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heu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19세기 원주감영, 함흥감영, 해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복원 (Restoration of 19th-century Chugugi Rainfall Data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Korea)

  • 김상원;박준상;김진아;홍윤
    • 대기
    • /
    • 제22권1호
    • /
    • pp.129-135
    • /
    • 2012
  • This study restores rainfall measurements taken with the Chugugi (rain gauge) at Wonju, Hamheung, and Haeju from the Deungnok (government records from the Joseon Dynasty). We restored rainfall data corresponding to a total of 9, 13, and 18 years for Wonju, Hamheung, and Haeju,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tored data, we reconstructed monthly rainfall data. Restoration was most successful for the rainy season months of June, July and August. The restored rainfal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summer rainfall data for Seoul as recorded by the Seungjeongwon (Royal Secretariat). In June, the variation in the restored rainfall data was similar to that of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In July and August, however, the variations in the reconstructed data were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eoul data (Seungjeongwon). In the case of the worst drought in the summer of 1888, a substantial shortage of rainfall was found in both the Seungjeongwon data for Seoul and the restored data for the three regional locations.

북한 지역 동해안과 서해안 평야의 지형 환경 변화 -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 (The Changes of Geomorphic Environment at East and West Coastal Plain in North Korea)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9-191
    • /
    • 2009
  • 본 연구는 북한 서해안과 동해안에 위치한 대표적인 해안평야인 안주평야와 함흥평야를 대상으로, 1910년대의 지형도와 2000년대의 위성영상을 토대로 북한 서해안과 동해안 평야의 지형 특성과 환경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에서 열두삼천리벌이라고도 불리는 안주평야는 지형학적으로 충적평야, 해성평야, 침식평야로 구분되며, 함흥평야는 주로 성천강에 의한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다. 지난 100년간 안주평야에서는 약 84.98$km^2$의 면적의 갯벌이 간척을 통해 농경지와 염전으로 변화되었으며, 중소하천의 하도는 대부분 직강화되었다. 함흥평야에서는 성천강 삼각주의 해안선이 최대 800m 정도 바다로 전진하면서 육지 면적이 약 3.40$km^2$ 증가하였고, 과거 분합(分合) 하도록 이루던 서성천강의 유로는 개간되어 사라졌으며, 광포는 인위적인 간척과 자연적인 하천 퇴적작용으로 호수 면적이 축소되었다.

  • PDF

18세기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巡歷) 노정과 주요 업무 (The 18C Hamkyung-Gamsa's Sulryeok Routes and major duties)

  • 여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84-91
    • /
    • 2017
  • 본 논문은 함경감사가 작성한 감영(순력)일기인 윤양래의 "관북일기"와 "순력일록", 심수의 "동북안사록" 중 '북행일록', '북순일기'를 통해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 노정과 기간, 순력 중의 주요 업무 및 함경도 순력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함경도 관찰사의 순력은 조선시대 6대로 중의 하나인 경흥로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며, 따라서 경흥로 상의 역참이 중요한 경유지가 된다. 대로를 이용한 순력은 산세가 험한 함경도의 지역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감영처 함흥을 중심으로 북순과 남순으로 나누어 시행하는데, 남쪽에 치우친 함흥의 위치로 말미암아 행영과 두만강 하구 관방지역 진, 보에 이르는 북순의 경로가 긴 것에 비하여, 안변에 이르는 남순은 경로와 기간이 짧다. 북순은 관문 취점, 윤조, 길주 별과, 유생백일장과 무사 시사 등이 순력의 주요 업무이며, 남순은 영흥의 준원전, 문천의 숙릉, 안변의 지릉 등 왕실사적과 능침의 봉심이 주요 업무가 된다. 한편 순력 중 경승의 유람을 포함한 행로를 잡기도 하였는데, 북관10경이 유람의 주요한 대상이 되었다.

