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ul Syllabl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Some Characteristics of Hanmal and Hangul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ing Hangul Information on Computers

  • Kim, Kyong-Sok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456-463
    • /
    • 1996
  • In this paper, we discussed three cases to see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writing system. In applications such as computer Hangul shorthands for ordinary people and pushbuttons with Hangul characters engraved, we found that there is much advantage in using Hangul. In case of Hangul Transliteration, we discussed some probl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writing system. Shorthands use 3-set keyboards in England, America, and Korea. We saw how ordinary people can do computer Hangul shorthands, whereas only experts can do computer shorthands in other countries. Specifically, the facts that 1) Hangul characters are grouped into syllables (syllabic blocks) and that 2) there is already a 3-set Hangul keyboard for ordinary people allow ordinary people to do computer Hangul shorthands without taking special training as with English shorthands. This study was done by the author under the codename of 'Sejong 89'. In contrast like QWERTY or DVORAK, a 2-set Hangul keyboard cannot be used for shorthands. In case of English pushbuttons, one digit is associated with only one character. However, by engraving only syllable-initial characters on the phone pushbuttons, we can associate one Hangul "syllable" with one digit. Therefore, for a given number of digits, we can associate longer words or more meaningful words in Hangul than in English. We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Hangul Transliteration system proposed by South Korea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if available. 1) We are incorrectly using the framework of transcription for transliteration. To solve the problem, the author suggests that a) we include all complex characters in the transliteration table, and that b) we specify syllable-initial and -final characters separately in the table. 2) The proposed system cannot represent independent characters and incomplete syllables. 3) The proposed system cannot distinguish between syllable-initial and -final characters.

  • PDF

한글 음절의 유형 분석 정보에 의한 낱자 폰트의 설계 (Design of Phoneme Fonts using an Analized Information of Hangul Syllable Forms)

  • 이계영;김규식;이상범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29B권9호
    • /
    • pp.17-26
    • /
    • 1992
  • This paper proposed an analysis method of common form for phonemes which is able to construct a Hangul syllable and designed the Choseong, Jungseong, and Jongseong phoneme fonts based on analized information. Also, It presents the algorithm which is able to construct the output of all Hangul syllables using 473 phoneme fonts. Through the experiment, an analized information and output algorithm c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of Hangul fonts, effectively.

  • PDF

한글 오토마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gul automata)

  • 김인정;황희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9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1-494
    • /
    • 1989
  • We have developed a simple and efficient hangul recognizing automata as a part of a graphic project. this automata accepts both English and Korean code from a Korean syllable from a stream of Korean alphabets. The automata then mates a 2 byte Hangul combination code from the recognized syllable and passes that code to the graphic system.

  • PDF

유니코드 기반 UTF-8 한글글자마디 부호의 회선부호기내 스크램블링 발생에 관한 연구 (Study on Scrambling Occurrence in Line Coder for UTF-8 Hangul Syllable Code based on Unicode)

  • 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31-836
    • /
    • 2015
  • 본 논문은 국제적 문자부호체계인 유니코드 체계를 기반으로 한 한글글자마디의 UTF-8부호가 회선부호기상에서 어느 정도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지를 연구하였다. 회선부호기의 ${\ldots}$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것은 ITU-T의 규격중 AMI 회선부호기에 적용되는 HDB-3 스크램블링과 관련된다. 본 논문은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문자의 코드를 분석하기 위해 문자의 원천부호화 규칙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UTF-8한글글자마디부호 중에서 약 39%의 스크램블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한글코드 “Truecode”의 개발과 응용 (The Development of New Hangul Code "Truecode" and Its Applications)

  • 이문형;김기두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5호
    • /
    • pp.43-51
    • /
    • 1993
  • A new Hangul code called Truecode is developed for accomodating to the future computing environments of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ultimedia as well as for corresponding with the invention principle of Hangul. Truecode is not a forced two-byte code of syllable unit, as completion-type of combination-type, currently used, but a one byte code of phoneme unit, which can represent initial consonant, vowel, and final consonant each.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ree-byte code of syllable unit and also does not require the fill code used for three-byte code. We expect great contribution to the Hangul culture from Truecode's some important following features. It can express all the Korean characters we may imagine and does not cause any problem in communication. As well as we may use direct connection font, we can assign ont-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ruecode and a keyboard with three sets. Truecode has a good advantage in developing application softwares of Hangul and it can nicely be applied to the fields of speech recogni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natural language.

