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FD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6초

고혈압에 사용되는 한약처방 5종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Five Formulas Which can be used to Treat Hypertension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 천진미;김동선;최고야;성윤영;박선행;김승형;김호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7-643
    • /
    • 2013
  • Daesiho-tang (DST), Yijin-tang (YJT), Gyeoneumjisil-hwan (GJH), Ukdam-hwan (UDH), and Sojojung-tang (SJT) have been used to treat hyperten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ive formula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obesity in high fat diet (HFD) induced obese mice. The mice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1) a normal diet (ND), (2) a high fat diet (HFD) (3) a HFD plus DST (HFD + DST), (4) a HFD plus YJT (HFD + YJT), (5) a HFD plus GJH (HFD + GJH), (6) a HFD plus UDH (HFD + UDH), or (7) HFD plus SJT (HFD + SJT) at 150 mg/kg/day for 7 weeks. All five formulas treatments significantly lowered blood pressure, final liver weights, and serum total triglyceride levels. The four formulas (HFD+DST, HFD+YJT, HFD+UDH, and HFD+SJT) decreased body weights. Also, HFD+DST, HFD+YJT, and HFD+UDH groups reduced abdominal and epididymal fat weights. The serum LDL-cholesterol levels were decreased in HFD+YJT, HFD+UDH, and HFD+SJT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ive formulas ameliorated obesity.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흰쥐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항고지혈증과 항비만 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Sparassis latifolia fruiting bodies in high-fat and cholesterol-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임경환;백승아;최재혁;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2021
  •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후 6주령의 흰쥐에 정상 식이를 급여한 군(ND), 정상 식이에 20%의 돈지(Lard)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L), HFD 식이에 simvastatin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S) 등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간 체중의 증가율은 HFD+SL군과 HFD+SS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ND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을 첨가하여 급여한 HFD+SL군의 비만이 억제되었다. ND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FD+SL군과 HFD+SS군에 비해서는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 비율도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급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 간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나 혈당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HFD+SS군 모두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간 기능 손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AST와 ALT 효소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ALP 효소의 농도는 HFD에 비해 ND군와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식이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주와 6주 사이에 배출된 분변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HFD+SL군이 배출한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이 HFD군과 HFD+SS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HFD식이에 함유된 일부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꽃송이버섯에 의해 장내로 흡수되지 않고 분변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oil red O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D군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나 HFD+SS군은 ND군과 같이 지방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HFD+SL군의 간 조직에서는 소량의 지방 방울이 관찰되어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자실체는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체중증가, 혈청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농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채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Hypolipidemic Effect of Allium Hookeri in Rats Fed with a High Fat Diet)

  • 이주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7-145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s on lipid metabolism of the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s induced by a high-fat diet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ith 8 rats per group for 4 weeks: the normal-diet group (N), the high-fat diet (HFD) group, the HFD containing 3% Allium hookeri (HFD-A3) group, and the HFD containing 5% Allium hookeri (HFD-A5)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intake of rats in the HFC-A3 and HFC-A5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group.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the HFD-A5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group, and adipose tissue weights of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s in the HFD-A3 and HFD-A5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group.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D-A3 and HFD-A5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Serum lipid profiles, as well as ALT and AST activiti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all groups. Serum ALP and LDH activities were suppressed in the HFD-A5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group. The hepatic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of rats in the HFD-A5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HFD group. Moreover,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the epididymal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D-A5 group than in the HFD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take of Allium hookeri showed a hypolipidemic effect, changing the lipid metabolsim of a high-fat diet induced rats.

5종 방제의 항비만 효과 비교 (The Anti-obesity Effect of 5 Herbal Formulas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 천진미;최고야;김동선;성윤영;노경진;김승형;김호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4-52
    • /
    • 2013
  • Objectives : Samhwangsasim-tang (SST), Hwangryeonhaedok-tang (HHT), Ukgan-san (UGS), Onjunghwadam-hwan (OHH) and Samul-tang (SMT)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nti-obesity effects of 5 herbal formulas in high fat diet-(HFD) induced obese mice. Methods : Th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seven groups that were fed a normal diet (ND), a HFD, a HFD plus SST (HFD + SST), a HFD plus HHT (HFD + HHT), a HFD plus UGS (HFD + UGS), a HFD plus OHH (HFD + OHH), or HFD plus SMT (HFD + SMT) at 300 mg/kg/day for 7 weeks. All groups were assayed for body weights, food efficiency ratio (FER), final liver and fat weight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Results : The increased body weights, food efficiency ratio (FER), and serum total triglyceride were decreased in HFD + OHH group relative to the same measurements in HFD group. Furthermore, the HFD + SST group significantly reduced FER, liver and abdominal subcutaneous fat weight gains, and serum total triglyceride, whereas HDL-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compared to HFD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FD + OHH and HFD + SST exert anti-obesity effects in HFD-induced obese mice.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랫드에 대한 유황오곡충 추출물의 지질감소 메카니즘 (Lipid lowering mechanism of sulfur-fed grain larvae extract in high-fat induced obesity rats)

