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shape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7초

제대혈 Adiponectin과 IGF-I이 태아성장에 미치는 영향 (Correlation of Cord Serum Adiponectin and IGF-I with Fetal Growth in Healthy Term Neonates)

  • 김지영;조수진;김혜순;박혜숙;박은애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38-43
    • /
    • 2008
  • 목 적 : 태아 시기의 성장이 출생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대사 질환 및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 등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들이 있어왔다. 이에, 정상 체중 만삭아의 제대혈 내 APN 과 IGF-I 농도와 태아 성장 간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10월부터 2005년 3월 사이에 이대목동병원에서 출생한 정상 체중 만삭아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아들의 제대혈 내 APN과 IGF-I 농도를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치와 출생체중, 신장, 머리둘레, 성별, ponderal index, 태반 무게, 태아-태반 무게 비, 산모의 임신 중 체중 증가, 산모의 임신 전 BMI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제대혈 평균 APN 농도는 29.2${\pm}$10.46 $\mu$g/mL 였으며, 제대혈 APN 농도와 체중의 관계는 체중이 증가할수록 APN 농도가 증가하다가 일정 체중에 도달한 이후에는 APN이 감소하는 종모양의 관계를 보였다. 제대혈 APN 농도는 여아에서 남아 보다 높았으며(P=0.001), 제대혈 APN 농도와 산모의 BMI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01, P=0.027). 평균제대혈 IGF-I 농도는 51.26${\pm}$21.54 ng/mL 였다. 제대혈 IGF-I 농도는 출생체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2, P=0.009). 결 론: 건강한 만삭아에서 제대혈 APN 농도는 출생 체중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체중에서부터 감소하는 패턴의 종모양의 관계를 보였다. IGF-I 은 태아 성장, 특히 출생체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구강암과 구인두암의 절제술 후 전완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재건술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 조광재;천병준;선동일;조승호;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Surgical ablation of tumors in the oral cavity and the oropharynx results in a three dimensional defect because of the needs to resect the adjacent area for the surgical margin. Although a variety of techniques are available, radial forearm free flap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defect, which offers a thin, pliable, and relatively hairless skin and a long vascular pedicle. We report the clinical results of our 54 consecutive radial forearm free flaps used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x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offered intraoral reconstruction with a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from August 1994 to February 2003 and analyzed surgical methods, flap survival rate, complication, and functional results. Among these, 20 cases were examined with modified barium swallow to evaluate postoperative swallowing function and other 8 cases with articulation and resonance test for speech. We examined recovery of sensation with two-point discrimination test in 15 cases who were offered sensate flaps. Results: The primary sites were as follows : mobile tongue (18), tonsil (17), floor of mouth (4), base of tongue (2), soft palate (2), retromolar trigone (3), buccal mucosa (1), oro-hypopharynx (6), and lower lip (1). The paddles of flaps were tailored in multilobed designs from oval shape to tetralobed design and in variable size according to the defects after ablation. This procedures resulted in satisfactory flap success rate (96.3%) and showed good swallowing function and social speech. Eight of 15 cases (53.3%) who had offered sensate flap showed recovery of sensation between 1 and 6 postoperative months (average 2.6 month). Conclusion: The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might be an excellent method for the maximal functional results after ablative surgery of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that results in multidimensional defect.

