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ppi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장애인의 행복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메타포 분석 (Metaphor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Happi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백수진;안성우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2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장애인 행복에 관한 인식을 메타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장애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부산의 P 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은유적 표현과 그 의미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103개의 산출된 메타포를 의미가 유사한 용어로 재분류하여 55개의 대표 메타포로 축소·분류하였고, 대표 메타포를 다시 의미중심으로 범주화 한 결과 5가지 주제로 구성되었다. '편견 없는 공존', '동등한 기쁨', '필수불가결한 권리', '이루어야할 미래', '독립적인 주체'로 범주화되었고,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메타포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장애인의 행복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어 예비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모색하는데 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의복비 지출 현황 조사 및 타인 의존도와 행복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효능의 매개효과와 장애 수용의 조절효과 검증 -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 - (Clothing expenditure, an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mong visually impaired people - Moderated mediating model -)

  • 이민선;박해림;양호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6호
    • /
    • pp.842-860
    • /
    • 2022
  •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on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expenditure, and (2)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is study was based on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lle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cloth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happines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while being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endency on others.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endency on others and happiness. A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was found, in which negativ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o had low and mean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but not high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in which the indirect and negative effect of dependency on others on happiness via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for those with low and average level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ese findings suppor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independenc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ir happiness.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 메타포(Metaphor)분석을 중심으로 (Meaning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Metaphor)

  • 장오선;김려원;전병운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43-6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프로그램 담당자들이 산출한 메타포를 통해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 복지관에서 실제로 장애인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분석 자료로서의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 26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141명의 메타포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메타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 당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존재 이유, 추구 방향, 접근 방법, 성공적 장 애인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매개체, 장애인문화예술교육의 기반과 같이 크게 5가지로 인식하고 있 음이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장애인 복지관 담당자의 메타포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행복, 동등한 향유, 사회적 참여, 자존감 향상, 소통과 공감, 함께 하기, 재미있는 배 움을 통한 교육, 숨은 노력이 필요한 교육, 자유권 보장, 다양성 인정과 같은 10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장애인평생교육에 있어서의 문화예술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재가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경험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Community 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전원희;최은정;조현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4-255
    • /
    • 2020
  • Purpose: As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re closely correlated to mental health recove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in depth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Method: Participants included eight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12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per participa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described by Giorgi. Results: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encountering shocking reality in the outside world", "life tied down by the mental illness", "happiness and gratefulness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wishing for a change and self-sustaining lif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recovery and welfare of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promoted and that these patients made necessary efforts to become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which enabl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s functioning members of the community that facilitate the prevention of relapse, to promote their 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Furthermore, the present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recovery and prevent relapse, to ultimately establish a m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 박정임;김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65-7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G장애인근로사업장내 발달장애인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하여 심층 인터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장애인근로사업장의 일과 복지서비스와 관련된 문서자료, 현장관찰, 문헌 검토 등을 실시하고 분석하여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은 총 10개의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의 본질은 총 5개로 도출되었다. 장애인근로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의 본질은 경제적 자립의 안정과 자부심, 일 자체의 즐거움과 책임감, 사회 속에 정규직이라는 성취감, 직장 내 사람들의 인정 및 지지적 교류, 복지지원 및 참여확대에 대한 기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을 위한 일과 복지서비스 지원의 국내 직업재활 정책적 방향과 함의를 제언하였다.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Disabled Children)

  • 한희창;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19-425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관련성이 있다고 규명된 요인들 간의 직접·간접효과를 분석하여, 장애아동 주 양육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정책적인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전라북도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장애자녀의 주양육자 43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가족건강성과 행복감의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장애자녀주 양육자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가족건강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자녀 주 양육자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장애자녀 주양육자에 대한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