 보내는 시간 (시간 및 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가장 낮았고 허리둘레가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또한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교육수준과 White collar의 비율이 높았고, 이에 따라 업무 중 고강도와 중강도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높았다. 최근 1년의 음주 빈도는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좌식 시간이 가장 짧은 그룹과 가장 높은 그룹에서 가장 빈번하였으며, 이는 좌식 시간보다는 평균 근로시간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걷기와 근육 운동 횟수에는 그룹 간 차이가 없었지만, 유산소 운동 실시 비율은 좌식 시간이 긴 그룹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식이습관, 평일 수면시간 및 정신건강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당뇨병 의사 진단을 받은 사람은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에 가장 많았으나, 골다공증, 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유병 빈도가 미미하였고 그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요인 중 LDL-콜레스테롤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혈중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가장 높았다.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좌식 시간이 가장 긴 그룹의 비타민 B1과 칼슘 섭취량이 가장 적었고, 비타민 C를 EAR보다 적게 섭취한 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성인 남성의 건강 및 영양상태 등이 좌식 시간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좌식 시간을 건강 위험요인으로 인지하고 이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 유헬스케어 서비스 추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ser 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Social Network for u-Healthcare)

  • 김혜경;최일영;하기목;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181-199
    • /
    • 2010
  • 인구의 고령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발병 후 관리관점에서 발병 전의 예방 관점으로 그 목적이 점차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원격진료 차원의 의료 서비스 성격이 강하여, 만성 성인병과 같은 대사 증후군을 예방 및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 중심의 단방향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인해 사용들이 중도에 이용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 유헬스케어 서비스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실세계에서 유헬스케어 서비스 추천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제 의료원에서 대사 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처방한 식단 및 운동 정보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적용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될 가능성을 낮추는 동시에 추천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네이버들이 이용한 서비스를 공유함으로써 전체적인 추천 품질을 높인다. 즉, 사용자의 식습관 및 운동습관 등과 같은 생활습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간의 자율협업을 통한 개인화된 추천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헬스케어 서비스 추천 시스템은 생활습관 개선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단 및 운동을 제공하고,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 만성 성인병과 같은 대사증후군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기술.가정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Raising Awareness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 Focused on the unit of 'the choice and maintenance of clothing'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 김명순;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6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기술 가정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에서 로하스 관련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2학년 8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로 5차시씩 적용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의 학습 주제는 로하스 소비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의식, 오가닉 패션, 천연 자연소재 섬유, 재활용 소재 패션, 천연 염색 총 5가지이며 총괄 실천적 문제는 '로하스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설정하였다. 각 교수 학습 과정안의 특징은 문제 인식의 도입 단계에서 정보 탐색 및 정보 선택을 하는 전개 단계를 거쳐 실천적 추론을 하는 정리 단계로 구성되었다는 것이며, 총 5차시에 걸쳐 활동지와 읽기 자료, 교사 도움 자료를 포함, 총 34개의 자료를 개발하여 로하스 의식을 함양할 수 있게 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로하스 의식은 일반적인 로하스 의식, 의복의 선택과 관련한 로하스 의식 모두 수업 전보다 수업 후 유의미하게 함양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본 수업이 로하스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되었고 이로 인해 의복의 선택과 관련하여 소비 생활에 대한 생각 및 태도가 많이 변화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로하스 소비라는 국가 사회적 흐름에 동참하며, 사회가 요구하는 소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가정과 교육에서 건강과 환경, 사회를 위하여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과정 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