체감도에 의한 우리나라의 기후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matic Classification of Korea by the Sensible Degree)

  • 설동일;민병은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1
    • /
    • 199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an analysis the sensible degree in Korea by using the formulas prepared by Watanabe, and to divide the climatic classification by the sensible degree in order to apply in practical life. Most data(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velocity, atmospheric pressure) are extracted from the "Climatic Table of Korea, Volume II(1961~1990)" issu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ensible degree are similar to isotherms when the wind velocity is zero, and then the sensible degrees are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latitude. And western coastal and inland regions have larger values than eastern coastal regions in summer. However, the cont-rary distributions are shown in winter. When the wind velocity is not zero,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ensible degree are influenced by the wind velocity. In summer, the values of central and southern inland regions are especially higher than the coastal regions, and most northern districts and some inland regions (Kangnung, Ulchin, Yongju etc.) have low values in winter. Then, the climate of Korea is divided into four patterns as follows : Yow means the sensible degree when the wind velocity is zero in winter. Yow > 3 : Jeju Island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Yow = 0~3 : Most southern district and eastern coastal regions of central districts Yow = -3~0 : Most central districts and some eastern coastal regions (Hamheung, Youngheung, Won-san etc.) of northern districts Yow < -3 : Most northern districts and some inland regions(Inje, Hongcheon, Yang-pyeong etc.) of cent-ral districts.districts.

  • PDF

조선시대 각사등록으로부터 복원한 측우기 자료에 의한 우택 강우량 관측자료 단위 환산 (Conversion of the Unit of Wootaek Rainfall Data With the Chugugi Data in 「Gaksa-deungnok」 During the Joseon Dynasty)

  • 조하만;김상원;전영신
    • 대기
    • /
    • 제27권2호
    • /
    • pp.151-162
    • /
    • 2017
  • The rainfall amount data measured by 'Wootaek', a method of measuring how far the moisture had absorbed into the soil when it rain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stimated with the Chugugi data in the 12 sites where both the 'Wootaek' and 'Chugugi' data are available. Excluding the 5 sites (Ganghwa, Jinju, Jeonju, Chuncheon, Hamheung) poor in sample data, the 'Wootaek' data 1 'Ri' and 1 'Seo' in 'Chugugi' unit (Bun) in the 7 sites; Suwon, Gwangju (Gyeonggi-do), Gongju, Daegu, Wonju, Haeju and Pyeongyang, were 11.1/5.6 Bun, 9.4/3.2 Bun, 14.0/5.7 Bun, 9.3/3.9 Bun, 13.6/4.3 Bun, 11.3/4.8 Bun and 16.8/7.4 Bun, respectively. The Chugugi unit 1 'Bun' is equall to approximately 2 'mm'. The average of the 7 sites is 13.1/5.7 Bun, however it becomes small to 11.7/4.5 Bun when the Pyeongyang of which data is considerably distributed over wide range is excluded, showing that the 'Wootaek' data 1 'Ri' is approximately the 2.3~2.6 times of 1 'Seo'.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individual estimates of the sites in utilizing the 'Wootaek' rainfall data of 352 stations across the country restored from the "Gaksa-deungnok".

신문 광고에 나타난 1940년대 후반 서울 외식업의 양상과 변화 - 4대 신문의 음식점 광고 분석을 중심으로 - (The Patterns and Changes of the Late 1940s Seoul Restaurant Industry in Newspaper Advertisements - Focused on Analysis of the Four Major Newspaper's Advertisements -)

  • 이규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5
    • /
    • 2023
  • This study researches the restaurant industry in Seoul during the late 1940s.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four major newspapers in Korea. The data included a total of 227 businesses with 164 non-fusion restaurants that served single-nation type food consisting of 101 Korean, 31 Western, 20 Japanese, and 12 Chinese. Some examples of South Korean dishes are Masan, Daegu, and Jeolla-do-style local foods. As for North Korean food, Pyongyang-style bulgogi, Naengmyeon, Hamheung-style janggukbap, and Gaejangguk were introduced frequently. Chinese restaurants that appeared were high-end places with Beijing-style cuisine. In the case of Japanese restaurants, they mostly had Sukiyaki with Joseon food served as well. Moreover, Western restaurants were fusioned with Japanese as in pork cutlet and curry rice. Others are comprised of "French Cuisine", "Indian curry rice", "Steak", and "Russian soup".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foreign cuisines had actively entered the market.

SC-PDSI를 이용한 북한지역 가뭄분석 및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Drought Analysis using SC-PDSI and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in North Korea)

