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City Index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7초

근린공원 환경의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 성산구와 의창구를 대상으로 - (Effect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The Case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Changwon City -)

  • 박경훈;이우성;김태환;김은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64-7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근린공원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횟수와 체질량지수(BMI)에 의한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창원시 성산구와 의창구 도심지역에 분포하는 8개 근린공원의 이용자와 그 주변에 거주하는 429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분석은 근린공원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일대일대응 선형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공원을 이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시간적 여유의 부족, 공원까지의 이동거리와 소요시간, 공원 내 이용시설의 부족 등이고, 공원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공원까지의 접근성, 걷기 또는 산책, 휴식시설, 수목이나 그늘, 운동공간의 다양성 등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자의 경우, 공원에서 걷기나 산책을 가장 많이 하고, 주 2회 이상 평균 10분 정도 걸어가서 1시간 정도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과 그 주변의 물리적 환경 중에서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이동하는 가로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공원 내 수공간이나 볼거리 등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운동목적의 공원이용 여부, 공원이용시간, 공원이용의 만족도와 건강증진 효과, 공원까지의 거리, 따른 건강증진 효과만이 유의수준 10% 이내에서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도 공원의 신체활동과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실증적 사례노약자들의 공원이용 편이성 등이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신체활동과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횟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체질량지수와는 공원이용에 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서 각종 개발용도로 전환되거나 그 면적이 축소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공원 및 녹지공간을 보전 확대시켜 나가고, 신체활동 및 건강증진 장소로서의 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공원계획 설계 요소를 도출하는데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위 및 구강위생 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ygien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손미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3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ygien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gesign. Data was collected between the 17th of June and 13th of July in 2002,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131 students of Y Elementary School. which was one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Gyeongsangbuk-do, and the control group was 140 students of C Elementary School, which was similar to Y Elementary School in geographical and economical properties and size. As for research tools, the researcher developed tools of measur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by modifying the tools developed by Hye-Kyong Kim (2001), In-hyang Seo (1988), Ho-Youn Lee (2001), Hyeon-ja Jeon (1998). To measure oral hygiene status. the researcher applied a coloring agent to the surface of the teeth after brushing, rinsed the mouth, and calculated colored plaque on the surface of the teeth, which was recorded on a sheet and analyzed using the plaque index.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ANCOVA, Two-way ANOVA, Simple main effects, One-way ANOVA, and Duncan. Using with SPSS WIN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was give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ill shows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oral hygiene status then control group'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ill be different between junior and senior' the hypothesis was partly supported To summariz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oral health education was given, was improved in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ygiene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o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or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주택 담보 가계 대출액 결정요인 추정에 관한 패널 데이터 모형 연구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Loan Amount of Housing Mortgage : A Panel Data Model Approach)

  • 김희철;신현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83-190
    • /
    • 2011
  • 주택담보 가계 대출은 그룹(지역)별, 시간별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가계대출 결정요인이 이루어지고 있어 복잡성을 띠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성을 띠고 있는 주택담보 가계 대출에 관련된 제 변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가계대출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하여 조사, 분석, 검증한다. 본 연구는 7 그룹(6개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및 서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간은 2007년 1월부터 2010년 9월 까지 자료를 이용하였고. 주택담보 가계 대출액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소비자물가지수, 실업률, 가구당 월평균가계소득, 보건의료비 지출률, 종합주가지수, 일반은행 가계 대출연체율을 설명(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주택담보 가계 대출 요인을 추정한 결과 소비자물가지수와 실업률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보건 의료비 지출률은 음(-)의 영향을 나타내는 유의적인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구당월평균 가계소득액, 종합주가지수와 일반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비유의적인 변인으로 나타나 주택담보 가계 대출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Larval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Small Mammals in 3 Provinces, Korea

