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함초의 항산화성 및 함초를 첨가한 족발의 품질 특성 (Antioxidant Effects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 (jokbal) added with Hamcho)

  • 이권복;김정미;김미자;강순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3-391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nd as well as manufacture pettitoes using Hamcho as a natural antioxidant material for diverse application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25, 50, 100 mg/mL in methanol extracts from Salicornia herbacea L.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o 12.8%, 21.6% and 39.1%,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38.58{\pm}4.25{\mu}M$ as tannic acid equivalent for 100 mg/mL of methanol extracts from Hamcho. FRAP value was $448.58{\pm}14.01{\mu}M$ as ascorbic acid equivalent in reducing power. To apply Hamcho to food as a natural antioxidant, pettitoes were prepared with added Hamcho. To manufacture pettitoes added with Hamcho,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ttitoes added with 0%, 2%, 4% and 6% based on 100 g of pettitoes were determined. In conclusion, mineral component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Salicornia herbacea L. Crude protein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2% added Hamcho. Overall, the addition of Hamcho led to hardening of the meat texture. As a result of measuring color in terms of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with chromaticity, the L value (brightness) increased with added amount of Hamch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ness or yellowness.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pettitoes according to addition of Hamcho, the group with 4% added Hamcho showed enhanced overall preference with improved flavor, taste and textural properties.

함초의 항산화 및 산화 촉진 효과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 김일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0-46
    • /
    • 2015
  • Hamcho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81 g and 0.72 g per 100 g of dried sample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Hamcho significantly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f hydroxyl radical was 13.8~26.2% and 14.2~16.0%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was 24.6~39.1% and 28.4~39.6%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However, pro-oxidative effect was also observed in the Hamcho extracts. The Hamcho water extract showed the pro-oxidant effect by enhancing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 and conjugated diene.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induced conjugated diene formation at 0.5 mg/mL but not at 1 mg/mL. The hydroxyl radical formation was not induced by the Hamcho ethanol extrac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Hamcho extracts can act as pro-oxidants by generating hydroxyl radical or conjugated diene in addition to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Hamcho and its use as food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because antioxidant dietary plants such as Hamcho possess possible adverse effects induced by pro-oxidant activity.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