  • 강신욱;문장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9호
    • /
    • pp.813-8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점으로는 평양 등 27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월 강수량 및 평균기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지수로는 SC-PDSI를 이용하였으며, 27개 지점별로 1984~2013년(30년)의 월 단위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과거 가뭄에 대해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0년대 초반과 중반에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과거 가뭄사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6개 지점(평양, 함흥, 청진, 원산, 해주, 신의주)을 대상으로 지속기간별 최대 가뭄심도 자료계열을 구성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해 지점별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였다. 6개 지점의 과거 주요 가뭄사상을 추출한 후 SDF 곡선을 이용하여 각 사상별 재현기간을 추정한 결과, 2000년대 초반과 중반에 발생했던 가뭄은 최대 20~50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가뭄사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현감 이제마와 그에 대한 당대의 평가에 관한 연구 - 관측(官側) 사료 『각사등록(各司謄錄)』 「통제영계록(統制營啓錄)」과 『외안(外案)』 및 『진해군읍지(鎭海郡邑誌)』 「관적읍선생안(官蹟邑先生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Lee Jema as the governor of Jinhae with a focus on his official evaluations and on the Joseon Dynasty official documents of Separate Office Formal Records (各司謄錄), Ruling Management and Instruction Records (統制營啓錄), Employees Documents (外案), the Town Chronicle of Jinhae (鎭海郡邑誌), and A Roster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官蹟邑先生案))

  • 최성운;황지혜;하동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9-97
    • /
    • 2020
  • We discovered various sides of Lee Jema's tenure as the governor of Jinhae by looking at recently found historical material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 Joseon. Lee Jema went to his appointed post in Jinhae in February of 1887 and was replaced before the termination of his office in June of 1888. Since his replacement did not immediately arrive at Jinhae, Lee Jema continued to perform his duties until the first half of 1889.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e of his resignation and the arrival of his replacement reveals why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disagree about when he left office. After Lee Jema's official resignation in June of 1888, he was appointed to the honorary posts of Naegeumjang and Cheomji, which indicates the termination of his career as an official. Two superior officials conducted job assessments on Lee Jema three times during his service (once every six months) and these are the rare evaluations which were performed during his lifetime. Lee Jema was highly regarded in terms of job competency by two superiors in succession, which was unique for a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job assessments referred to the potential of his performance as an official which usually implied that he was a suitable candidate for higher rank. This might have derived from Lee Jema's study of statecraft. Lee Jema's love for the people as an official was also mentioned in one of the job assessment reports. This is borne out by his quelling the revolt of Hamheung Province in 1896.

길상사건(吉尙事件)을 통해 본 17세기 초 향화호인(向化胡人) 관리 실태와 한계 - 『향화인등록(向化人謄錄)』을 중심으로 - (Management of Naturalized Citizens from Yeozin and Its Limitation Through the Event of Guilsang(吉尙) in the Early 17th Century - Centering on 『Naturalization Registration』)

  • 이선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37호
    • /
    • pp.93-126
    • /
    • 2009
  • 이 논문은 1602년 12월 함흥에 사는 향화인 길상(吉尙)이 무단 상경함으로써 촉발된 사건의 발생배경에서 처결까지의 과정을 살폈다. 이를 통해 당시 향화인에 대한 관리 실태 및 향화인의 처지와 향화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길상사건은 "향화인등록(向化人謄錄)"에서 자세한 정황을 찾을 수 있었다. 길상의 무단 이탈은 국법을 어긴 것임을 영의정을 비롯하여 예조나 비변사에서도 언급하였지만 길상의 무단 상경에 대한 형정은 보이지 않는다. 길상 처리문제는 향화호인의 완취에 대한 찬반과 이주지에 대해서만 진행되었다. 완취는 당시 누루하치의 성장과 해서여진과의 세력전으로 인해 불안해진 6진 지역 번호들의 혼란과 관계하여 어려운 결정이었다. 계속 내려오는 향화호인들이 이전에 투화한 일족과 함께 살기를 원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조정에서는 완취에 대해 관대한 편이었다. 정리(情理)가 갖는 강한 명분에 대해 반대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주지에 대해서는 남쪽으로, 혹은 북쪽으로의 이주가 예조, 비변사 및 대신 사이에서 논란을 거듭하였다. 이주지로 결정될 경우 관할관찰사가 이해 당사자가 되는 탓에 함경도, 경기도, 충청도 등 관찰사 역시 장계를 통해 각 도의 입장을 전달하였다. 길상 일가의 이주지는 서울에 살기를 원하는 길상 일가의 강한 반발로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변경되어야 했다. 향화호인의 이주와 안접에 대한 처리는 도별로 달랐다. 향화인의 무단 상경은 길상사건 3년 후 길상의 조카 마보태가 길상 일가와 함께 살겠다는 이유로 재차 발생함으로써 야인의 향화가 지속되는 한 여러 차례 발생하였음을 반추하게 한다. 그러나 길상사건에서처럼 향화호인에 대한 처리는 일반 백성에게처럼 정해진 법에 따라 처리할 수 없는 일이었음을 길상사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