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212건 처리시간 0.035초

황금(Scutellariae radix)의 주요 성분의 정성 및 정량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ingredients in Scutellariae radix)

  • 이재성;우은란;김남혁;이은주;안덕균;이제현;박성규;박호군
    • 분석과학
    • /
    • 제10권2호
    • /
    • pp.91-104
    • /
    • 1997
  • 황금은 예로부터 한방의학에서 해독작용에 사용되어 왔다. 이제까지 황금의 분석적인 관점은 황금의 주성분에 대한 분리와 감도를 증대시키는 데 있었다. 황금에 존재하는 세 가지 다른 flavonoid인 baicalin, baicalein, wogonin을 분석하기 위하여 diode array 검출기(280nm)와 ODS 역상 컬럼을 사용하여 HPLC로 측정하였다. 이 때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과 0.1M 인산을 사용하고, flow rate는 1mL/min로 하였다. 이 조건에서의 검출시간은 baicalin이 7.65분, baicalein이 11.65분, wogonin이 14.12분이었다. 이 분석방법으로서 산지에 따른 황금성분의 양을 비교한 결과 baicalin은 전북 순창산에서, baicalein과 wogonin은 전남 벌교산에서 많이 검출되었다. 추출효율 실험결과 상온용출도 우수하였다. 산의 종류 중 특히 0.2M 초산을 사용했을 때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추출의 효율성이나 안정성을 고려할 때 혼합 용매의 비율은 아세토니트릴/0.2M 인산(75:25)의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우수하였다.

  • PDF

메기과에 속하는 메기와 미유기의 Carotenoid 색소 성분의 비교 (Comparision of Carotenoid Pigments in Catfish, Parasilurus asotus and Slender catfish, Parasilurus microdorsalis in the Family Siluridae)

  • 백승한;하봉석;김수영;권문정;최옥수;배태진;강동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6-162
    • /
    • 2004
  • 미이용자원인 어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메기과의 자연산 및 양식산 메기와 한국 특산의 담수어류인 미유기의 표피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고 IR 및 Mass spectrum을 측정하여 carotenoid를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산 메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27 mg($\pm$0.7)%였으며 carotenoid의 조성은 zeaxanthin 25.8%, diatoxanin 9.7% 및 cynthiaxanthin 9.1%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 isocryptoxanthin 6.5%, $\beta$-carotene 5.1%, $\beta$-cryptoxanthin 4.3%, lutein 3.4% 및 $\alpha$-cryptoxantin 2.4%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양식산 메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07 mg($\pm$0.03)%로서 자연산 메기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carotenoid의 조성은 lutein 48.5%, zeaxanin 13.9% 및 isocryptoxanin 13.3%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그 외 $\beta$-carotene 9.5%, $\beta$-cryptoxantin 1.4% 및 $\alpha$-cryptoxanthin 4.6%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미유기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0.75 mg($\pm$0.25)%로서 메기과의 다른 어종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carotenoid 조성은 zeaxanthin 24.5%, 7'8'-dihydro-$\beta$ -carotene-4-ol 24.1%, 7'8'-dihydro-$\beta$-carotene 17.9% 및 7'8'-dihydro-$\beta$-carotene-3-ol 10.8%로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그 외 diatoxanthin 8.7%, cynthiaxanthin 6,7% 및 lutein 5.0%의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parasiloxanthin과 7',8'-dihyo-parasiloxanthin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biwa호수 메기, P. asotus 표피 carotenoid 조성과 비교하여, 미유기에서는 7'8'-dihydro-$\beta$-carotene의 구조를 가진 carotenoid가 존재하였으나 자연산 및 양식산 메기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특이하였다.

