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river area

검색결과 662건 처리시간 0.029초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Habitat Type in Han River Area)

  • 허위행;박성진;임신재;박용수;최서윤;이창배;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3-91
    • /
    • 2003
  • 본 연구는 한강 유역의 팔당댐 부근(1조사지역), 밤섬 일대(2조사지역), 난지도 일대(3조사지역) 등 3개의 지역에서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0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서식환경 중 3개 지역 모두 수역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1조사지역은 산림의 비율이 높았고, 2조사지역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환경이 존재하였다. 조류군집 조사 결과 총 5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겨울을 중심으로 오리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2조사지역과 1조사지역의 서식밀도가 높았으나, 3조사 지역은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겨울조사에서 2조사지역은 수면성 오리류. 1조사지역은 잠수성 오리류의 비율이 높았다. 잠수성 오리류는 2조사지역에서는 비오리, 1조사지역에서는 흰죽지(Aythya ferina)가 대부분이었다. 이외에 1조사지역에서 물닭(Fulica atra)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수면성 오리류의 경우 2조사 지역에 채식지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서식환경이 존재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조사지역에서 흰죽지와 물닭의 서식밀도가 높은 것은 수심이 일정하고 수생식물이 풍부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보인 3조사지역의 경우 하안과 고수부지를 자연성이 높은 환경으로 조성해 준다면 조류의 종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한강 유역의 다른 지역에 적용한다면, 조류의 서식처로서 한강 유역의 잠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강우시 한강수계 하천의 연간 난분해성 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Han River Basin during Dry Days)

  • 허상회;임지열;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3-358
    • /
    • 2017
  • 2,600만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원인 한강수계의 경우 수질관리를 위해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비점오염원이 주요 원인인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의 주요 3개 하천(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의 연간 비강우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질의 유출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경우 용존성 물질의 비율이 높았으며 전체 부하량중 여름철에 대부분의 부하량이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유기물질 및 난분해성 물질의 연간 부하량의 경우 유역면적에 비례하여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 순서로 나타났다. 각 유역 면적 당 부하량 산정결과 TOC의 경우 경안천, 남한강, 북한강 순서로 나타났으며, R-TOC의 경우 비교적 일정한 유출특성을 보였다.

한국에 있어서 강우강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to Derive Empirical Formula of Rainfall Intencity in Korea)

  • 박성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44-1650
    • /
    • 1969
  • In the design of general hydrological structures, it is well know that the design flood is of importance in the design of those structures. As the design flood is estimated using the design storm, the design storm is defined by the rainfall intensity itself. Though I had studied and reported many times the reports about the rainfall-intensity in my country, poorly I did not study the long-period variation of the intensity through each section in my country before. But now, in the basin area of the Han river and the Keum river, the self-recorded rainfall charts of the single storms, which are mostly above rainfall amount of 30mm and data of about 4500 with the 150 stationyear, were analyzed, And then, the intensity formula of the hourly unit is estimated using the period from 10 minutes to 5 days. The method to analyze and estimate them, and the final results will be summarized as mentioned below: (i) At first I intended to select out the homogeneous watersheds of three, one in the Han river and two in the Keum river. But I would select the northern and the sourthern river basins, and westward from Koan station, in the basins of the Han river. Also I would select the upstream area, and the downstream area including the watershed of Chungioo, Kongjoo, Chupungryung, and the Mt. Sock, in the basins of the Keum river. Finally, I could find that there couldn't in the Keum river basin. So, I decided out and analyze only river basins of the Han river with limitation mentioned above. (ii) The statistical method to select out the homogenous watersheds is the test of homogeneous variance, and it is estim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X_{k1}^2=[{\Sigma}(n_i-1)log\bar{S^2}-\Sigma(n_i-1)log\bar{S^2}]{\times}loge$$ (iii) Actually, each homogeneous watershed has individually its own intensity formula, But I would express them as the actual amount, because the equation of intensity variance is experiential and theoretical equation of the variance. Therefore the caluating equation is actually more convenient in the actual uses. (iv) This report is one of the series for me to give the basis to the actual designs. The cost for this study i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he designs of the hydrological structures in the watersheds with limitation mentioned above may be concerned with and based upon this report.

