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

검색결과 44,263건 처리시간 0.056초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을 활용한 폐가스 처리 거동 (Time-Dependent Behavior of Waste-Air Treatment Using Integrated Hybrid System)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00-115
    • /
    • 2022
  •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반응기 공정 및 바이오필터 공정[전통적 바이오필터(L 반응기)와 두 개의 유닛(Rup 및 Rdn)을 가지는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으로 구성된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통합처리시스템)에서 에탄올과 황화수소를 동시 함유한 폐가스 처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통합처리시스템의 운전 단계로서 HA1, HA2 및 폐가스의 공급 방향이 뒤바뀐 HA3T stage의 광촉매 공정에서 각각 55, 50 및 45%의 에탄올 제거효율과 각각 70, 60 및 37%의 황화수소 제거효율을 보였다. 특히, HA3T stage에서 통합처리시스템으로 공급되는 폐가스(feed)의 황화수소 농도가 10 ppmv에서 20 ppmv로 급증함에 따른 황화수소 부하량의 증가로 인하여 특히 황화수소 제거효율의 급격한 감소를 관찰하였다. 통합처리시스템의 HA1, HB1, HA2 및 HB2 stage 및 HA3T stage의 초반에,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의 각 유닛에 설치한 sampling 구들의 에탄올의 파과 순서 및 에탄올 처리효율의 크기 순서는, HA3T stage 후반과 HB3T stage의 경우에서 각각 거꾸로 바뀌었다. 한편 개선된 바이오필터(R 반응기)에서 황화수소의 경우는 파과 정도가 에탄올의 경우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비슷한 추세가 관찰되었다.

석탄회의 연용 및 잔효가 콩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cessive Application and Residue of Fly Ash on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 홍순달;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8-256
    • /
    • 1997
  • 콩에 대한 석탄회의 적정시용량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91년부터 93년까지 3년동안 연용 및 잔효처리로 구분하여 시용수준을 0, 30, 60, 90 MT/ha 로 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시용은 무처리보다 콩의 생장을 양호하게 하였으나 90 MT/ha의 과량시용은 생육초기에 엽변이 갈변되고 괴사되는 붕소독증을 나타냈으며 특히 유연탄회에서 현저 하였다. 2. 1년차 시험에서 콩의 수량은 석탄회 30 MT/ha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2년차 시험에서 무연탄회 연용처리는 60 MT/ha, 잔효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증가되어 9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다. 유연탄회 연용 및 잔효처리는 6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년차 시험에서 무연탄회 및 유연탄회 연용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감소되어 3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나타냈다. 무연탄회의 1년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90 MT/ha, 2년연용후 1년 잔효처리는 6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보였다. 유연탄회의 잔효처리에 의한 수량은 모두 시용수준에 따라 감소되어 30 MT/ha 수준에서 최대 수량을 나타냈다. 3. 3년차 시험의 수량과 석탄회 시용수준과의 회귀분석에서 무연탄회 연용처리는 54.2 MT/ha에서, 2년연용후 1년잔효처리는 59.2 MT/ha에서 최대수량을 보였으나, 1년 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시용수준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되는 관계를 보였다. 유연탄회 연용 및 2년연용후 1년잔효처리는 50.5 MT/ha에서, 1년시용후 2년잔효처리는 52.9 MT/ha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60 MT/ha 이상의 석탄회 특히 유연탄회 시용은 붕소과잉에 의해 생육이 저해되므로 석탄회의 적정 시용량 평가는 수량과 함께 붕소과잉을 고려 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5. 석탄회 시용에 따른 토양 pH, 유효인산, 유효규산, 및 유효붕소 함량은 석탄회의 시용수준 및 연용회수가 증가할수록 직선적으로 증가 되었으며 증가폭은 무연탄회보다 유연탄회 시용에서 더 컸다. 6. 석탄회 시용에 따른 콩의 생장량 및 수량의 증가는 석탄회에 의한 양분들의 직접적 공급량 증대, 토양의 산도교정, 및 산도교정에 의한 양분 유효도 증가 효과로 해석되었다.

  • PDF

파종방법 및 파종량이 사료용 보리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Method and Seeding Rate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rage Barley)

  • 김원호;서성;신재순;임영철;김기용;최기춘;김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사일리지용 보리품종을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생초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원소재 축산연구소에서 2001년 10월부터 2003년 5월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방법과 파종량에 따른 사료용 보리의 내한성, 내병성 그리고 내도복성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확시 건물률은 산파 130 kg/ha와 조파 130 kg/ha에서 각각 $32.0\%$$32.7\%$로 낮았다. 그리고 생초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30kg/ha구에서 32,073 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20,944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또한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조파 160과 130 kg/ha구에서 각각 9,170와 9,138kg/ha으로 가장 많았고 산파 130 kg/ha구에서 5,710 kg/ha으로 가장 적었다(P<0.05).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답리작 논에서 사료용 보리의 파종방법에 있어 조파로 할 경우 ha당 130에서 160 kg/ha와 산파로 할 경우 190에서 220 kg/ha로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금산 장기생태연구 조사지 낙엽활엽수림 낙엽낙지량의 연변동 (Annual Variations of Litterfall Production in a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at the Mt. Keumsan LTER Site)

