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care convergence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7초

20대 여성의 스킨토너 도포 횟수에 따른 안면 피부의 수분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isture Change of Facial Ski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kin Applications in Women in their 20's)

  • 김선민;박유진;심보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8-193
    • /
    • 2021
  • 본 연구는 만 25세 이하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스킨 도포 횟수에 따른 안면 피부의 수분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수분함량(moisture contents)은 피부 수분 측정기(피부 유수분측정기, PRC, 중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킨은 I사의 블루베리 리밸런싱 스킨[대용량] 500ml를 임상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이마와 눈가, 볼, 턱 모두 도포 전 보다는 한 겹 도포 후가 수분함량이 더 높았으며, 한 겹 도포 후 보다는 열 겹 도포 후 수분함량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세안 후 기초 제품을 도포할 때 가장 첫 번째 단계인 스킨의 횟수를 늘려 도포 한 후 로션과 수분크림 등 기초 제품을 바른다면 수분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국내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성과 및 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Outcome and Trends of Community Care Pilot Project in Korea)

  • 김경범;허민희;장하은;노진원;김장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9-167
    • /
    • 2022
  • 2018년 11월 보건복지부가 지역사회 돌봄 사업을 제20대 국정과제로 채택하였음에도 프로젝트의 성과나 동향을 보고하는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과 관련한 기존 근거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원저 18편과 평론 43편이 최종 선정되었다. 원저의 경우 수요조사(n=4) 및 모델제안(n=4), 터치포인트 활용(n=3), 공간설계 및 건축모델(n=3), 인력양성 및 역할 설정(n=2), 우선 순위 목표(n=1) 및 연구 동향 연구(n=1)등이 있었으며, 리뷰 문헌의 경우 노인에 대한 문헌이 가장 많았고(n=12), 장애인 및 정신질환에 관한 문헌은 상대적으로 적었다(n=2). 지역사회 돌봄 시범사업이 시행된 지 1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본 사업과 관련된 근거가 부족하고 사업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보고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인뿐만 아니라 장애인, 정신질환자, 노숙자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Community)

  • 백경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01-107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충북 제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48명을 대상으로 단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7월 3일부터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동거인 유무, 치아 수, 교육수준 및 종교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들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44.3% 설명했다. 따라서 건강관리 제공자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치아 상실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강행태 기여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Socioeconomic Status in Perceived Oral Health and Contribution of Oral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Convergence)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37-343
    • /
    • 2018
  • 본 연구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의 기여도에 대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료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구강건강행태를 보정했을 때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강 건강 행태요인들을 보정했을 때, 흡연, 칫솔질횟수, 구강위생용품사용, 그리고 구강검진은 사회경제적 구강건강상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였다. 주관적 구강불건강은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비롯되지만 이런 차이는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에 따라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구강건강증진 행태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COVID-19 시기 지역사회 구강건강과 치과 치료 및 보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Dental Care and Insurance Awareness in the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eriod)

  • 손은교;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43-651
    • /
    • 2022
  • 본 연구는 강원도 일개 지역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2021년 9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COVID-19 시기 지역사회 구강건강과 치과 치료 및 보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분석에는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구강건강 상태, 구강건강 관심, 건강보험 확대 인식은 COVID-19 시기의 치과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보건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 학력이 고졸 이하인 경우, 구강 상태가 안 좋은 경우 COVID-19 시기의 치과 치료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강보건 교육의 확대 홍보와 건강보험 감염관리 수가와 별도 보상 재료의 등재가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을 통한 연구와 보험 확대 부분을 세부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search on the Senior Food Industry and Revitalization: focusing on HMR products

  • JeungSun LEE;Seong Soo CH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1-5
    • /
    • 2023
  •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globally, convenience foods for the elderly population are receiving attention. Therefore, the senior food market continues to grow rapidly both domestically and overseas. In relation to thi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convenience food preferences through the growth status of the convenience food market and the demand for convenience food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We would like to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crease in convenience food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This study use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search to find ways to revitalize the convenience food market targeting the elderly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mention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the convenience food market for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oducts with high nutritional value,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low price, and to consider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Through a multifaceted approach, we aim to increase the need for convenient food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populatio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further efficiently manage the health of the elderly nationally and globally.

정신보건시설 종사자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권리인식과 보장 (A Study of Mental Health Care Workers' Recognition and Guarantee for Psychiatric Patients' Rights)

  • 정춘화;고성희;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55-46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자의 권리에 대한 정신보건시설 종사자의 인식정도와 실제 보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신보건시설 종사자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2월 10일부터 3월 5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보건시설 종사자의 정신질환자 권리 인식은 사전 동의, 치료받을 권리, 비밀보장, 기본적 권리, 일상생활 및 환경, 입원, 치료를 거부할 권리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권리 보장정도는 사전 동의, 치료받을 권리, 비밀보장, 일상생활 및 환경, 기본적 권리, 치료를 거부할 권리, 입원 순이었다. 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권리 인식정도는 최종학력, 종교, 월수입, 직종, 권리교육 참석경험 등에서, 권리 보장정도는 월수입, 근무기관, 정신보건과 현재기관 근무경력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신보건시설에서 정신질환자의 권리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군 장병 정신건강 관리 향상 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of Soldier Mental Health Care Using Wearable Devices)

  • 김인찬;조상근;심준학;김종훈;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801-805
    • /
    • 2023
  • 우리나라는 출산율 감소로 인한 인구 절벽 현상으로 병역자원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 군 병력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장병들의 정신건강 악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장병들의 정신건강은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부대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의 정신건강 악화로 인해 자살, 이혼, 군무이탈 등의 사고는 부대의 전투력 발휘 제한과 사기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외 학계에서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정신건강 관리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우리 군 역시 이를 활용하여 장병의 정신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예측, 조치할 수 있는 장병 정신건강 관리의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군 장병의 정신건강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후속 연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우리 장병들의 정신건강이 향상되길 기대한다.

고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실태와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융합적 관계 (Converged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and Dental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일신;김서연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07-114
    • /
    • 2016
  •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실태 및 구강보건행태를 조사하여 구강보건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있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답변이 기재된 19 부를 제외하고 279 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습니다. 분석결과는 첫째, 흡연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구강관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5). 둘째, 자가 구강상태 인지의 경우 올바른 칫솔질 방법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셋째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질문은 흡연경험이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강보건행태와 구강보건지식간의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실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도 보이므로, 이를 근거로 구강보건향상 프로그램 및 금연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ractice-based Evidence for Health Promotion in Underserved Clients with Hypertension in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 Hong, Woi-Hyu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0-39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actice-based evidence for health promotion in vulnerable populations with hypertension in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Methods: Two methodological procedures were adopted for this triangulation study. In the first phase, the sample was obtained from the computerized clinical data repository of a community nursing center. A total of 286 clients were assessed for hypertension as an actual circulation problem as coded in the Omaha System. In the second phase, a qualitative focus group was survey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conducted by nine advanced practice nurses who had been serving the hypertensive patients. Results: The community nurses provided essential primary healthcare services including health teaching guidance and counseling, and surveillance to vulnerable populations living in medically underserved commun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r=.53, p<.01), between knowledge and health status (r=.40, p<.05), and between behavior and health status (r=.48, p<.01). Conclusion: This triangulation study encompassed not only quantitative findings from the computerized records of clients but also other information acquired from advanced practice nur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nursing interventions even with populations already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