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at normal cel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목단피의 세포독성 물질 (A Cytotoxic Compound from Moutan Cortex Radicis)

  • 주보연;김문일;최수라;명평근;성연희;송경식;배기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5-261
    • /
    • 2004
  • 21 종의 생약 추출물을 선정하여 $5\;{\mu}g/ml$의 농도에서 SK-MEL-28 cell 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단피의 메탄올 추출물이 74.3%의 성장율을 보였다. 활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목단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hexane 분획과 EtOAc 분획에서 충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mp,\;UV,\;IR,\;^1H-NMR,\;^{13}C-NMR$ 등 각종 물리, 화학적 data로부터 그 구조를 paeonol (1), benzoylpaeoniflorin (2), benzoic acid (3), 2,5-dihydroxy-4-methoxy-acetophenone (4), paeoniflorin (5)으로 동정하였다. 분리한 물질을 human 피부 암세포인 SK-MEL-28 세포주에 대하여 $10\;{\mu}g/ml$의 농도에서 SRB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compound 4가 $ED_50$ 값이 $5.92\;{\mu}g/ml$로 가장 좋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compound 4가 SK-MEL-28 melanoma 세포주에 대한 새로운 항암 후보 물질임을 제시한다.

사상자탕과 가미사상자탕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비교 연구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Sasangja-tang(SSJ) and Gami-sasangja-tang(GSJ))

  • 최정은;박보경;진미림
    • 혜화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3
    • /
    • 2015
  • Objectives :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Sasangja-tang(SSJ) and Gami-sasangja-tang(GSJ)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SJ and GSJ were compared. Methods :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 in HaCaT cells and RAW 264.7 cell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 5 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 We measured chemokines(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cell expression and secreted ; RANTES/CCL5, interferon-inducible protein; IP-10/CXCL10,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in HaCat cells, also we measured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6; IL-6) and nitric oxide(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and NO assay. Western blo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for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in RAW 264.7 cells. Results : SSJ and GSJ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at the concentrations treated ($0-800{\mu}g/ml$). As a result of SSJ and GSJ treatment in HaCat cells stimulated by TNF-${\alpha}$(10 ng/ml) and interferon(IFN)-${\gamma}$(10 ng/ml), the production of RANTES and IP-10 was inhibited significant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retion of MDC. And in RAW 264. 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LPS, $1{\mu}g/ml$), SSJ and GSJ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TNF-${\alpha}$ and IL-6 and the production of NO. The expression of iNOS was also decresed by SSJ and GSJ treatment in RAW 264. 7 cells. Compared with SSJ, GSJ was superior to SSJ in inhibition of RANTES, IP-10, TNF-${\alpha}$, IL-6 and NO production at the concentration of $200{\mu}g/ml$. Conclusion : Both SSJ and GSJ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And GSJ has better effects than SSJ.

  • PDF

피지선세포에서 Retinoic Acid의 피지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Retinoic Acid on lipid Synthesis in Human Sebocyte)

  • 문연자;김윤석;권강주;이희섭;노성택;김양진;이장천;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317-1321
    • /
    • 2004
  • The differentiation of the sebaceous gland is remarkably species-specific and sebocytes may play crucial parts in the pathophysiologic processes and disorders of pilosebaceous unit SZ95 cell is an immortalized human sebaceous gland cell line that shows characteristics of normal human sebocyt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stosterone and the anti-androgenic effect of 13-cis-retinoic acid (13-cis-RA) on lipid synthesis in SZ95 cells. Cytoplasmic lipid droplets were shown by Oil-red staining. The majority of the SZ95 cells positively labeled with Oil-red dye, while HaCaT cells negatively labeled with Oil red dye. Total lipid level of SZ96 cells is higher 4 times than that of HaCat cells. Testosterone markedly increased 2 times lipid synthesis of SZ95 cells in compared with control. 13-cis-RA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synthe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SZ95 cells. Combined treatment with testosterone and 13-cis-RA resulted in a lower total lipid levels than that with androgen alone. In conclusion, SZ95 cells well resembled the morphologic and functional characteritics of normal human sebocytes. This in vitro model could provide a valuable tool for the study of sebocytes with a key role in pathophysiology and differentiation of sebaceous glands.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항산화 활성의 반응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Antioxidant Activity in Various Human Skin Fibroblasts and Mesenchymal Stem Cells)

  • 공지원;박력;박준우;이주영;최연주;문선하;김현지;전병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94-406
    • /
    • 2019
  • 본 연구는 사람의 다양한 세포주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종(과산화수소수)이 세포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여러 농도의 과산화수소수에 세포주를 일주일 동안 배양하여 MTT 방법으로 과산화수소수에 대한 세포 성장의 반억제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50대에서 유래하는 피부 섬유아세포와 10대의 노화 유도 피부 섬유아세포와 비교하여 10대에서 유래하는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과산화수소수에 대한 반억제농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1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보다는 10대의 여러 조직 기원하는 성체줄기세포에서 반억제농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50 ppm 과산화수소수를 1주일 동안 처리한 후, 5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다른 세포주에 비해 세포 성장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노화 관련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활성산소의 세포 독성을 중화시키는 두 유전자,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GPX)와 카탈라아제(CAT)의 발현을 각 세포주에서 조사하였을 때, CAT의 발현은 모든 세포주에서 대체로 낮았지만, GPX 유전자의 발현이 5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보다 1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와 성체줄기세포에서 현저히 높게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활성산소는 세포 노화를 유도하고, GPX의 발현이 높은 1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와 줄기세포보다는 50대의 피부 섬유아세포와 노화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활성산소종에 대해 더 큰 민감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간 독성에 대한 보석 호박 호박산의 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uccinic Acid of Succiniter against Liver Toxicity)

