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atch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first feed intake tim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apparent metabolic rate and intestinal digestive enzyme activities in broilers

  • Wang, J.S.;Guo, T.Y.;Wang, Y.X.;Li, K.X.;Wang, Q.;Zhan, X.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899-904
    • /
    • 2018
  • Objective: This experiment studied the effects of first feed intake time post-hatch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apparent metabolic rate and intestinal digestive enzyme activities in broilers. Methods: Two thousand five hundred and twenty LingNan Yellow broilers were randomly allotted to seven treatments with six replicates of 60 each. The only experimental factor was the first feed intake time which was 18, 24, 30, 36, 42, 48, and 54 hours after hatching. The whole experiment lasted for 21 days. Results: During the whole period, the 30 h treatment had the best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p<0.05), followed by the 24 h group performance optimization. Also, the 30 h group was observed to have the best apparent metabolic rate for ether extract (p<0.05) and crude protein (p<0.05) and the highest activities of amylase, lipase and trypsin in small intestine. And the 24 h group was second only to the 30 h group in terms of the above two measur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ppropriate first feeding time of LingNan Yellow broilers was 24 to 30 hours after hatching.

한미FTA와 TPP협정의 비교분석을 통한 의약품 분야 국제통상규범에 대한 연구 (The Pharmaceuticals Regime in the KORUS FTA and the TPP Agreement: A Comparative Analysis)

  • 윤미경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4호
    • /
    • pp.165-193
    • /
    • 2016
  • 본 논문은 한미FTA와 TPP협정을 비교분석하여 의약품 분야 국제통상규범이 어떻게 진화해가고 있는지 살펴본다. TRIPS협정 이후 양자 또는 지역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자료독점 보장과 같은 의약품 분야의 지재권 보호 강화는 물론이고 의약품 판매 허가 및 약가 결정 방식 등 보건의료 제도 측면에서도 신약 개발자의 이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규제조화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전형적인 예가 한미 FTA와 TPP협정이다. 특히, 가장 처음으로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 규정을 도입한 TPP협정은 향후 모든 협정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PP협정은 한미FTA와 비교하여 의약품 분야 지재권 보호 정도가 전반적으로 더 강화되었다고 보기 어렵고, 부분적으로는 오히려 더 높은 정책적 유연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한국이 TPP협정 가입 협상을 하게 되거나 한미FTA를 재협상해야 한다면, 두 협정 간 이러한 차이를 잘 활용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협상 전략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 PDF

멸종위기에 처한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 (Cobitidae)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Koreocobitis naktongensis (Cobitidae))

  • 송하윤;양현;조은미;신현철;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7-252
    • /
    • 2009
  • 멸종위기 담수어류인 얼룩새코미꾸리 Koreocobitis naktongensis의 난 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조사하였다. 인간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을 10 IU/g의 농도로 암컷의 복강에 주사하여 성숙란을 얻었으며, 건식법으로 정자와 수정시켰다. 수정란의 난경은 1.0~1.2 mm로 유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배체는 수온 $20{\pm}1^{\circ}C$에서 수정 38시간 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5~2.8 mm로 입과 항문은 아직 열리지 않았다. 부화 후 7일째 자어는 전장 4.5~5.2 mm로 난황은 완전히 흡수되었다. 부화 후 50일째 모든 지느러미가 완성되는 치어기로 이행하였고, 이때의 전장은 21~27 mm였다.

해산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Beloniformes; Teleostei))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1-148
    • /
    • 2009
  • Oryzias dancena를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양 생물모델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초기 성분화와 생식소 발달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가 처음 관찰된 시기는 수정 후 5일째이고, 수정 후 9일째에 장과 앞신장관 사이의 생식소 형성 부근으로 이동한 것이 관찰되었다. 부화 후 12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28일째 난소에서는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28일째의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와 정원세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란은 부화 후 9주째에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의 난소에서는 난황과립이 난 전체에 형성되는 성숙난과 배란 직후 성숙난이 빠져나간 흔적이 관찰되었다. 수컷 생식소에서 역시 많은 수의 정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사정 직후 정자가 빠져나간 부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하는 분화형 자웅이체에 속한다.