안동지역의 제례에 따른 음식문화(I) -불천위제례(不遷位祭禮)와 제수(祭羞)- (Dietary Culture for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in Andong Area (I)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9-454
    • /
    • 199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ul-Chun-Wi Sacrificial Ritual (sacrificial service which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worship the family ancestors in the period of $1400{\sim}1800$) and foods for the sacrificial service among fourteen head families in Andong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family shrine has been maintained in good shape, and the table, dishes, and foods used in the rituals have not been changed so much until these days. 2. While vegetable soup is widely used as soup, one family uses the seaweed soup, the other soup mixed with meat, fish, and vegetable. Specially soybean-powdered soup, which is the distinguishable food in Andong area, has been used. 3. As a basic Ddock, mainly Si-Ru-Ddock(a steamed rice cake), piled up to 13-15 stacks, is used. Additional 7-9 kinds of Ddock are placed on top of the basic Ddock. 4. For grilled-meat food(Geuck), eight families use the raw meat, and one family uses the half-cooked meat. Recently, five families have used the cooked meat. Mostly used ones are meat-Geuck, fish-Geuck, chicken-Geuck, and the Geuck are not served one by one. Instead the Geuck are stacked in one dish designed for Geuck in order of meats from poultry, animal, fish, and shell. As the sub-dishes for rice, raw and cooked Geuck are used. 5. The number of stew (Tang) are 3 to 6 and 5 stews is the most popular. Commonly used stews are meat stew, fish stew, chicken stew, vegetable stew, blood stew, and organs stew. For the vegetable stew, buckwheat gel can be used. 6. As the fruit, chinese date, pear, nut and dried persimmons are the basic ones. The even number of 6 or 8 colorful fruits are used, while the odd number of 7 or 9 colorful fruits are used in three head families. 7. As Sik-Hae which is a drink and made from fermented rice, rice Sik-Hae or fish Sik-Hae has been necessarily used. 8. As raw meat dish, the liver of cow or meat is used. As a wrapping materials, the reticulum of a ruminant, green seaweed or thinly fried egg can be used.

  • PDF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내 일반엑스선검사 진단참고수준의 유효선량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with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 using Monte-Carlo Simulation)

  • 이승열;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41-104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일반엑스선검사의 진단참고수준 중 다빈도 검사에 대한 유효선량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엑스선검사의 진단참고수준에 대한 유효선량 평가는 가장 다빈도로 검사되는 두부 전후면(Anterior-Posterior; AP), 흉부 후전면(Posterior-Anterior; PA), 흉부 측면(Lateral; LAT), 복부 AP, 골반 AP 등 총 5개의 검사 부위로 선정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관전압과 관전류 등의 물리적 조건은 국내 조건의 대표성을 나타내기 위해 질병관리청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국내 의료방사선 피폭량 평가를 위해 사용된 인체 전산 팬텀은 한국인의 표준 체형을 대표할 수 있고 국제규격의 ICRP 103 기반으로 제작된 HDRK-Man 전산 인체팬텀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두부 AP의 진단참고수준에 해당되는 유효선량은 0.086 mSv, 흉부 PA는 0.05 mSv, 흉부 LAT는 0.354 mSv, 복부 AP는 0.548 mSv, 골반 AP는 0.451 mSv로 평가되었다.

아트토이 등신 비율 사례 및 선호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ase and Preference of The Art-toy Body Ratio)

  • 연상민;조성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62-171
    • /
    • 2022
  • <2020 캐릭터산업백서>에 따르면 캐릭터 구매 상품군의 1위는 완구로 58%에 해당하며, 매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아트토이의 관심도 또한 높아지며 성장하고 있다. 아트토이 시장이 커짐에 따라 아트토이 작가와 기업의 수도 늘고 소비자 또한 늘어나고 있다. 시장의 확대에 따라 다양한 아트토이가 창작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아트토이는 다양한 소재가 의인화되어 표현된 것이 대부분으로 인체 비례를 바탕으로 창작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체 비례의 측정 기준인 등신 비율을 통하여 아트토이의 사례 분석과 일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아트토이는 등신 비율에 따른 제작 밀집구역과 이상적인 형태 비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호도 조사에 나타난 남녀 간의 등신 비율은 남성은 7등신, 여성은 3등신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선호도 등신 비율인 2, 3등신은 아트토이 사례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에 아트토이 사례 및 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아트토이의 디자인 발전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향후 이 연구를 통하여 아트토이를 창작하고 연구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기대한다.