신령버섯(Agaricus blazei)으로부터 면역증강활성 다당류의 분리 및 화학적 특성 (Chemical Features and Purific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from the Fruit Bodies of Agaricus blazei)

  • 조수묵;박정식;김광포;차동열;김환묵;유익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70-174
    • /
    • 1999
  • 인공 재배된 신령버섯(Agaricus blazei)의 자실체를 열풍 건조한 다음 다당류를 추출, 분리 정제하여 항암면역활성을 측정하고 그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일부를 조사하였다. 면역증강 다당류는 0.9% sodium chloride와 열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에탄을 침전, 투석 및 동결건조로 얻었으며, 이들 다당류는 이온 교환수지와 겔을 사용하여 균질한 다당류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다당류의 임파구의 항체 형성능 촉진 효과를 in vitro에서 조사한 결과, 0.9% sodium chloride 추출 분획에서 AG-2가, 열수 추출 분획에서 AG-6, -7 및 -8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AG-3이 양성 대조구(LPS)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활성이 비교적 높은 다당류의 경우 주로 glucose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과 결합된 단백-다당체이었다. 정제된 다당류는 AG-4를 제외하고 모두 glucose를 비롯한 $2{\sim}6$종의 단당류를 갖고 있는 heteropolysaccharide이었으며, AG-1의 경우 galactose, mannose 및 fucose가 79.1:8.9:12.0의 몰비로, AG-5의 경우 glucose, mannose 및 xylose가 45.6:17.9:25.2의 몰비로 존재하였으며, 이들 두 분획은 약한 면역증강활성을 보였다.

  • PDF

사료 중 Nivalenol, Deoxynivalenol, T-2 foxin과 Zearalenone의 동시분석과 오염도조사 (Simultaneous Analysis and Survey for Contamination of Nivalenol, Deoxynivalenol, T-2 toxin and Zearalenone in Feed)

  • 김동호;김현정;장한섭;김영민;최흥보;안종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11
  • 국내 유통사료 239점에 대하여 푸사리움 속 곰팡이독소 4종(NIV, DON, T-2, ZEN)에 대하여 오염도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곰팡이독소 정제에 많이 사용되는 면역친화 컬럼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SPE컬럼을 이용하였으며, HPLC/MS/MS로 동시 분석하였다. 각각의 성분 별로 77.42~111.20%의 회수율과 $0.3{\sim}2.0\;{\mu}g/l$의 양호한 정성한계(LOD)를 보였다. 분석 결과 사료 중에 조사대상 곰팡이독소가 광범위하게 오염되어 있었으며, 특히 DON과 ZEN은 모든 배합에서 확인되었다. 소 사료의 경우 DON과 ZEN은 평균 $812.1\;{\mu}g/kg$$147.2\;{\mu}g/kg$의 오염도를 보여 닭 사료나 돼지 사료보다 약 4배정도 높은 오염도를 보였으며, 그 원료로 사용된 단미 사료를 조사해본 결과 수입 단백피가 주요 오염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뮤코펙트 정(염산암브록솔 30 mg)에 대한 암브렉트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AmbrectTM Tablet to MucopectTM Tablet (Ambroxol hydrochloride 30 mg))

  • 유정연;정선경;최미희;한상범;이경률;이희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3호
    • /
    • pp.215-221
    • /
    • 2003
  • A bioequivalence study of $Ambrect^{TM}$ tablets (Dong Wha Pharm. Ind. Co., Ltd.) to $Mucopect^{TM}$ tablets (Boehringer Ingelheim Korea, Ltd.)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wenty four healthy male Korea volunteers received each medicine at the ambroxol hydrochloride dose of 30 mg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one-week wash 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lasma concentrations of ambroxol were monitor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over a period of 2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AUC_t$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24 hr) was cal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rule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time\;to\;reach\;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was carried out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and\;C_{max}$. No significant sequence effect was found for all of the bioavailability parameters indicating that the crossover design was properly performed. The 90% confidence intervals of the $AUC_t$ ratio and the $C_{max}$ ratio for $Ambrect^{TM}/Mucopect^{TM}$ were 0.89-1.01 and 0.89-1.02,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within the acceptable bioequivalence intervals of 0.80-1.25. Thus, our study demonstrated the bioequivalence of $Ambrect^{TM}\;and\;Mucopect^{TM}$ with respect to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버섯균사체로 배양된 인삼 Saponin과 β-Glucan 함량 변화 (Changes of Saponin and β-Glucan Content on the Cultured Ginseng with Mushroom Mycelia)

