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Promotion Indicator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일부 한국성인의 성, 연령 및 생활습관에 따른 혈청지질 농도 (Serum Lipids by Gender, Age and Lifestyle in Korean Adults)

  • 김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9-11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serum lipids concentrations by gender and age, and to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serum lipids levels to cigarette smoking alcohol intake exercise and menopausal status in Korean adults. The subjects consisted of 463 healthy adult(29- men and 173 women) volunteers who were visiting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the Asan Medical Center from July 1, 1994 to July 22, 1994 Subjects were ambulatory free-living people and aged 20- 80 years,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performed and serum triglyceride(TG), HDL-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TCh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 by automatic system(Hitachi 736-40). Data on life styles were obtain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ssued by a trained interviewer,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PC-SAS(Version 6.04)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was higher(p<0.05) in men than in women, and serum HDL-cholesterol was lower(p<0.05) in men than in women.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TG>170 mg/dL and TChol>220 mg /dL) was 12.5% in men and 4.1% in women.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BMI increased with age in women. The distribution curve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of women were located in lower increased more rapidly with aging than in men, The distribution curves of BMI of women increased with aging after the thirties, The BMI of women was located in higher levels than of men in their sixties. The serum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of male current-smokers and non- smoker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ex-smokers. The concentrations triglyceride the male current0drinkers were higher(p<0.05) than those of male non-drinkers. In non-smokers and non- drinkers, serum TG concentration were lower (p<0.05) than those of current-smokers and current-drinkers. In exercisers, the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in non- exercisers. In postmenopausal woman BMI and serum concentrations of TChol, TG and LDL-Chol were significantly by age and gender and smoking alcohol drinking, exercise and menopausal staus might be a better indicator to predict serum lipids in both genders.

  • PDF

간호대학생의 MBTI에 따른 돌봄효능감의 차이 (Difference of Care Efficacy according to Myer-Briggs Type Indicator in Nursing Students)

  • 오은진;박순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53-6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에 따른 돌봄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1개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109명이다. 자료분석은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돌봄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전공만족도(3.63, p<.001), 실습만족도(4.49, p=0.013), 건강상태(2.91, p=0.004)였다. 돌봄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MBTI는 태도지표 중 EP형(3.74, p=0.013)였다. 본 연구결과는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후속연구를 위해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대규모 표본을 적용한 반복 연구,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해 MBTI를 적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연구, 돌봄효능감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