  • Lee, In-Yong;Song, Hyeon-Je;Choi, Yeon-Joo;Shin, Sun-Hye;Choi, Min-Kyung;Kwon, So-Hyun;Shin, E-Hyun;Park, Chan;Kim, Heung-Chul;Klein, Terry A.;Park, Kyung-Hee;Jang, Wo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225-229
    • /
    • 2014
  • A total of 9,281 larval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from small mammals captured at Hwaseong-gun, Gyeonggi-do (Province) (2,754 mites from 30 small mammals), Asan city, Chungcheongnam-do (3,358 mites from 48 mammals), and Jangseong-gun, Jeollanam-do (3,169 for 62 mammals) from April-November 2009 in the Republic of Korea (= Korea) and were identified to species. Leptotrombidium pallidum was the predominant species in Hwaseong (95.8%) and Asan (61.2%), while Leptotrombidium scutellare was the pre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Jangseong (80.1%). Overall, larval chigger mite indices decreased from April (27.3) to June (4.9), then increased in September (95.2) and to a high level in November (169.3). These data suggest that L. pallidum and L. scutellare are the primary vectors of scrub typhus throughout their range in Korea. While other species of larval chigger mites were also collected with some implications in the transmission of Orientia tsutsugamushi, they only accounted for 11.2% of all larval chigger mites collected from small mammals.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brushing and Instruction in the Elderly: A Randomized Trial

  • Jo, Eun-Deok;Kim, Eun-Sol;Hong, Hae-Kyung;Han, Gyeong-Soo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05-31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viding toothbrushing by professionals as part of oral hygiene education for the elderly. We randomly visited 12 centers in the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the data of 114 participants among 310 early registrants aged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all 3 time points.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dd-numbered visits) and a control group (even-numbered visits). Oral hygiene practices were provided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ut professional toothbrushing was performed in a different man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ences in plaque index (PI)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were assessed using the t-test, and the effect of PI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assessed by repeated measur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PI. At baseline, the mean overall PI was 61.82.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I significantly reduced from the baseline (p<0.01). At 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crease of 27.16 points from the baseline, and the 10-week PI was similar to the 5-week PI. The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of 14.87 points from the baseline, and the PI increased by 5.74 points at 10 weeks. PI-related factors were gender and self-xerostomia. The PI was lower in the female group and the group with self- xerostomia (p<0.01).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method to educate elderly subjects on proper removal of dental plaque and to habituate correct behavior, which requires inclusion of a direct toothbrushing intervention by a specialist.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 소희영;안숙희;송라윤;김현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4-233
    • /
    • 2010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via convenience sampling from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participants who were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in September 2006. Obesity was evaluated by body mass index,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EXA sca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sessed by a guideline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Results: Seventy-two percent of women were either in the osteopenia or osteoporosis group, while 28% were in normal range in lumbar vertebrae. Obese women had greater bone mineral density in lumbar (F=3.31, p=.040) and femur (F=4.72, p=.011). Variables for cardiovascular ris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high density lipoprotein (F=7.51, p=.001), systolic blood pressure (F=5.21, p=.007), and in percent of 10-yea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ccording to obesity. Conclusion: Post-menopausal women are at risk for obesity,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order to prevent these conditions,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resistance and aerobic exercise that reduces body weight and bone loss, increases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reduces systolic blood pressure, should be proposed continually through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ostmenopausal women.

택시 운전자들을 위한 스마트폰 앱 기반 걷기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Bandura의 자기효능이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for Taxi Drivers: Based on Bandura's Self Efficacy Theory)

  • 최윤하;채민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42-25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s for taxi drivers 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lking as an exercise, and physiological index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recruited in G metropolitan city.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n=31) or control groups (n=30). The smart 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s via the app, twelve short message services, and one individual telephone counseling session, which was spread over 12 weeks. Results: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ly higher pre-post test differences in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repost-test difference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lking as an exercise (which consisted of days walked, number of steps walked, and amount of time walked)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7~12 weeks in the period following the intervention program rather than 1~6 weeks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mart phone app-based walking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demonstrate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axi driv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use the program as a tool to promote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behaviors in taxi drivers.