바다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발달 (Embryogenesis and Early Ontogenesis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8
    • /
    • 2009
  • Oryzias dancena의 난발생 과정과 자치어의 형태발달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수온 $25{\pm}1^{\circ}C$에서 수정란은 수정 후 1시간이 경과하면 배반이 형성되었다가 30분의 간격으로 4세포기까지 난할이 이루어졌다. 이후로 발생의 속도가 느려져 수정 후, 7시간 45분이 경과된 후 포배기에 이르렀다. 수정 후 5시간 30분 후에 상실기에 도달하였으며, 포배기는 수정 후 7시간 45분 후에 이루어졌다. 수정 후 11시간 30분이 경과된 후 낭배기에 이르렀고, 수정 후 1일 6시간 후, 신경배를 형성하였다. 심장 박동이 시작되는 시기는 수정 후 2일 4시간째에 이루어졌으며, 수정 후 6일 12시간째 장기에 혈관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11일째에 부화하였고,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4.40{\pm}0.24mm$였으며, 부화 3일 후에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1일째에 각 지느러미 기조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으며, 이 때 전장은 $8.67{\pm}0.87mm$였다. 최초 산란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부화 후 9주째로 전장은 $22.58{\pm}2.73mm$였다.

위천에 서식하는 피라미(Zacco platypus)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Eggs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Pale Chub, Zacco platypus from Wicheon)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0-196
    • /
    • 2017
  • 피라미의 수정란을 부화 사육하여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실험어는 2016년 6월 낙동강 수계인 위천에서 어미를 포획하여 인공수정 하였다. 난의 크기는 1.68~1.78 mm (평균${\pm}$SD, $1.73{\pm}0.07mm$, n=30)였고, 부화 시간은 7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5.39~5.42 mm ($5.40{\pm}0.02mm$, n=10)였고, 부화 후 8일째 후기 자어는 전장 7.89~7.93 mm ($7.91{\pm}0.02mm$, n=10)로 꼬리지느러미에 10개의 줄기가 형성되었으며, 부화 후 44일째 치어는 전장 16.1~16.5 mm ($16.3{\pm}0.28mm$, n=10)로 각 부위별 지느러미 줄기수가 정수에 달하였다.

Plasma Stress Responses in Juvenile Red-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exposed to Abrupt Salinity Decrease

  • Lee, Jang-Won;Kim, Hyung Bae;Baek, Hea Ja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187-196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acute plasma stress responses in two size groups of juvenile Epinephelus akaara (average body weight: $8.4{\pm}2.1$ and $3.3{\pm}0.6g$; 150 and 120 days after hatch, respectively) exposed to abrupt salinity drops (from 34 practical salinity unit, PSU seawater to 18, 10 PSU (experiment 1) or 26, 18, 10 PSU (experiment 2), respectively).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red blood cell counts, and gill histology were determined during 72 h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lasma glucose,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levels, and red blood cell counts were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Histological changes, such as hyperplasia and lifting of epithelium in the gill secondary lamellae, were also observed in fish exposed to 18 or 10 PSU at 72 h post-drop. E. akaara exposed to sudden salinity drops to 18 or 10 PSU still seems to undergo the primary adjustment phase before fish reaches a new homeostasis, whereas fish exposed to 26 PSU seems to mount osmotic changes. Therefore,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for 72 h acute salinity challenge was 26 PSU in our study, and salinity drop to 18 PSU and below can possibly cause acute adverse effect, in which fish could be vulnerable to additional stresses such as a temperature changes or handling stress.