  • Oh, Ji-Hae;Kim, Eun-Ok;Lee, Sung-Kwon;Woo, Mee-Hee;Choi, Sang-W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90-98
    • /
    • 2007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H_2O$) and ethanol (EtOH) extracts from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juice and cake prepared by enzymatic treatments were evaluated by in vitro assays against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Among the $H_2O$ and EtOH extracts from five different carbohydrases treated, the EtOH extract from viscozyme-treated hamcho cake had higher yield and phenolic content, and exhibited the strong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IC_{50}=186.91\;{\mu}g/mL$), superoxide ($IC_{50}=87.54\;{\mu}g/mL$), and hydroxyl radicals ($IC_{50}=367.07\;{\mu}g/mL$). Antioxidant assay-guided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EtOH extract led to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ve phenolic compounds, procatechuic, ferulic and caffeic acids, quercetin, and isorhamnetin. Most of these phenolic compounds exhibited considerable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caffeic and ferulic acids had stronger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well-known antioxidant radical scavenger, (+)-catechin (p<0.05). Quercetin and isorhamnetin were the primary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in the EtOH extract of the viscozyme-treated hamcho cake. Meanwhile, these fiv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EtOH extract of the viscozyme-treated hamcho cake at the following levels (dry base of hamcho); procatechuic acid (1.54 mg%), caffeic acid (6.87 mg%), ferulic acid (8.45 mg%), quercetin (12.63 mg%), and isorhamnetin (6.65 mg%). However, three of these phenolic compounds (procatechuic, caffeic acid, and ferulic acids) were detectable in the $H_2O$ extract of viscozyme-treated hamcho ju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tOH extract of viscozyme-treated hamcho cake may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서 함초 (Salicornia herbacea L.) 분말의 항비만 효과 탐색 (Anti-obesity effect of Korea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미정;전현영;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2호
    • /
    • pp.123-1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함초 (Salicornia herbacea L.)인 퉁퉁마디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함초 동결건조 분말 및 함초 동결건조 나노화 분말의 항비만 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체중은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을 섭취한 5% HS군이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NC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이섭취량은 NC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섭취군 (HFC, 2% HS, 5% HS, 1% HSN)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을 섭취한 5% HS군은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식이섭취량이 낮았다. 2) 간 무게는 고지방식이의 영향으로 NC군에 비하여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은 HFC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았다.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 역시 왼쪽/오른쪽 모두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에서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NC군보다도 유의적으로 수치가 낮았다. 3)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2% HS군을 제외한 모든 고지방식이군에서 NC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혈청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Cholesterol 농도 모두 HFC군과 비교하여 함초 섭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 조직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NC군에 비하여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HFC군은 함초 섭취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의 중성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HFC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간 세포질 중 FAS 농도의 경우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분말섭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혈청 leptin 농도는 HFC군에 비해 모든 함초 섭취군에서 leptin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특히 5% HS군은 HFC군에 비해 leptin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diponectin 농도는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의 경우 HFC군 비해 그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와 함께 섭취한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은 식이섭취량을 줄여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하였고, 혈중 leptin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혈중 adiponectin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는 등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의 식이조절 및 지질개선 건강기능성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빨간 함초의 지질 과산화 및 라디칼 형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 김동필;정영희;이미경;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0-157
    • /
    • 2007
  • Hamcho(Salicorinia herbacea, glasswort), a halophyte, is an annual succulent shrub that grows on coastal wetlands and has been regarded as a functional food for good health. Natural dried red and green Hamcho were extracted with 25% ethanol and water at 70$^{\circ}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four extracts were examined by six different assays,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total phenolic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nitric oxide(NO) and nitrite(NO$_2$) scavenging effects, reducing power,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four extracts were high at 237 ${\sim}$ 255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1 g of dried sample tested. The green Hamcho extracts contained more phenolic compounds than the red Hamcho extracts. When they were compared to tocophero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een and red Hamcho pow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ame concentration levels(5 mg and 3 mg, respectively) in a POV test. The inhibition effects of the four extracts at a level of 75 ${\mu}l$ were higher than 98% in the POV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SC$_{50}$, 90.1 ${\mu}l$). The green Hamcho 25% ethanol extract, however,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SC$_{50}$, 6.1 ${\mu}l$). The NO$_2$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assayed at pH 1.2, 4.2 and 6.0, and all the Hamcho extracts scavenged the NO$_2$ radical much more effectively at pH 1.2. The NO$_2$ scavenging effect of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64%) was as high as that of 5 mM vitamin C at pH 1.2(p<0.05). In the reducing power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revealed the highest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among the Hamcho extracts, and its activity was as high as that of 0.33 mg/ml of vitamin C. The four Hamcho extracts showed high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more than 80%, and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50${\mu}$g of kojic acid. The green and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s total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100%).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d Hamcho extracts may serve as useful natural antioxidants along with green Hamcho extracts.

함초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 손기옥;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2-480
    • /
    • 2014
  • 함초 분말의 첨가 비율(0, 2, 4, 6, 8%)을 달리하여 제조한 함초 청포묵의 수분 함량은 무첨가구와 6% 첨가구가 가장 높고, 8% 첨가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함초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은 모두 음성으로 불검출되었다. 총 이수율은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기계적 품질 특성의 경도(hardess)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함초 첨가시 무첨가군에 비해 증가 수준이 둔화되었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착성(gumminess)은 함초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 함초 4% 첨가구가 다른 시료에 비해 향, 맛, 짠맛, 텍스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함초는 동결 건조로 분말을 제조하여 식품조리 및 식품가공 등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함초 분말을 이용한 청포묵을 제조할 경우, 수분 함량, 색도, 염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균수, 총 이수율과 기계적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조사 등을 연구한 결과, 함초 분말 4%의 첨가 비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탐색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 차재영;정재준;김용택;서원석;양현주;김진숙;이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83-690
    • /
    • 2006
  • 함초의 생리활성 물질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의 채취 시기별 함초의 수용성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건물 중량 100 g당 6월 0.682%, 8월 1.005% 및 10월 0.754%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월 1.015%, 8월 1.158% 및 10월에 0.953%로 8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함초 수용성 추출물의 betaine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0.248%, 0.269% 및 0.204%로 나타났다. 함초 성숙 단계별로 채취한 시료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 함량(mg%)이 6월, 8월, 10월에서 각각 glutamic acid (582: 519: 664), proline (552: 471: 322), phenylalanine (480: 431: 424), aspartic acid (322: 297: 330), 및 arginine (282: 321: 483)이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 함량 (mg%)은 6월과 8월에 각각 proline (9.7: 3.4), asparagine (6.7: 1.4), hydroxyproline (6.4: 2.8), valine (3.9: 2.5) 및 arginine (1.7: 3.0) 이었다. 그러나 10월에 채취된 함초의 유리 아미노산은 유일하게 amonium chloride 0.27 mg%와 1-methyl-L-histidine 0.18 mg%만 함유되어 있었다. 채취 시기별 함초의 미네랄 성분 함량 (mg%)은 전체적으로 Na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K, Mg, Ca, P 순이었다. 채취 시기별로 미네랄 함량이 각각 Na (5695: 7536: 5529), K (1640: 963: 931), Mg (359: 428: 348), Ca (221: 234: 251) 및 P (207: 189: 259)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6월에 K, 8월에 Na와 Mg, 10월에 Ca과 P가 각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전자공여능(EDA) 측정에서는 0.05% BHT> 8월> 6월> 10월 순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은 채취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및 베타인의 생리활성 성분은 8월에 채취한 함초에서 가장 높았다.