  • PDF

한강 이촌-반포 만곡부의 편수위 연구 (Study of Superelevation of Ichon-Banpo Bend Flow in the Han River)

  • 이정규;김주영;박현진;강지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10-814
    • /
    • 2009
  • Two dimensional steady and unsteady numerical models are applied to bend reaches of the Lower Han River and the superelevation at the Ichon-Banpo bend area of Han River was observed.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meandering river are complicated due to the effects of the centrifugal force. The centrifugal force makes the outside water surface level increase and the outside velocity decrease. To study this complex flow studying two dimensional flow is important and useful to design flood control countermeasures, the analysis of sedimentation and the site selection of intake structures. Especially, the superelev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bend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height of embankment. In this study, the water surface elevations in both bank sides of the bend were measured in two reaches during floods in 2007 and 2008. And then the two-dimensional simulation using RMA-2 model was carried ou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s on bend reaches were determined by FLDWAV which is one-dimensional unsteady model. Finally, the observed data are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several superelevation formulas, and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end are discussed.

  • PDF

한강유역 환경보전 종합계획 사업의 개요 (The Outline of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master Plan Project)

  • 이선환
    • 기술사
    • /
    • 제15권1호
    • /
    • pp.46-50
    • /
    • 1982
  • Following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implement effective control of pollution and to undertake specific schemes in areas wher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is severe. In response to this need, Government of Korea prepare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Master Plan Project for water, air, solid waste to cover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Han River Basin. The Project area is approximately 27,000 sq. Km extending over Seoul, Kyunggi, Kwangwon, Chungbuk Province. The total population of Master Plan Project area is approximately 11.6 million, or one-third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There are about 8,000 industries, including those located in 16 industrial complexes, in the project area. The scope of work and terms of reference are the following: (1) A Summary of existing land use and forecasts for changes in land use by the year 2,000. (2) Emission inventories for air, waste water, and solid wastes. (3) Forecasts of future population growth patterns and pollution loadings. (4) Identification of specific projects needs to reduce pollution levels and satisfy the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5) A Program of enforcement to include (i) self monitoring, and (ii) governmental inspections and surveillance. (6) A program for quality improvement and quality assurance of environmental measurements. (7) Reports summarizing all data collected analyzed during the study. (8) Conceptual design and feasibility studies, including cost estimates, for needed pollution control projects. (9) A financial plan for future detailed design and 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for financial incentives to industry, and for user charges for industrial use of public treatment of disposal works.

  • PDF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현황과 관리방안 (Current Status of the Ecosystem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Management Plan)

  • 한상욱;조광진;김평범;신해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3-953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the Nakdong River through vegetation and biota surveys, which showed that brackish water meets fresh water, a unique ecological environment has been created, biodiversity is high, and diverse habitats are distributed. Eleven plant communities, including four woody communities and seven grass communities, a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 and a total of 514 species, including 11 endangered wildlife specie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species diversity. Among them,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Eulsuk-do area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Barreir Islands areas. The presence of a population of Sterna albifrons on Sinja-do and a population of Eremias argus on Jinwo-do, an area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confirm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and the need to expand the boundaries of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t is judg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a systemat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wetland protection area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olicy.

구한말${\sim}$일제강점기 한강 중류지역에 있어서 교통기관의 발달에 따른 유통구조의 변화 (Changes of Periodic Markets by Transportation Facilities Development in the Middle Stream Region of Han-River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y Period)