Influence of Chilling Duration on Oxygen Consumption and Hatchability in Egg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Yoon, Hyung-Joo;Kim, Sam-Eun;Kim, Jong-Gill;Park,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73-76
    • /
    • 2004
  • The rate of oxygen consumption of the silkworm eggs was measured to set up the barometer for measuring the effect of egg chilling on diapause termination. In diapause eggs, $O_2$ uptake showed a maximum of 79.2 ${mu}ell$/mg eggs/hr, at one day after oviposition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2.2${mu}ell$/mg eggs/hr at 9days. The rates of oxygen uptake of eggs raised immediately after HCl-treatment and reached to a maximal level of 484.5 ${mu}ell$/mg eggs/hr in 9-day-old eggs, which corresponds to 220 fold that of diapause eggs, and the hatching ability was also over 50%. In order to break diapause, eggs incubated at $25^{\circ}C$ for 30 days after oviposition had to be kept at least for 45 days at 5$^{\circ}C$, but chilled eggs for 90 days or longer hatched at 10 days as normal hatching periods. We also investigate periods which the value of $O_2$ uptake of eggs chilled during 15 to 120 days at 5$^{\circ}C$ reached at 200 ${mu}ell$/mg eggs/hr. As a result of that, $O_2$ uptake of eggs chilled during 15 to 45days were not reached at 200 ${mu}ell$/mg eggs/hr and longer the chilling durations are, the higher the rate of $O_2$ uptake is and the longer the chilling durations are, the shorter the periods up to hatching is. And also, hatch-ability increased rapidly as $O_2$ uptake reaches over 20/eggs/hr.

Effect of Exogenous Administration of Tamoxifen on Hormonal Profile and Sexual Maturity in Indian Native Kadaknath Fowl

  • Biswas, Avishek;Mohan, J.;Sastry, K.V.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13-16
    • /
    • 2010
  • The effect of exogenous administration of tamoxifen (TAM) on hormonal profile and sexual maturity in Indian native Kadaknath (KN) fowl was investigated. Day-old chicks from the same hat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15 groups with 20 chicks in each group (5 treatments${\times}$3 replicates). The chicks were placed in battery brooders with wire-mesh floors and reared under uniform husbandry conditions (14 h light/d, 25-32${^{\circ}C}$) on a standard basal diet. At the age of two weeks (wk), birds from the control group ($T_{1}$) were injected with maize oil intramuscularly (I/M), whereas the other four experimental groups $T_{2}$, $T_{3}$, $T_{4}$ and $T_{5}$ were given tamoxifen (I/M) dissolved in maize oil at the rate of 0.5 mg (0.5 TAM), 1.0 mg (1.0 TAM), 2.5 mg (2.5 TAM) and 5.0 mg (5.0 TAM)/kg body weight, respectively, up to 30 wks on every alternate day. At every 6-wk interv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nine birds of each treatment group for estimation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The same birds were sacrificed for determination of the weight of ovary, oviduct, liver and adipose tiss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gg production traits except onset of lay and egg number. Low doses of TAM ($T_{3}$) advanced the onset of egg laying by 15 days over the control. Tamoxifen influenced the hormonal profile (estrogen and progesterone) in a dose dependent manner. However, higher doses of TAM suppressed ovary and oviductal growth. From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lower doses of TAM enhanced sexual maturity while higher doses suppressed ovary and oviductal growth.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산란과 유생사육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 박기열;김수경;서형철;마채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05
  • 비단가리비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산란기 조사. 산란유발, 난 발생 및 유생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단가리비의 산란기를 알기 위하여 비만도 및 GSI 분석 결과 비단가리비의 산란기는 5$\~$8월로 추정되어지며, 단일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어미의 각종 산란유발 자극에 대한 반응은 Serotonin 주사, 온도자극, 혼합자극에서 반응률이 가장 높았으며. 자외선 조사해수 자극은 수컷만 반응을 하였고 간출자극은 반응이 없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가리비의 수정란의 크기는 69.5$\mu$m였고, 수정 후 약 2시간 후에 2세포기, 8시간 후에 8세포기, 20시간 후에는 담륜자유생으로 부화하였으며 40시간 후에는 D상 유생, 11일 후에는 각정기로 성장하였다. 수정 18일 후에는 부착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80일째는 각장 2.6 mm로 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