강합성 교량의 콘크리트 바닥판 해체 및 재시공이 용이한 분리식 볼트접합 전단연결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Demountable Bolted Shear Connectors for the Easy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Concrete Slabs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 정대성;박세현;김태형;김철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6호
    • /
    • pp.751-762
    • /
    • 2022
  • 강합성 교량에서 강 거더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을 위한 전단연결재로는 용접접합 머리붙이 스터드가 주로 사용된다. 용접접합 전단연결재의 경우, 손상 또는 노후화된 바닥판 철거 시에 파쇄에 따른 소음, 비산먼지 등이 발생하여 환경적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적 문제 및 생애주기비용 관점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노후화된 콘크리트 바닥판의 교체가 용이한 분리식 전단연결재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로는 매립너트 방식이 주로 연구되었으나 낮은 강성과 전단저항강도, 초기슬립 증가 등으로 교량과 같은 토목구조물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매립너트 부분이 스터드 기둥에 일체화되고 확대 기둥 하단에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분리식 볼트접합 전단연결재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리식 스터드볼트의 정적 전단강도와 슬립 변위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해 수평전단실험을 수행하였고, 기존 용접접합 스터드와 성능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분리식 볼트접합 전단연결재가 전단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슬립변위 또한 연성설계기준을 만족함으로써 기존 용접 스터드를 충분히 대체하여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재래산양의 전지골격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Studies on the Skeleton of Thoracic Limb of Korean Native Goat)

  • 김진상;이흥식;이인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7-183
    • /
    • 1987
  •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Skeleton of thoracic limb of thirty-one adult Korean native goats(body weight: 14~17kg) was observed after skeletal preparation, and the osteometry was performed in each b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horacic limb of the Korean native goat was composed of scapula, humerus, radius, ulna, carpal bones, metacarpal bones, phalanges and sesamoid bones. 2. The scapula was flat and triangular in shape. There were no distinct tuber of spine and acromion in the spine. The subscapular fossa was deep and triangular in shape and the vertebral border was sigmoid form. The coracoid bone was formed as the coracoid process at the medial aspect of the supraglenoid tubercle but the clavicle wa.s not observed. The left and right scapular indexes were 57.92 and 58.31 and the glenoid cavity indexes were 89.23 and 86.82, respectively. 3. The greater tubercle of the humerus was devided into cranial and caudal parts. The third tubercle was observed and the face for the infraspinatus muscle was rectangular form. The left and right humerus indexes were 32.44 and 32.63, the head indexes were 94.13, 96.62 and the trochlear-epidondyle indexes were 67.32 and 65.81, respectively. 4. The radius and ulna were fused entirely except at the broad proximal and narrow distal interosseous spaces. The ulna was longer than the radius, and its reduced body and distal end were fused at the caudomedial surface of the radius. 5. The carpal bones were six in number. There were radial, intermediate, ulnar, accessory, second-third and fourth carpal hones in carpal bones. 6. The metacarpal bone was composed of a large metacarpal bone resulted from the fusion of the third and fourth metacarpal bones, and there was a metacarpal tubercle at the dorsolateral part of the proximal end. There were no vestiges of the second and fifth metacarpal bones. 7. The digits were composed of third and fourth digits and each digit was composed of the proximal, middle and distal phalanges. 8. The sesamoid bones were six in number. There were two at the fetlock joint and one at the coffine joint palmarly in each digit. 9. The ratios of the lengths among the scapula, humerus, antebrachium and metacarpal bone were 1.42 : 1.47 : 1.77 : 1.00 in the left and 1.42 : 1.45 : 1.77 : 1.00 in the right, respectively.