  • 김홍비;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96-901
    • /
    • 2017
  • 본 연구는 $CCl_4$로 간 손상이 유도된 흰 쥐에서 호박산의 간 보호 효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을 하기 위해 정상군(NOR), $CCl_4$처리군(CON), 보석호박섭취군(PCON-CS)군으로 나누어 1주일 적응기간을 가진 SD계 흰 쥐에 보석호박산을 일정한 시간에 200 mg/kg으로 3주간 투여하였다. 21일째 되는 날 마지막 투여 5시간 후에 정상군을 제외한 다른 그룹의 쥐에게 $CCl_4$를 복강주사 하였다. 보석호박섭취군은 $CCl_4$처리군에 비해 AST, ALT 활성은 93.20%, 88.76% 각각 억제효과를 보였고 MDA는 $CCl_4$처리군에 비해 85.17% 억제효과를 보였다. 보석호박섭취군의 SOD와 CAT는 $CCl_4$처리군에 비해 38.65%, 47.99% 증가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AST, ALT 활성도와 MDA 수치는 보석호박섭취군이 $CCl_4$처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정상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고 SOD와 CAT효소 활성은 보석호박섭취군이 $CCl_4$처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조직학적 관찰은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경변과 세포괴사가 호박산에 의해 예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데이터들로 확인해보면 $CCl_4$로 유도된 간 독성을 호박산이 간을 보호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호박산이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가진 약물의 소재개발에 이용 될 수 있다고 본다.

비파식초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on Hepatotoxicity by Carbon Tetrachloride)

  • 신유빈;하배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7-82
    • /
    • 2018
  •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흰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4주간 SD rat 암컷을 정상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비파 식초군으로 나누어 샘플을 처리하였고, 29일째 되는 날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였다. 혈청 AST 및 ALT 효소 활성 수치 변화에서 비파 식초가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유의한 수치로 각각 49.77%, 75.88%로 감소하였다(p < 0.001). 간 조직에서는 CAT 및 SOD 효소 활성은 비파 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조군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은 활성 수치를 보였다. 조직학적 관찰에서는 비파식초군이 사염화탄소를 단독으로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지방변성이 적게 분포하고,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되지 않았으며, 정상군과 비슷한 간세포의 구조가 관찰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비파 식초는 항산화 효소의 증가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간 손상을 억제할 뿐아니라 혈청의 AST 및 ALT 효소 활성을 감소시켜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건강기능식품으로써 긍정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사람혀편평상피세포암종세포에서 proteasome 억제제인 lactacystin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의 기전에 대한 연구 (Mechanism Underlying a Proteasome Inhibitor, Lactacystin-Induced Apoptosis on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 백철중;김규천;김인령;이승은;곽현호;박봉수;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61-276
    • /
    • 2009
  • Sreptomyces라는 세균에서 추출한 lactacystin은 선택적인 proteasome 억제제로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어져 왔다. Proteasome 억제제는 최근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암세포증식의 억제에 대한 효과가 증명되었으며, 특히 다른 항암제와 병용처리 시,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proteasome 억제제는 새로운 강력한 항암제로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람혀편평세포암종세포(SCC25 cells)에서 lactacystin의 세포독성과 성장억제 효과, 그리고 세포자멸사의 유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 실험을 시행하였다. SCC25 세포, 사람정상각화세포 (HaCaT cells) 그리고 사람치은섬유모세포(HGF-1 cells)의 생존율 측정은 MTT법을 시행하였고, SCC25 세포의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lonogenic assay를 사용하였다. lactcystin이 SCC25 세포에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hoechst 염색법, hemacolor 염색법 그리고 TUNEL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SCC25 세포에 lactacystin을 적용한 후, Western blot 분석, 세포면역화학염색,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 검경, FACScan flow cytometry, 사립체막 전위변화, proteasome 활성도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Lactacystin으로 처리된 SCC25 세포는 시간 및 용량 의존적인 세포생존율의 감소, 용량의존적인 세포성장억제 그리고 세포자멸사에 의한 세포죽음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lactacytin은 정상세포인 HaCat 세포와 HGF-1 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lactacystin이 적용된 SCC25세포에서 핵 응축, DNA의 조각남, 사립체막전위와 proteasome 활성도의 감소, DNA 양의 감소, cytochrome c의 사립체에서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 (CAD)의 핵으로의 이동, Bax의 증가, caspase-7, caspase-3, PARP, lamin A/C 그리고 DFF45 (ICAD)의 활성화 혹은 파괴와 같은 아주 다양한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Flow cytometry 분석에서는 CDK 억제제인 $p21^{WAF1/CIP1}$$p27^{KIP1}$의 발현 증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는 G1 세포주기 정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lactacytin이 SCC25 세포에서 G1 세포주기정지와 proteasome, 사립체 및 caspase 경로의 연속반응을 통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을 명확하게 증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멸사 유도능은 lactacytin이 사람혀편평상피세포암종의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