  • PDF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올바른 한글 정규화를 위한 수정 방안 (Correction for Hangul Normalization in Unicode)

  • 안대혁;박영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2호
    • /
    • pp.169-177
    • /
    • 2007
  • 현재 유니코드에서 한글텍스트의 정규화 기법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과 옛한글을 표현하는 조합형 한글 그리고 호환 자모등과 같이 사용할 경우 원래의 글자와는 전혀 다른 글자의 조합을 만들어내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호환 한글 자모 및 기호들의 잘못된 정규화 변환과 유니코드의 한글자모 조합 규칙에서 자모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을 다시 조합하여 한글음절로 사용 할 수 있게 허용한 때문이다. 이는 정규화 형식을 처음 작성할 당시 옛한글의 사용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성 된데 따른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니코드 환경에서의 한글 코드와 특히 최근 들어 Web을 비롯하여 XML과 IDN에서 필연적으로 사용하는 정규화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들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정규화의 수정 방안과 조합형 한글의 조합 규칙에 대한 수정 방안을 제안한다.

유니코드의 한글 인코딩 표준안 (Hangul Encoding Standard based on Unicode)

  • 안대혁;박영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2호
    • /
    • pp.1083-1092
    • /
    • 2007
  • 현재 유니코드에서 한글 텍스트의 인코딩 기법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과 주로 옛한글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자모 조합형 한글'로 나뉘고 있다. 그러나 정규화 변환과 유니코드의 한글자모 조합 규정에서 자모와 완성형 현대한글 음절을 다시 조합하여 한글음절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했기 때문에, 구현하는 사람마다 각기 서로 다르게 한글 인코딩을 하고 있다. 이는 인코딩과 정규화 형식을 처음 작성할 당시 옛한글의 확장 사용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한글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성된 데 따른 결과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한 개의 한글음절에 대한 여러 가지 표현 방법이 존재함으로써 한글 문자열의 검색, 비교, 정렬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인코딩 방법을 중심으로 정규화에 의한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들을 올바르게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단일 한글 인코딩 표준 방안을 제안한다.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음절 형태를 중심으로 (Variables affecting Korean word recognition: focusing on syllable shape)

  • 민수영;이창환
    • 인지과학
    • /
    • 제29권4호
    • /
    • pp.193-220
    • /
    • 2018
  • 시각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단어 빈도, 단어 길이, 이웃단어, 단어 형태 등이 밝혀진 바 있다. 단어 형태 변인은 한글이 영어와는 글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형태 정보가 단어 처리에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게스탈트의 연속성 원리를 한글에 적용하여 한글 단어의 처리 단위를 알아보고, 음절 형태가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3음절 단어를 사용하여 음절 유형(평소 읽기방향이 연속성 원리에 부합하는 '가로집자'형(예: "가"), 부합하지 않는 '세로집자'형(예: "고")과 글자 제시 방향(가로, 세로)을 조작하였다. 어휘 판단 시간의 분석 결과, 제시 방향에 상관없이 '가로집자'형의 처리 속도가 '세로집자'형보다 빨랐다. 실험 2에서는 차폐 점화를 사용하여 음절유형('가로집자'와 '세로집자'형) 및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의 시각적 관계(동일, 유사, 상이)를 조작하였다. 점화자극과 목표자극의 음절집자 형태에 따라서 수행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음절 형태가 단어 재인에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어 어휘특성들이 기억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Korean Lexical Characteristics on Memory Span)

  • 박태진;박선희;김태호
    • 인지과학
    • /
    • 제17권1호
    • /
    • pp.15-27
    • /
    • 2006
  • 한국어 단어의 글자 수, 받침의 수와 위치, 합성어 여부가 기억폭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글자가 많은 단어일수록 기억폭이 작았으며, 두 글자 단어들에서 받침이 많을수록 기억폭이 더 작았고(기억폭에 대한 받침효과), 합성어보다 단일어의 기억폭이 더 컸다. 단어당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 글자가 많은 단어일수록 속도가 느렸지만, 두 글자 단어들에서 뒷받침단어의 읽기 속도가 받침없는 단어, 앞받침단어 및 양받침단어보다 더 빨랐고(읽기 속도에 대한 말미 받침효과), 합성어보다 단일어의 읽기 속도가 더 빨랐다. 기억폭과 읽기 속도간에 관찰된 이러한 관계는 단어길이효과에 대한 음운루프설명과 잘 부합되지 않으며, 기억폭이 음운정보 뿐만 아니라 시각적 캐시에 표상되는 철자 정보의 영향을 받는다는 설명을 지지해준다.

  • PDF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Kindergartners' Reading of Words in Hangul :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 최나야;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3-95
    • /
    • 2007
  • Causal relationships of kindergarteners'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to their ability to read words was investiga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289 4- to 6-year-old children attending three kindergartens in Busan. Results showed gradual growth in reading ability with age. Children performed best in reading words and poorest in reading low frequency letters. They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in skills of syllable deletion, phoneme substitution, phoneme insertion, phonological memory and naming. Discontinuous development was found in counting syllables. Longer syllables were difficult to count, and middle syllables of 3 syllable words were hard to delete. Children had poor perception of final consonants of Consonant-Vowel-Consonant syllables.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cessing were latent variables strongly related to ability to read words written in Hangu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