초등학교 내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여부에 따른 아동의 치아우식경험도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chool Oral Health Clinics to the Dental Caries Experience of Children)

  • 임순환;김응권;권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3-238
    • /
    • 2005
  •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여부에 따라 초등학교 아동의 구강상태의 차이를 파악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는 사업군으로 화성시의 화산초등학교 아동1163명과 대조군은 동일 지역권 내의 S 초등학교 아동 485명을 대상으로 2004년 5월1일부터 5월 30일 까지 구강검사를 시행하였고 자료를 이용하여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구치 우식경험율은 두 군 모두에서 학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며 특히 대조군에서 더 높고 사업군은 45%이며 대조군은 65%로 사업군이 낮게 조사되었다. 2. 우식경험영구치율도 두 군 모두에서 학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며 그 비율이 대조군에서 더 높고 사업군은 30.%이며 대조군은 44.0%로 사업군이 낮게 조사되었다. 3. 우식경험 영구치 지수는 사업군은 1.0개 대조군은 1.6개로 사업군이 낮고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증가율도 사업군에서 훨씬 양호하였다. 4. 우식영구치율은 1학년 때에는 사업군에서 약간 높았던 것이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업군에서 비교적 낮아지며 6학년에서는 사업군 42.0% 대조군 87.0%로 대조군보다 사업군에서 거의 50%이상 낮게 조사되었다. 5. 처치영구치율은 1학년 때에는 대조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업군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6학년에서는 사업군에서 2배 이상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검토한 결과 사업군에서 구강보건 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을 통하여 아동들에게 적기에 구강보건관리를 실시해 줌으로써 구강질환을 미리 예방하고 학생의 구강보건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을 변화시켜 나타난 결과로 사료되는바 학교구강보건실을 점차적으로 확대 설치하여 학령기 아동에게 계속적으로 포괄적 구강보건예방 사업을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를 적극 활용하여 아동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며 또한 예방업무와 구강보건교육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단위별로 배치되어 있는 공중보건치의사와 치과위생사를 적극 활용하여 구강건강관리를 최고에 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노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Frailty of Rural Elderly Women Implemented at Primary Health Care Posts)

  • 김민경;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3호
    • /
    • pp.115-123
    • /
    • 2019
  • 이 연구는 J시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 노쇠정도 확인을 위한 건강상태(지각된 건강상태, 노쇠 점수, 상 하체 유연성, 최대악력, 동적평형검사 Timed Up and Go)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으로 대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해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노인들의 노쇠수준을 파악하고, 농촌 여성노인들의 노쇠수준에 맞는 12주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건강증진프로그램(프로그램명: ${\bigcirc}{\bigcirc}$보건진료소와 주민이 함께 만드는 하하호호 백세건강마을 만들기)은 J시 보건진료소 특성화 사업의 한 부분으로 연구자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농촌여성 노인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한 노쇠점수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8개 항목 중 주관적인 현재 건강상태와 우울한 감정의 개선이 노쇠점수가 향상에 특히 도움이 되었다. 건강상태 변화로 왼쪽 상체유연성은 실험군이 약 2배(+17cm), 오른쪽 상체유연성은 +11cm, 하체유연성은 실험군이 +6cm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근력평가로 최대악력은 실험군이 약+4kg 증가하였고, 동적 균형 검사(Timed Up and Go test)는 실험군이 3초 빨라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상 하체 유연성 및 근력, 민첩성 등 운동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취약지역 보건 진료소 관할 인구의 평균수명 연장과 고령화로 노쇠한 농촌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근력강화 및 유연성 운동과 인지개선 활동 등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통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일부 농촌 주민의 건강 증진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Rural Areas)

  • 김덕수;임현술;김두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2호
    • /
    • pp.327-341
    • /
    • 2000
  • 농촌 사회는 60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본인이 느끼는 건강 상태를 나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남성에서는 연령 이 증가할수록 건강증진 행태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으며, 30~40대 연령층에서 건강증진 행태 점수가 가장 낮으면서 본인의 건강을 과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본인의 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강증진 행태 점수도 낮게 조사되었다. 농촌 지역 남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노력은 젊은 연령층을 중점적으로 올바른 건강행태 교육을 통해 지속적인 건강증진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30대~40대 연령층을 중점적으로 금연 운동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40대~50대 연령층에게는 적절한 체중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성에서는 고연령층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에 노력해야 할 것이며, 특히 60대~70대 고령의 노인들이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 개발 노력과 40대~50대 연령층의 체중관리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