  • 김춘식;임종환;이임균;박병배;천정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210-215
    • /
    • 2013
  • 산림생태계 낙엽낙지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장기생태 연구의 물질순환 기작 해석에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위치한 금산 장기생태연구 조사지의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0년 사이에 낙엽낙지량의 계절적 연년 변화를 조사하였다. 낙엽낙지량중 낙엽 및 생식기관(숫꽃)은 계절적 변동을 보였으나, 침엽, 수피, 가지, 기타 물질 등은 계절별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낙엽량의 경우 졸참나무와 서어나무는 유의적인 연변화가 있었으나, 까치박달, 편백, 곰솔의 낙엽량은 차이가 없었다. 조사기간 동안 낙엽낙지량은 2004년 4,110 kg/ha/yr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최대 생산량은 2007년 6,002 kg/ha/yr로 2004년 기준 46% 차이가 있었고 7년 동안의 평균낙엽낙지량은 5,223 kg/ha/yr이였다. 낙엽량은 졸참나무 2,323 kg/ha/yr, 서어나무 442 kg/ha/yr, 까치박달 157 kg/ha/yr, 당단풍나무 131 kg/ha/yr, 기타 활엽수 390 kg/ha/yr, 곰솔 74 kg/ha/yr, 편백 37 kg/ha/yr 순으로 나타났다. 7년 평균 가지, 기타 물질, 생식기관, 수피는 각각 672, 515, 44, 54 kg/ha/yr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금산 장기생태연구 조사구의 낙엽낙지량은 유의적인 연변화가 발생하였으며 태풍 같은 교란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연평균 온도와 유의적인 선형관계가 있었다. 또한 금산 장기생태연구 조사지의 낙엽낙지량은 타 장기생태연구 조사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GIS를 이용한 대채제한지(代採制限地) 선정(選定)에 관한 연구(硏究) (An study on selecting the restricted area of timber harvest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우종춘;최조룡;원현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119-123
    • /
    • 2000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산림경영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임목의 벌채로 인한 수질오염문제, 토사유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입목을 벌채를 실시할 경우, 별채 금지구역을 선정하였다. 강원대학교 연습림 지역에 대한 벌채계획 수립 시, 벌채로 인한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이 발생하므로 벌채제한지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된 GIS 분석방법으로는 Arc/Info 7.1의 기능 중에 하나인 버퍼링 (Buffering) 기능과 중첩기능 (Overlay)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249.82ha에서 52.64ha가 벌채제한지로 나타났고, 수종별로 살펴보면 활엽수가 13.21ha, 잣나무 26.44ha, 낙엽송 12.38ha, 소나무 0.61ha 이었다. 잣나무가 26.44ha로 가장 많은 지역에서 벌채제한지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Hyaluronan Treatment in Endotoxemic Rats

  • Rho, Byung-Hak;Kwon, Kun-Young;Choi, Won-I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390-396
    • /
    • 2011
  • Background: Hyaluronan (HA) is an unbranched glycosaminoglycan. It has been proposed that HA acts as a vehicle for cytokines due to the strong negative charge on its surface. We hypothesized that HA would function like a cytokine scavenger and reduce the inflammatory signaling cascade and this would lead to improved survival in rats suffering with endotoxemia. Methods: Endotoxin (Salmonella, 10 mg/kg) or an equal amount of 0.9% NaCl (NS) was injected into the jugular vein of rats. HA (1,600 kDa, 0.35%) or NS was given at 0.1 mL/kg/h for 3 hours. HA or NS infusion was started at 4 hour after endotoxin injec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HA groups (n=16 for each group). The mean arterial pressure (MAP) was monitored during HA or normal saline infusion. Survival was assessed every 12 hours for 3 days throughout the experiment. Results: The survival rate (%) of the rats treated with HA was higher (60%) than that of the controls (20%) when HA was infused 4 hours after lipopolysaccharide (LPS) injection. The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of the animals surviving HA or NS infusion 4 hours after LPS showed that the total cell counts and number of neutrophils were significantly (p < 0.01) reduced in the HA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s (total cell count, $9.2{\times}10^4$/mL vs. $61{\times}10^4$/mL; neutrophils, $21{\times}10^4$/mL vs. $0.2{\times}10^4$/mL,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MAP difference between the HA or control groups either with or without endotoxin. Conclusion: Infusion of hyaluronan (1,600 kDa) reduced the BAL total cell count and the number of neutrophils and it improved the survival rate of the endotoxemic rats.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소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f Biomass Loss and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Surface Layer Burned by Forest Fire)