효소처리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열수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Enzymic-Treat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김경란;장미진;최상원;우미희;최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5-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효소 처리하여 제조된 함초 열수추출물의 공급이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각 실험군의 100g당 간 조직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 정상식이 대조군과 정상식이에 함초 추출물을 공급한 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고콜레스테롤군들에서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조직 중성지질 함량은 고콜레스테롤군들에서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추출물 $2\%$$4\%$를 공급한 군들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간조직 총지질 함량 또한 중성지질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대조군에서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추출물을 공급함으로써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간조직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추출물 $2\%$$4\%$를 공급한 군들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에 비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군들에서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추출물을 공급한 군들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혈청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이 정상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추출물 $4\%$를 공급한 군에서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효소 처리한 함초 열수추출물의 공급은 혈청 및 간조직의 총지질,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등의 지질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 of Hamcho (Salicomia herbacea)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 김경란;최정화;이성권;우미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56-1362
    • /
    • 2006
  • 본 연구는 함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동물은 체중 $150{\pm}10g$ 내외의 Sprague-Dawley 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정상식이 대조군(N), 정상식이에 함초 열수추출물 2% 공급군(NW-2), 고콜레스테롤식이 대조군(C) 및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함초 열수추출물을 각각 1%(CW-1), 2%(CW-2) 및 4%(CW-4) 공급한 군으로 하여 총 6군으로 나누었다. 식이 및 식수는 자유섭취하게 하였으며 3주간 사육한 후 희생시켰다. 체중증가량은 N군에 비해 C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추출물 공급군들은 C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간조직 손상의 지표를 나타내는 GOT및 GPT 효소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GOT는 각 군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나 GPT는 고콜레스테롤 식이 대조군에 비해 함초추출물 1% 및 2%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함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은 간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간조직 중의 항산화 방어계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SOD 활성은 C군에 비해 함초추출물 공급군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함초추출물 2%를 공급한 CW-2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GSHpx 활성은 함초추출물 공급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함초추출물 4% 공급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atalase 활성은 함초추출물 공급군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조직의 과산화적 손상의 지표가 되는 간조직의 TBARS 함량은 C군에서 N군에 비해 30% 증가되었으나 함초추출물 2%와 4% 공급군에서 C군에 비해 각각 23%와 26%씩 감소되었다. 또한, 간조직의 mitochondria에서 carbon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N군에 비해 C군에서 29% 증가하였으나 함초추출물을 각각 1%, 2% 및 4% 공급한 군들에서 각각 31%, 30%및 26%씩 감소하여 정상군 수준이었다. 그러나 간조직의 microsome에서는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함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계를 강화시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함초(Salicornia herbacea)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이 스트렙토조토신-유발 당뇨쥐의 혈당 강하 및 혈청 지질 개선효과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경란;최정화;우미희;김영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0-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TZ-유발 당뇨쥐에서 함초 효소가수분해물의 공급이 혈당 강하 및 혈청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STZ-유발 당뇨쥐 체중증가량은 STZ 투여군 모두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STZ-유발 당뇨쥐에서 혈중 포도당 함량은 DM군에 비해 DM-4군과 DM-8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소장의 중간 부분에서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혈당 강하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조직 손상의 지표를 나타내는 GOT 및 GPT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함초 가수분해물은 유의적으로 GOT 및 GPT 활성 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중의 중성지질 함량은 당뇨대조군(DM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으나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 비해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DM-16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효소처리에 의해 제조된 함초 효소가수분해물의 공급은 STZ-유발 당뇨쥐에서 혈당 강하효과 및 혈청의 총지질,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등의 지질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지질 상태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