  • 김재완;이기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6
    • /
    • 2000
  • 구한말과 일제시기 동안 조선 후기의 유통구조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는데, 한강 중류지역의 변화를 통해 그 변화 모습의 대강을 찾아볼 수 있었다. 구한말과 1900년대 초반 원거리 운송은 주로 한강 수운에 의해, 단거리 운송은 소와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포구가 원거리 운송의 결절점으로서 물자 이출입의 통로 역할을 하였다. 1905년 경부선 철도의 개통과 1911년부터 대대적으로 벌어진 신작로 개설 및 우마차의 본격적인 사용은 한강 원거리 유통구조에 일대 혁신을 불러왔다. 이출부분에서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현재의 이천시와 용인시 안성시의 행정적 경계가 경부선과 남한강 수운 영향권의 경계선으로 등장하였다. 이입부분에서는 경부선 철도의 개통으로 철도역과 관계되어 있는 안성장, 오산장, 수원장 등이 고차중심지로 새롭게 떠오르고, 우마차의 본격적인 사용으로 중 단거리 운송비가 1/4 정도로 절감됨에 따라 서울 한강변 포구와의 경쟁력이 급속히 강화되어 남한강 서쪽지역의 대부분까지 그 영향권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1927년 천장선(天長線)(천안${\sim}$장호원), 1932년 수려선(水驪線) 철도(鐵道)가 개통(開通)됨으로써 원거리 유통구조는 다시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 이들 노선의 개통으로 이출부분에서 여주 이천 남쪽 지역의 대부분을 철도가 장악함으로써 남한강 수운에 대한 결정적 타격을 입히게 되었다. 이입부분에서는 한강 중류지역으로부터 유입되던 물자가 경부선 철도역 장시들을 통하지 않고 직접 들어오게 됨에 따라 안성장, 오산장, 수원장의 한강 증류지역에 대한 고차중심지적 성격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양평 지역은 1930년대까지도 철도의 영향권 밖에 있었기 때문에 남한강 수운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앙선이 1939년 양평까지, 1942년 원주까지 개통됨에 따라 비슷한 변화가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한강하구의 기수역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ckish Water Type of the Han River Estuary)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2권3호
    • /
    • pp.35-41
    • /
    • 1969
  • To clarify the types of brackish region of the Han River Estuar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btained on the basis of salinities and phytoplankton are as follows: 1. Geomorphologically, the Han River Estuary is the drowned river valley type. 2. According to the Venice System, the estuarine extent is defined from the lower point of Jollyu-ri to Palmi Island. As a whole the estuarine region is mixo-haline including parts from oligo-haline to poly-haline. 3. In standpont of phytoplankton frequency, the frequency of fresh-water species is high in the upper region of estuary and that of marine species is high in the lower region. The rate of frequency of fresh-water species is inversely proportionate to that of marine species. The area mixedby marine and fresh-water species over estuarine boundary. 4. The frequency of some typical brackish species is very low and almost similar in the whole region.

  • PDF

한강종합개발 이후 한강하구 및 경기만의 퇴적환경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an River Estuary and Around the Kyunggi Bay Posterior to the Han river's developments)

  • 장현도;오재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23
    • /
    • 1991
  • 한공종합개발 휘 한강하구 및경기만에서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리물리 적 및 퇴적학적 관점의 수사를 실시하였다. 수리적 특정과 퇴적학적 특성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지역은 크게 \circled1 행주대교 상류역의 하천, \circled2한강과 경기만을 연결하는 하 구, \circled3 경기만 일대의 연안-만 퇴적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한강종합개발 이 후 한강 전역에서 통수단면적이 증가되고 유속이 감소되는 등 전반적인 수리물리적 특 성이 변화됨으로써 한강하류 및 하구역(강화대료)에서의 부유물질 농도가 각각 37mg/l, 500-1750 mg/l에서 개발이후 17 mg/l 208-1142 mg/l 로 큰 폭으로 감소된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류 수중보 부근에서는 siltation이 유발되고 있으며, 하천환경 과 하구환경의 경제가 점이 적이지 못하고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등 퇴적환경에도 상 당한 변화가 초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종합개발에 수반되는 한강의 수위저 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잠실대교와 신곡에 수중보를 설치함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사료 된다. 하구는 하천과 해양을 연결하는 전이지역이므로, 한강과 한구에서의 이러한 변 화는 앞으로 인접한 퇴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며, 경기만으로 파급 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임진강과 예성강 하구를 포함한 한강 하구 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한강 하구 습지복원을 위한 장항습지의 사주 지형변화 및 식생정착 (Topographical change of sandbar and vegetation settlement in Jang-Hang wetlands for Han River Estuary Wetlands Restoration)

  • 안홍규;김시내;정상준;이동준;이삼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7-288
    • /
    • 2012
  • 기수역은 하천의 종횡단 방향으로 수질 하안 저질 재료 및 미지형이 변화하는 환경변화가 매우 큰 공간으로 이러한 환경의 질적 차이에 의하여 생물 서식처가 달라지는 특수한 공간이다. 본 연구는 신곡 수중보의 건설과 수중보 하류의 과도한 준설 등이 수리적인 여건 변화를 제공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주 변화가 급격히 진행된 한강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공간적 변화 추이와 장항습지의 물리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사주부 식생의 정착과 확장과정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장항습지의 사주면적은 1985년과 비교하여 2006년도에는 6배정도로 습지가 확장되었고, 갈대군락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선버들 군락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층분석 결과 장항습지는 하천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습지의 중류역에서부터 목본류가 정착하여 상하류로 확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