  • 정은미;황인국;이현용;정재현;유광원;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84-1089
    • /
    • 2009
  • 인삼을 배지로 사용하여 목질진흙버섯(Phellinus linteus),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및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m) 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균사체 인삼배양물과 원료 인삼에 대한 사포닌과 $\beta$-glucan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원료인삼의 구성사포닌 함량은 22.47mg/g이었으나 균사체로 배양된 인삼의 사포닌 함량은 목질 진흙버섯이 39.78 mg/g, 영지버섯이 55.88 mg/g 그리고 노루궁뎅이버섯이 32.69 mg/g으로 원료인삼에 비해 증가하였다. 균사체 인삼배양물의 사포닌은 PPT계는 감소하였고 PPD계는 증가하였다. 구성사포닌 중 ginsenoside Rd는 원료인삼에 비해 균사체 인삼배양물에서 각각 17, 30 및 12배 증가하였다. 3종의 균사체와 균사체 인삼배양물들의 총 glucan 함량은 각각 46.24, 34.74 및 34.02% 그리고 28.77, 17.78 및 21.77%이었다. $\beta$-glucan 함량은 균사체에서는 각각 29.14, 19.44 및 23.39%이었고 인삼배양물에서는 각각 8.85, 5.46 및 5.51%로 나타나 목질진흙버섯이 균사체와 인삼배양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Glyceryl Monooleate와 Conjugated Linoleic Acid로부터 효소적 반응을 이용한 기능성 유지 합성 (Synthesis of Functional Lipid from Glyceryl Monooleate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by Enzymatic Reaction)

  • 전미선;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62-1068
    • /
    • 2009
  • DAG 합성율이 가장 높은 몰비율을 선정하기 위하여 GMO와 CLA의 몰비율을 1:1, 2:1 그리고 3:1로 하고 Lipozyme TLIM은 기질 질량의 20%를 사용하여 반응하였다. 그 결과 총 DAG의 함량은 1 hr일 때 높게 나타나 몰비율이 1:1, 2:1, 3:1(GMO:CLA)일 경우 각각 42.6, 54.4 그리고 54.6 area%로 나타났고, DAG 함량이 높은 2:1과 3:1의 기질몰비율 조건 중 MAG와 TAG의 함량이 낮았던 2:1 비율을 가장 적합한 비율로 선정하였다. 적합한 몰비율로 선정된 GMO와 CLA의 몰비율 2:1에 효소량을 2%, 5%, 10% 그리고 20%를 사용하여 효소량에 따른 DAG 합성율을 살펴 본 결과, 효소량을 10% 사용하였을 경우, 반응 6 hr에서 56.2 area%의 가장 높은 DAG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어 Lipozyme TLIM을 10% 사용하여 GMO와 CLA의 몰비율 2:1에 molecular sieves를 전체 기질 질량의 10% 사용하여 molecular sieves 첨가의 유, 무에 따른 DAG 합성율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효소량을 5%를 사용하여 반응하였을 경우 molecular sieves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총 DAG 함량이 약 30%의 증가율을 보였고, 효소량을 10% 사용하였을 경우 23%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상에서 DAG가 가장 많이 합성된 반응조건은 몰비율이 GMO와 CLA가 2:1이고, Lipozyme TLIM과 molecular sieves의 양이 각각 기질 질량의 10%씩 사용되었을 때이었다. 이 반응 조건으로 6 hr 반응하였을 때 최대의 DAG량이 생성되어 그 함량은 69 area%로 나타났으며, 1,3-DAG과 1,2-DAG의 지방산 조성변화를 살펴 본 결과 1,2-DAG의 지방산 조성 중 CLA의 함량은 반응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한 반면, 1,3-DAG의 CLA 함량은 1 hr에서 24 hr까지 증가하였다가 72 hr에서 감소함을 보였다.