  • 이병두;윤호중;구교상;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86-290
    • /
    • 2012
  • 산불은 전 세계적으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료의 연소량과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1개 산불을 대상으로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고, 다시 지표화와 수관화 피해 지역으로 나누어 잔존 연료량을 채취하여, 미연소 지역의 연료량과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활엽수 지표화 지역은 8,361 kg/ha, 소나무 지표화 지역은 8,055 kg/ha, 소나무 수관화 지역은 12,333 kg/ha이 연소되어, 수종별 산불행태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때의 연소율은 각각 78, 59, 90%이었다.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엽수 지표화 연소지역 15,856 kg/ha, 소나무 지표화 연소지역 14,834 kg/ha, 소나무 수관화 연소지역은 약 22,709 kg/ha이었다.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 이형석;이시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39-46
    • /
    • 2011
  • 산불 발생에 대한 방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거 산불 자료의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0년까지의 우리나라 산불 통계자료를 근거로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분포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 ha 이상 산불 피해의 발생건수는 1978년에 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1970 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 들어서서 산불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주로 30 ha~50 ha의 규모 정도의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강원 지역의 산불이 총 66건(37.0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점밀도 분석 결과로는 강원 지역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30 ha 이상 산불 피해는 4월에 발생건수가 114건(63.0 %)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에 44건(24.3 %)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1975년 이후로 산불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산불관련 기관에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불방지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Boron and Molybdenum on Sugarcane Grown in Old Himalayan Piedmont Plain Soils of Bangladesh

  • Paul G. C.;Rahman M. H.;Rahman A. B. M. 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5-107
    • /
    • 2005
  •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certain the effects of boron and molybdenum with recommended N P K S Zn fertilizers (RFD) for sustained sugarcane yield in the sandy acidic soil in Old Himalayan Piedmont Plain of Bangladesh. Result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T_7$ having recommended fertilizers of N 120, P 35, K 100, S 25 and Zn 2kg $ha^{-1}$ + B 2kg $ha^{-1}$ + Mo 2 kg $ha^{-1}$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millable cane (126.96\times10^3\;ha^{-1})$ except in $T_9$ with RFD + B 2 kg $ha^{-1}$ + Mo 4kg $ha^{-1}$, and higher cane yield (92.83 Mg $ha^{-1}$) among all except in $T_3$ with RFD + B2 kg $ha^{-1}$, $T_5$ with RFD + Mo 2kg $ha^{-1}$ and $T_9$ where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The increase in cane yield by $T_7$ was $164.6\%$ over control. The treatment $T_7$ having RFD + B 2kg $ha^{-1}$ + Mo 2kg $ha^{-1}$ further gave the highest additional net economic benefit of Taka 16, 500.00 for added Band Mo at 2kg $ha^{-1}$ among all the treatments in the study.

제주지역에서 질소시비량 차이에 따른 양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변화 (Effect of Nitrogen Rat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enaf on Jeju Island)

  • 조남기;송창길;조영일;고지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9-66
    • /
    • 2001
  •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on agronomic characters, forage yield and quality, a Kenaf was cultured on the volcanic ash soil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under the seven levels of nitrogen rates(0, 50, 100, 150, 200, 250kg/ha) from April 25 to Dec. 25, 1999. The plant height increased by increase of nitrogen rate, showing longest 250kg/ha with 286.6cm and shortest at no application plot with 255.7cm. The difference on leaf number, leaf withering number, stem diameter and branches number by nitrogen rate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e plant height. Increasing N rate from 0 to 250kg/ha fresh forage yield form 55.8 to 99.8MT/ha, dry matter (DM) yield from 8.8 to 15.8MT/ha, crude protein(CP) yield form 1.2 to 3.1MT/ha,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 from 3.8 to 8.6MT/h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yields were found between 200 and 250kg N/ha. Nitrogen uptake increased form 192.9 to 496.2 kg/ha but N use efficiency decreased form 95.0 to 66.6 kg DM$^{a}$ /kg N with increasing from 0 to 250 kg/ha. As N rate increased from 0 to 250kg/ha, leaf and stem out of CP, crude fat (CF), nitrogen free extract (NFE), TDN contents increased from 20.1% to 25.8% and from 9.7% to 12.4%, from 5.6% to 8.1% and from 3.3% to 4.4%, from 36.1% to 40.2% and from 21.9% to 32.4%, from 59.3% to 75.0% and from 32.2% to 38.2%, respectively, while leaf and stem out of crude fiber decreased from 18.5% to 16.7% and from 51.5% to 39.3%. Based on the these findings, the optimum N rate for forage production of kenaf seems to be about 200 kg/ha in atmospheric phenomena and volcanic ash soils of jeju isla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