  • 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2-58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ction mechanism of sulfur-grain larvae extract (SGE) on anti-obesity and the reduction of blood lipid level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model animals. Animals were classified into a normal diet group (NC, normal control), HFD (high-fat diet without SGE), HFD 15 (high-fat diet + oral administration of 15 mg of SGE extract per 100 g body weight) and HFD 30 (high-fat diet + oral administration of 30 mg of SGE extract per 100 g body weight). The body weight gain declined in HFD 15 and HFD 30 groups compared with the HFD group, even though the diet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weight of liver and adipose tiss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HFD group compared with in the HFD 15 and HFD 30 group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 and AI decreased in HFD 15 and HFD 30 groups compared with in the HFD group, but the contents of HDL-C increased significantly. Expression of SREPB-$1{\alpha}$, SREPB-2 mRNA in the liver was lower in the high-fat diet group compared with the HFD group, but the expression of LPL mRNA in adipose tissue and $PPAR{\alpha}$ increased significantly. Fat accumulation in the liver tissues and liver damage were greatly reduced in HFD 15 and HFD 30 groups compared with in the HFD group. The size of adipocytes became smaller in the HFD 15 and HFD 30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that grain maggot has anti-obesity effects, by reducing the abdominal fat of obese model animals and lowering blood lipid level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PPAR-$1{\alpha}$ and SREPB-2 mRNA and the up-regulation of PPAR-${\alpha}$ mRNA.

Anti-obesity Effect of Steamed Soybean and Fermented Steamed Soybea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ICR Mice

  • Seo, Hye Rin;Lee, Ah Young;Cho, Kye Man;Cho, Eun Ju;Kim, Hyun 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61-68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 effects of steamed soybeans (SS) and fermented SS (FSS) on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ICR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given the following different diets: normal diet (ND), high-fat diet (HFD), HFD with 1% SS (HFD + SS), and HFD with 1% FSS (HFD + FSS). After 14 weeks, the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the HFD group compared with the ND group but lower in the HFD + FSS group compared with the HFD group.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D group compared to the ND group, but lower in the HFD + SS and HFD + FSS groups compared with the HFD group. In addition, leptin concentration in plasma was lower in the groups fed HFD + SS and HFD + FSS compared with the HFD group. The accumulation of hepatic TG and TC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HFD + SS and HFD + FSS groups. Furthermore, SS and FSS attenuated lipid peroxidation and nitric oxide formation in the liver induced by the high-fat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s, especially FSS, may be useful in preventing obesity-induced abnormalities in lipid metabolism.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seaweed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Oh, Ji-Hyun;Kim, Jaehoon;Lee, Yun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42-48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Seaweeds have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health beneficial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our types of domestic brown seaweeds in a high-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 an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 MATERIALS/METHODS: Male C57BL/6N mice were fed low-fat diet (LFD), high-fat diet (HFD) or HFD containing Undaria Pinnatifida, HFD containing Laminaria Japonica (LJ), HFD containing Sargassum Fulvellum, or HFD containing Hizikia Fusiforme (HF) for 16 weeks. RESULTS: Brown seaweed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long-term HFD-associated changes in body weight or adiposity, although mice fed HFD + LJ or HFD + HF gained slightly less body weight compared with those fed HFD at the beginning of feeding. Despite being obese, mice fed HFD + LJ appeared to show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compared to mice fed HFD. Consistently, we observed significantly reduced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in mice fed HFD + LJ compared with those of mice fed HFD.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ipocyte size were detected among the HFD-fed groups, consumption of seaweeds decreased formation of HFD-induced crown-like structures in gonadal adipose tissue as well as plasma inflammatory cytokines. BMDM from mice fed HFDs with seaweeds showed differential 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beta}$ and IL-6 compared with BMDM from mice fed HFD by LPS stimulation. CONCLUSION: Although seaweed consumption did not prevent long-term HFD-induced obesity in C57BL/6N mice, it reduced insulin resistance (IR) and circ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refore, seaweeds may ameliorate systemic inflammation and IR in obesity partially due to inhibition of inflammatory signaling in adipose tissue cells as well as bone marrow-derived immune cells.

쥐 모델에서 고지방사료로 악화된 대장 건강에 대한 콩의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ooked soybeans on HFD-deteriorated large intestinal health in rat model)