반하사심탕 전탕액의 보관 온도 및 기간에 따른 안정성 및 유효성 연구 (Comparative study on stability and efficacy of Banhasasim-tang decoction depending on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s)

  • 진성은;김온순;서창섭;신현규;정수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1-33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HSST decoction depending on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s. Methods: BHSST decoction was preserved at room temperatures (R/T, $23{\pm}1^{\circ}C$) or refrigeration ($4^{\circ}C$) for 0, 30, 60 and 90 day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BHSST decoction, pH and sugar content were estimated. In additio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marker compounds of BHSST decoction.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s were measured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using the assays for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sults: There was no change in pH and sugar content depending on the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s of BHSST decoction. Among the major components of BHSST, contents of liquiritin, baicalein and wogonin was reduced time-dependently both at R/T and $4^{\circ}C$. Inhibitory effects of BHSST decoction on NO and PGE2 productions were slightly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by 90 days of preservation. In addition, BHSST decoction maintained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60 days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activities in 90 days of preservation at R/T. By contrast, BHSST decoction had no significant change of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90 days at $4^{\circ}C$.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tability and efficacy of BHSST decoction are maintained for 60 days at $4^{\circ}C$ rather than R/T.

Biotic 물질이 콩 발아 중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tic Substances on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Germination)

  • 김서영;송영호;이유정;김홍식;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84-92
    • /
    • 2020
  • 콩 발아기간 중 몇 가지 면역활성제(자스몬산, 키토산, 베타글루칸 및 게르마늄)와 녹차 및 인삼 추출물이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대부분의 처리에서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졌는데 면역활성제 중에서는 키토산 처리가 이소플라본 함량 증대에 가장 큰 효과가 있었으며 약초추출물 처리는 효과가 미미하였다. 2. 품종별 이소플라본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대풍2호>우람>풍산나물콩의 순서로 높았으며 이소플라본 함량은 품종과 biotic 물질 처리간 상호작용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개별 이소플라본 종류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onyl-glucoside>glucoside>aglycone>acetyl-glucoside 순서로 함량이 높았으며 발아가 진행되면서 aglyco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콩 발아기간 중 biotic 물질 처리는 어느 정도 이소플라본 함량을 증대시키며 품종과 물질처리간 상호작용 효과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olysaccharide Producing Bacillus polymyxa A49 KCTC 4648P

  • Ahn, Sung-Gu;Suh, Hyun-Hyo;Lee, Chang-Ho;Moon, Seong-Hoon;Kim, Hee-Sik;Ahn, Keug-Hyun;Kwon, Gi-Seok;Oh, Hee-Mock;Yoon, Byung-D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71-177
    • /
    • 1998
  • The strain A49, which produces a new type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From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the strain A49 was identified as a Bacillus polymyxa and named Bacillus polymyxa A49. Bacillus polymyxa A49 was found to produce a highly viscou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when grown aerobically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The polysaccharide (A49 POL) showed a homogeneous pattern o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its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about 1.6 mega dalton (mDa). The FT-IR spectrum of A49-POL reveal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s with HPLC and carbozole assay, A49-POL was found to consist of L-fucose, D-galactose, D-glucose, D-mannose, and D-glucuronic acid, with the molar ratio of these sugars being approximately 1:2:7:50:12. Rheological analysis of A49 POL revealed that it is pseudoplastic and has a higher apparent viscosity at dilute concentrations than does xanthan gum. The consistancy factor of A49 POL was found to be higher, and the flow index of A49 POL lower, than xanthan gum. Its apparent viscosity was comparatively unstable at various temperatures. the A49 POL showed the highest apparent viscosity at pH 3. When salts were added to A49 POL solution, the solution was compatible with up to 10% KCl, 35% NaCl, 55% $CaCl_2$, 55% $MgCl_2$, 55% $K_2HPO_4$, and 110% $Ca({NO_3})_2$,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