  • PDF

한국 성인에서 이하 두정 방사선 계측사진 분석 (Submentovertex cephalometrics in korean adults)

  • 남동석;서정훈;양원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00
  • 교정 치료계획을 세우기 전에 부정교합에 기여하는 안면 비대칭의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안면 비대칭의 진단은 주로 정모, 이하 두정, 두정 이하 방사선 사진이 이용되고 있다. 이중 이하 두정 방사선 사진은 반복재현성이 벌어지고 연구자료와 적절한 분석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환자나 악교정 수술을 요하는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임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하 두정 방사선 계측사진의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한국 성인에서의 정상치를 얻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조화를 이루고 균형 잡힌 안모를 가진 교정치료 경험이 없는 4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하 두정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2개의 각도계측 항목과 9개의 선 계측항목을 측정하였다. 이하 두정 방사선 사진 분석에서 정상인에서 하악체의 길이는 좌, 우측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정모, 측모 방사선사진의 계측 값과는 큰 차이를 보여, 비대칭의 절대적 양의 측정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기준선에 대한 좌, 우측 비교는 기준선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과두의 위치 평가는 f. spinosum을 연결한 선의 수직이등분선을 정중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작은 편차를 보였으며, 상, 하악의 skeletal midline과 dental midline의 일치 여부 등을 판단할 때는 crista gli와 anterior process of atlas와 같이 midsagittal line 상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정중선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작은 편차를 보였다. 그리고 하악 과두 및 하악체의 형태이상을 관찰하는데는 매우 높은 진단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하 두정방사선사진의 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정모,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함께 비대칭 분석에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비대칭 부위와 정도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경골어류 황어아과 버들치의 정자형성과정 (The Spermatogenesis of Chinese minnow, Leuciscinae, Teleostei)

  • 김동희;장병수;김완종;이명선;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1-8
    • /
    • 2010
  • 경골어류 잉어과(Cyprinidae), 황어아과(Leuciscinae)에 속하는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버들치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약 2.3 cm, 단축 약 6 mm 정도로 팽창된 긴방추형이었고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 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 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다.

아동한복에 나타난 색과 문양에 관한 연구 -박물관소장 유품과 제작된 실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and Shape as Shown in Traditional Childrens Wear)

  • 심화진
    • 복식
    • /
    • 제35권
    • /
    • pp.91-109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more rational way of inherit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HanBok children wear by means of looking at the color and shapes of traditional Korean HanBok and also to find a way to apply this to today's children HanBok wear. The process taken was first to study re-lated literature and its theories and to research museums to find what few traditional HanBok there are and then to compare these findings with new books and personal pieces kept by individuals. We also compared with HanBok children wear now sold at markets.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show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We have found that modern children HanBok utilized the same yellow blouse and red skirt combination as before. These nearly in all cases represented the colors for girls. To most koreans these combination colors are a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hildren wear nat-urally accepted by most koreans without any resistance. Also a definite relation with tra-ditional and modern children wear in the sense of color and shape wear hard to substantiate but we could find harmony between the two. In other words a mixture of modern shapes and traditional colors could be found or vice versa. This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when trying to inherit traditional hanBok cuture. Modern times has seen great change in lifestyle feelings and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harmony between tra-dition and present day customs a certain mix-ture is required. Therefore we need to maximize traditional flavor and design with present day design emotions. Another issue is that right now children hanBok is only being utilized on a restricted scale. It is a shame that in today's children HanBok that added to the skirt pants and overall wear that the head wear purse and other accessories are not being used. There-fore the HanBok culture especially for the correct succession of children hanBok must refrain from such restricted use of accessories and work to advertise the widespread use of proper Hanbok wear thereby upholding the rightful use of HanBok. As I have mentioned in my other studies it is ones momory of early HanBok wear which greatly affects a grown-up so we should wear hanBok in the right way from an early age and become accustome to its shapes and colors thereby become friendly with traditional HanBok wear. This I believe will lead to overcoming prejudice and disapproval of hanBok and to a more affirm-ative view towards our cultural heritage, Looking from a design point of view inter-national design of a nation's traditional wear can only come from a correct understanding of ones traditions this then becoming a foun-dation for creative design. Seen from these aspects a re-cretion through the meaningful activities of studying traditional shapes and colors of hanBok is the beat way to forming a true HanBok tra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