  • 최재호;신태균;류명선;양희종;정도연;운노타쯔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83-389
    • /
    • 2021
  • 비만은 숙주의 전신 염증 및 대사 기능 장애에 기여하는 장 상피 장벽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다. 한국의 전통 식품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콩 제품은 항염증 반응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어 왔으나 대장 건강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 식이(HFD)를 섭취한 비만 모델에서 콩(CSB)에 대한 장 건강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SD 쥐에게 동물 실험 기간 동안 HFD 또는 10.6% CSB가 함유된 HFD (HFD + CSB)를 제공하였다. CSB의 섭취는 HFD로 유발된 체중과 지방 축적 증가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CSB의 섭취는 대장 조직에서 HFD에 의해 감소된 밀착 결합 지표(ZO-1, Claudin-1 및 Occludin-1)의 mRNA 발현을 개선시켰다. 또한, 조직병리학적 평가에서도 CSB 섭취는 대장 조직에서 HFD에 의해 증가된 염증 세포 침윤과 대장 상피 조직 붕괴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nus 수준에서 HFD 섭취에 의해 Lactobacillus, Duncaniella, Alloprevotella 등 미생물 종의 abundance 차이는 확인되었으나, CSB 섭취로 인한 영향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NMDS 분석에서 HFD 섭취에 의해 유의적인 장내미생물 생태 이동을 보여주었지만 CSB 섭취는 차이가 없었다. HFD와 CSB 간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는 genera를 조사하기 위해 LEfSe를 수행한 결과, CSB는 Anaerotignum, Enterococcus, Clostridium sensu stricto 및 Escherichia/Shigella 속의 풍부함을 증가시킨 반면 Longicatena 및 Ligilactobacillus의 풍부함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SB 섭취는 긴밀한 접합 성분을 개선하여 HFD로 악화된 대장 건강을 개선하는 반면 장내미생물생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았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비만 마우스에서 luteolin이 화학적으로 유도한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teolin on chemical 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high fat diet-fed obese mouse)

  • 박정은;김은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4-22
    • /
    • 2018
  • 본 연구는 LUT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의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동물을 각 10마리씩 정상식이 (ND)군, 고지방식이 (HFD)군, HFD + 0.0025% LUT 보충 (HFD LL)군, 그리고 HFD + 0.005% LUT 보충 (HFD HL)군의 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실험군은 AOM을 1회 복강 주사하고 AOM 투여 1주일 후 총 3 cycle의 1 ~ 2% 농도의 DSS를 음용수로 공급하여 대장암을 유발하였다. 실험식이는 AOM 발암시점부터 총 11주간 급여하였다. 연구결과, 군간 식이섭취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HFD 급여군에서 체중과 식이효율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HFD군과 비교했을 때 LUT 보충에 따른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LUT 보충은 ND군에 비해 HFD군에서 나타난 대장 무게/길이 비, 대장종양 수, 혈장 $TNF-{\alpha}$ 농도, 대장 iNOS와 COX-2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HFD HL군이 HFD LL군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조절과는 별개로 LUT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대장의 염증반응 억제를 통하여 비만과 연관된 대장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며 향후 비만에 의한 인슐린 저항성 및 adipokine 분비, 그리고 장내 균총 변화에 따른 대장 점막세포 증식과 대장암 발생에 LUT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더 깊이 있게 수행한다면 비만으로 인한 대장암 발생에 LUT이 효과적인 화학적 예방 (chemoprevention)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해마 및 대뇌피질에서 운동강도에 따른 nNOS 발현의 변화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on Changes in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and Cerebral Cortex of Obese Mice)

  • 백경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28
    • /
    • 2019
  • 최근 비만에 의해 과발현된 신경세포형 산화질소 생성효소(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가 정서적 행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라는 보고되었다. 이와 관련한 최근의 연구에서 운동이 비만에 의해 과발현된 nNOS를 억제하고 정서적 우울감과 항불안 효과를 감소시켰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운동은 nNOS를 억제하여 뇌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이지만 운동은 강도에 따라 면역 반응에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다른 강도의 운동을 실시하여 해마의 nNOS 발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대조군(CON, n=14)을 제외한 마우스(n=35)에게 6주 동안 60%의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하였다. 6주간의 비만유도 기간이 종료된 후 CON과 비만이 유도된 동물 각각 7마리씩 희생하여 비만유도를 확인하는데 사용되었다. 나머지 동물은 8주간의 운동중재 연구에 이용되었다. 이 때 CON을 제외하고 비만이 유도된 동물들은 고지방대조군(HFD) 그리고 저강도운동군(HFD-LI, n=7) 중강도운동군(HFD-MI, n=7) 그리고 HFD-고강도(HFD-HI, n=7)로 나누어졌다. HFD-LI는 12 m/min으로 75분, HFD-MI는 15 m/min으로 60분 그리고 HFD-HI는 18 m/min으로 50분 동안 동물용 트레드밀에서 운동이 수행되었다(동등한 운동량, 900 m). 해마(hippocampus)의 nNOS 단백질의 발현은 CON에 비해 HFD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1), CON과 운동을 실시한 모든 그룹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HFD-LI에 비해 HFD-HI가 유의하게 nNOS 발현이 낮았다(p<0.05). 대뇌피질에서는 CON에 비해 HFD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다른 그룹 간에 차이는 없었다. nNOS의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인산화된 Akt (pAkt)의 발현이 CON과 HFD에 비해 운동을 실시한 나머지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뇌피질에서의 pAkt의 발현에서는 차이가 모든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고, 소뇌에서는 CON에 비해 HFD-HI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소뇌에서는 각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nNOS는 고지방식이와 비만에 의해 과발현된 것으로 보여지고 이를 운동을 통하여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 때 운동량이 같다는 가정하에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가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